• 신편 한국사
  • 고대
  • 08권 삼국의 문화
  • Ⅳ. 문학과 예술
  • 9. 무용·체육
  • 1) 무용

1) 무용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 형성 이전부터 부여에는 迎鼓가, 예에는 舞天 등의 제천행사가 있어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노래하고 춤추었다고 하는 기사가 陳壽의≪三國志≫에 실려 있다. 馬韓의 鐸舞,≪三國遺事≫駕洛國記에 보이는 蹈舞 등의 전통은 삼국시대까지도 그대로 전해져 내려왔으리라 짐작되나 그 춤의 형태나 내용은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이들 歌舞가 제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할 뿐이다.

 당시의 춤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는 고구려의 고분벽화가 있다. 다음<그림 1>은 4세기경의 舞踊塚의 벽화로 당시의 무용 내용과 형태가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확대보기
<그림 1>무용총의 춤
<그림 1>무용총의 춤
팝업창 닫기

 야외에 7명이 한 줄로 서 있는 남녀 가수의 노래 속에 긴소매가 달린 웃옷과 통이 큰 바지를 입은 4명의 남자와 긴소매가 달린 옷깃치마 입은 2명의 여자가 娑婆舞를 추고 있다.657)方起東(崔茂藏 역),<集安高句麗古墳壁畵中의 舞踊>(≪韓國考古學報≫9, 1980), 71쪽. 남자 3명의 중간에 여자가 끼어서 전후로 일행을 이루고 좌측 전방은 일단의 거리를 두고 있으며, 다른 한 남자는 대열을 마주보며 춤을 추는데, 마치 그 무용의 선두자처럼 보이기도 하고 시범을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다. 모든 사람의 동작이 같아 팔을 앞뒤로 뻗치고 긴소매가 축 늘어진 채로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획일적으로 정렬되어 아름다운 춤의 모습은 질서정연히 날르는 기러기 떼와 같고 거기에 무용의 음율감이 첨가되어 훈련 잘 된 한 떼의 무용수를 연상시켜 준다.

 이들 무용수의 바로 위에는 벽면에 바른 석회가 떨어져 나가서 사람의 형체는 없으나 한 사람의 두 발이 보인다. 최초의 보고에 의하면 이 사람은 阮咸 연주가라 한다. 이런 것으로 판단하건대 군무의 주요한 음향은 노래였다는 것이다.

 무용수들의 복장은 고구려 사람들이 실제로 생활 중에 입는 것으로 남자는 꽃무늬가 있는 짧은 상의와 통이 큰 바지를 입었고 여자는 옷깃을 여민 긴 치마를 입고 있다. 여자 무용수는 머리를 곱게 빗었으며 남자는 대부분이 산뜻하고 깨끗하게 머리털을 풀어헤쳤는데 그 중 3명은 고구려 사람이 흔히 쓰는 折風을 쓰고 있다.

 14명이 연출하는 무용에 관람자는 단 한 사람이다. 행렬의 전면에 개를 앞세우고 대단히 거만한 모습으로 말을 타고 있는 사람이 바로 이 고분의 주인일 것이다.

 고구려 무용에는 群舞 이외에 혼자서 추는 獨舞와 두 사람이 함께 추는 二人舞도 있다.

 <그림 2>의 두 사람은 모두 幘冠을 쓰고 긴소매가 달린 상의의 옷깃을 여며 입고 한 사람은 녹색바지 또 한 사람은 붉은 바탕에 검은 점의 꽃무늬 바지를 입고 있다. 이들 두 사람의 춤은 서로 다른 무용자세로 호응하는 것이 독특하다.

확대보기
<그림 2>남자 2인무(麻線溝 1호고분)
<그림 2>남자 2인무(麻線溝 1호고분)
팝업창 닫기

 <그림 3>의 윗 부분에서는 왼편에 1남1녀가 대칭되게 서 있다. 남자는 오른손을 내리고 왼손에 하나의 연봉오리를 들었으며 여자는 두 손을 모으고 있는데 좌우로 각각 한 송이 연꽃의 줄기가 가슴 앞에 매여져 있다. 그녀의 뒤에 다른 여자가 거문고를 들고 서 있다. 화면의 전체 구도로 보아 이 세 사람은 독무의 완료를 기다리는 다음 순서의 2인무를 출 무용수로 보인다.

확대보기
<그림 3>남자독무와 대기중의 남녀무자(長川 1호고분)
<그림 3>남자독무와 대기중의 남녀무자(長川 1호고분)
팝업창 닫기

 <그림 3>의 아래 부분 그림은 한 여자가 거문고를 타서 반주하는 남자의 독무이다. 무용수는 짧은 상의와 통이 큰 바지를 입고 왼쪽 다리를 가볍게 들고 오른쪽 어깨를 펴고 왼팔을 쳐들어 손을 가슴 위에 올려 놓고 있는데 이 모습은 옷소매의 형태로 보아 손바닥이 밖을 향하고 있다. 이것은 일종의 태연자약한 편안한 자세를 나타내주고 있다.658)方起東, 위의 글, 74∼75쪽.

 고구려에서는 이미 4∼5세기에 군무·2인무·독무 등의 무용형식이 정비되어 있었으며 귀족의 관람을 위한 직업무용단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고구려의 춤에 관해 문헌자료를 찾아보면≪三國史記≫樂志에 그 일단이 피력되어 있다.659)≪三國史記≫권 32, 志 1, 樂.

 신라에서는 8월 15일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음악과 춤을 즐겼는데 이때의 음악이 會蘇曲이다. 중앙관서에는 음악·노래·춤을 관장하는 音聲署가 설치되어 六頭品 출신의 長이 이를 관장하고 있었다.660)宋芳松,≪韓國古代音樂史硏究≫(一志社, 1985), 203쪽. 당시의 춤으로는 내물왕 때에 만든 歌舞가 있었으며 가야금에 맞추어서 추는 춤으로는 韓伎舞·美知舞·碓琴舞 등이 있었다.661)≪三國史記≫권 32, 志 1, 樂. 그러나 당시의 춤의 내용이나 그 형태는 후세에 전해지지 않고 있다.

 백제의 춤으로는 현재 그 이름조차 남아 있는 것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 남아 있는 기록은 백제 멸망 이후 唐나라에서 외롭게 백제악의 전통을 이어갔던 백제인들의 춤을 묘사한 다음의 구절뿐이다.

춤추는 사람은 두 사람인데 큰 소매 달리 붉은 저고리와 치마를 입고 章甫冠을 썼으며 가죽신을 신었다(≪三國史記≫권 32, 志 1, 樂)

 삼국시대의 무용은 악기·춤·노래가 혼합된 종합공연예술의 성격이 강하며 국가의 체제가 정비됨에 따라서 전문무용소가 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