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1. 지방 통치조직의 정비와 그 구조
  • 2) 지방 통치조직의 구조
  • (4) 일원적 지방 통치조직의 진전

(4) 일원적 지방 통치조직의 진전

 고려의 지방 통치조직은 南道지역, 兩界지역, 그리고 京畿지역으로 다원화되어 있었으며 그 통치 내용도 지역에 따라 달랐다. 그러나 고려 말기에는 이러한 다원적이던 지방 통치조직이 점차 일원화되어 가고 있던 사실이 주목된다.

 먼저 고려왕조는 남도의 일반적인 통치조직과 달리 양계에 대해서는 군사적 지배체제를 강화하였으나, 고려 말기 공양왕 때에는 양계에도 남도와 마찬가지로 都觀察黜陟使를 설치하여 단일적인 지방 통치조직 편성의 단서를 열었다.0414)邊太燮,<高麗 兩界의 支配組織>(위의 책). 한편 공양왕 2년(1390)에는 종래의 특별 행정구역이던 京畿를 확대하고 그 좌우도에 도관찰출척사를 설치함으로써 경기도 일반 통치조직으로 개편되게 되었다.0415)邊太燮,<高麗時代 京畿의 統治制>(위의 책).

 그리하여 고려 말기에는 전국이 각도의 도관찰출척사를 정점으로 하는 일원적인 지방통치조직을 갖추게 된 것이다. 이러한 지방제도의 개편은 고려 지방제도의 발전을 의미하는 것이며, 뒤에 조선 초기 八道觀察使制의 밑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는 크다 할 것이다.

<河炫綱>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