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1. 호족세력의 대두 배경
  • 2) 호족세력의 대두 배경

2) 호족세력의 대두 배경

 신라말에 지방에서 대두한 새로운 사회세력을 豪族이라 부른다. 중앙정부의 통치력이 크게 약화되는 眞聖女王대부터 호족은 지방사회의 실질적인 지배자로 등장하여 당시의 사회변동을 주도하였다. 호족의 대두는 新羅骨品制社會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었지만, 한편으로는 신라골품제사회가 붕괴되어 가는 과정에서 일어난 현상이었다. 그런 만큼 호족의 대두는 신라 하대에 이르러 골품제사회의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는 것과 짝하여 나타났다.

 첫째, 당시 골품제사회는 진골귀족의 수가 크게 늘어나는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진골귀족의 수가 늘어나게 되자 王의 近親일지라도 官界 진출에 일정한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즉 왕의 從弟나 從叔의 官等이 舍知로서 비교적 낮았고, 관직도 縣令·長史 등 비교적 하위 관직이었던 사례도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진골귀족의 포화상태를 반영하여 준다. 이에 따라 왕실 및 진골귀족은 여러 家系로 分枝化되었다.080)李基東,<新羅下代의 王位繼承과 政治過程>(≪歷史學報≫85, 1980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一潮閣, 1984, 178∼180쪽). 진골귀족의 증가는 또한 자체 내의 도태작용을 수반하였다. 그리하여 진골귀족의 각 가계 사이에 왕위를 둘러싼 정권쟁탈전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정권쟁탈전은 혜공왕대에 일어난 여섯 번의 반란을 시작으로 하여 본격화되었다. 왕위쟁탈전에 참가했다가 패배한 가계는 권력에서 소외되어 몰락할 수밖에 없었다.

 자기도태에 의해서 몰락한 진골귀족의 가계는 지방의 연고지로 낙향하여 지방세력으로 전환하였다. 惠恭王 4년(768)에 일어난 大恭의 亂에서 王都 및 五道 州郡의 96角干이 서로 싸웠다. 대공을 비롯한 96각간은 진골귀족이었던 것으로 여겨지는 만큼, 이미 중대말에도 전국 각지에 진골귀족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830년대 후반의 치열한 왕위쟁탈전을 거치면서 몰락한 진골귀족의 낙향은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물론 진골귀족에 비하여 그 정치적·사회적 지위가 훨씬 낮았던 六頭品貴族의 낙향도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낙향귀족들은 食邑이나 祿邑 혹은 牧馬場 등을 기반으로 지방에서 일정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낙향귀족들은 신라말에 중앙정부의 지방통제력이 약화되었을 때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여 신라의 지배로부터 독립하여 호족으로 대두하였다.

 둘째, 골품제사회는 지방인의 중앙 진출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골품제사회는 中央人·慶州人의 특권만을, 그것도 진골귀족의 특권만을 보장해 주는 사회였다. 이런 사회에서 지방사회의 실력자들이 중앙으로 진출하여 사회적 지위를 상승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에 지방민들이 실력을 쌓더라도 그들은 지방사회에서 그 실력을 대를 물려 이어가면서 토착세력이 되는 길 이외에 다른 출구를 찾을 수가 없었다.

 지방사회의 실력자들은 촌락에서 村主로서 村政을 담당하면서 군현의 邑司에 참여하였는데, 이것이 국가체제 안에서 이룰 수 있는 사회적 진출의 전부였다. 촌주는 촌락에서 對民關係를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었고 村主位畓을 지급받았으므로 지방사회에서 세력기반을 확대하여 정치적·군사적 실력자로 성장할 수 있었다. 촌주 이외의 지방민들은 국가체제 밖에서 실력을 쌓아 유지·확대하였다. 지방민들은 松嶽의 作帝建이나 貞州의 柳天弓처럼 해상무역에 종사하거나 혹은 尙州의 阿慈介처럼 농업에 종사하면서 주로 경제적 실력을 기반으로 하여 지방사회의 실력자로 성장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유천궁처럼 邑의 長者로 불려지거나 公州의 兢讓(靜眞大師)의 선대처럼 州里의 長者나 郡邑의 豪戶 등으로 불려졌다. 그들은 경제적 실력을 바탕으로 지방사회에서 강력한 재지적 기반을 마련하여 독자적인 지방세력으로 대두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중앙 진출의 길을 봉쇄당했던 지방민들이 지방사회에서 독자적 지방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이들이 신라말에 중앙정부의 지방통제력이 약화되었을 때 신라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독립하여 호족이 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다. 골품제사회가 가진 두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지방사회에는 착실하게 실력을 쌓아 지방세력으로 성장한 잠재적인 독립세력이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은 적절한 기회가 오면 언제든지 신라의 지배로부터 벗어날 입장에 있었다. 그 기회는 다름 아니라 중앙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어 가는 시기에 왔다. 그 시기는 대체로 880년대 무렵이었다. 특히 전국이 내란상태에 놓이게 되는 진성여왕대에 이르러 호족은 전국 각지에서 대두하여「豪族의 時代」를 열었다.

<鄭淸柱>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