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Ⅱ. 대외관계
  • 4. 일본 및 아라비아와의 관계
  • 2) 아라비아 및 남양 여러 나라와의 관계
  • (1) 고려와 아라비아와의 관계

(1) 고려와 아라비아와의 관계

 아라비아는 당시 大食이라 불리웠는데 이 大食國人은 唐代 이래로 南中國의 廣州(廣東)를 중심으로 무역을 해왔으며 송대에 이르러 송의 해외무역 장려책에 힘입어 활기를 띠었다. 그들은 당시 남중국 연안에 출입하면서 宋商의 고려무역에 자극되어 마침내 고려에까지 진출하였다.≪고려사≫世家에 보면, 현종 15년(1024) 9월에 “大食國의 悅羅慈 등 100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고 하였으며, 이듬해 9월에도 “대식국의 蠻夏, 詵羅慈 등 100명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는 기록이 보인다. 또 정종 6년(1040) 11월에는 대식국의 상인 保那盍 등이 와서 水銀·龍齒·占城香·沒藥·大蘇木 등 각종 물자를 바쳤는데, 왕은 해당 관원에게 명하여 그들을 客館에서 후하게 대접하도록 하였으며, 그들이 돌아갈 때에는 많은 금과 비단을 주었다.800)≪高麗史≫권 6, 世家 6, 정종 6년 11월 병인.

 아라비아 상인의 내왕에 관한 기사는 위에 보이는 3회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들이 고려와 지속적인 무역활동을 행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할 것이다. 그 이유는 당시 송의 상인은 고려와 아라비아 상인 사이에서 중계무역을 하고 있었으므로 이에 제약을 받아 고려에 대한 아라비아 상인의 활동이 적극적으로 계속되지 못한 것 같다.801)김상기,<해상의 활동과 문물의 교류>(≪국사상의 제문제≫4, 국사편찬위원회, 1959), 56쪽.

 아라비아와의 관계는 정치적 관계나 문화적 교류 같은 것은 전혀 보이지 않고 오직 상인들의 무역기사만 3회에 걸쳐 보이고 있다. 그리고 그 규모는 매번 일시에 100여 명씩 출입한 것을 볼 때 그들의 무역이 매우 대규모였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시 고려는 송을 통하여 다른 나라에 매우 부유한 나라, 문물이 발달하고 풍성한 나라로 소개되어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이 아라비아 상인들의 욕구를 충동하였다고 생각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