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1. 지방 통치조직의 정비와 그 구조
  • 2) 지방 통치조직의 구조
  • (2) 계수관과 영현

(2) 계수관과 영현

 영현과 속현이 향리제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데 반하여, 영현 사이에는 외관의 지위에 따라 界首官과 領縣으로 나뉜다. 계수관은 3경·3도호·8목의 수령을 말하는데, 이들 계수관은 각각 界內의 영현들과 상하관계를 맺고 있다.0401)尹武炳,<高麗時代 州府郡縣의 領屬關係와 界首官>(≪歷史學報≫17·18, 1962). 최근 계수관이 영속관계에 있던 영현 모두를 말한다는 주장0402)朴宗基,<高麗의 郡縣體制와 界首官>(≪韓國學論叢≫8, 國民大, 1986).도 있으나 조선초기 계수관의 용례를 보아도 역시 군·도호·목을 가리키는 것이 옳지 않을까 한다.

 계수관과 영현이 상하관계에 있다 하더라도 이는 행정계통상의 상하관계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고려에서는 중앙과 영현이 直牒關係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행정계통상 별도로 운영하였던 것처럼 보인다. 계수관은 上表陳賀, 鄕貢選上, 外獄囚推檢 등의 일을 맡아 보았다. 이런 계수관제는 현종 9년(1018) 3경 4도호 8목이 확정되면서 시행되었을 것이다. 고려 지방제도에서 계수관의 중간 기구로서의 기능을 안착사가 등장하면서 관장하게 된다는 설도 있으나,0403)邊太燮,<高麗時代 地方制度의 構造>(≪國史館論叢≫1, 1989). 최근 무인집권기하에 사록겸장서기로 全州에 파견된 李奎報 사례를 검토하여 안찰사 등장 이후에도 전주가 계수관으로서의 역할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0404)金皓東,<高麗 武臣政權時代 地方統治의 一斷面>(≪嶠南史學≫3, 1987). 계수관과 안찰사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