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Ⅰ. 불교
  • 2. 대장경의 조판
  • 2) 속장의 조판
  • (3) 전래본

(3) 전래본

 속장의 전래본 가운데 초간본은 오직 3종이 알려져 있을 뿐이며, 그 밖에는 중간본 또는 번각본이 아니면 근대에 分門의 원형을 그대로 찍어낸≪大日本續藏經≫이 있을 뿐이다. 속장 초간본 3종 중 완질이 그대로 전래되고 있는 것은 일본 奈良의 東大寺 도서관에 소장된 澄觀 찬술의<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제 1∼20권 40축뿐이다. 각 권은 감색으로 짙게 물들인 원 표지를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지폭 31.2cm의 양질 닥종이를 사용, 23cm의 높이로 그은 상하단변 안에 각 항 20자를 배자하고 있으며, 전장은 각 권마다 다르나 대체로 500cm에서 700cm 사이의 길이이다. 글자체는 중간 글자의 方筆(모난 필) 歐體系로서 매우 필력이 있고 단정하다. 새김과 인쇄가 섬세 정교하여 書品이 송판보다 월등하다는 평이다.

 ≪교장총록≫의 大華嚴經部에 들어 있는<隨疏演義鈔>40권은 징관 찬술에 해당하며302)義 天,≪新編諸宗敎藏總錄≫권 1, 2쪽. 권 제4의 下부터 권 제20의 下에는 다음과 같은 간행기록이 표시되어 있다.

권 제4의 下∼권 제5의 下 3권
  大安 10년 갑술세(선종 11, 1094)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권 제6의 上∼권 제10의 下, 권 제11의 下∼권 제15의 下 19권.
  壽昌 원년 을해세(헌종 1, 1095)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권 제11의 上, 권 제16의 上∼권 제20의 上 10권.
  壽昌 2년 병자세(숙종 1, 1096)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권 제20의 下 1권
  壽昌 2〔3〕년 정축세(숙종 2, 1097)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위의 권 제20의 下에 새겨진 ‘수창 2년 정축세’는 그 간지로 보아 ‘수창 3년 정축세’를 잘못 새긴 것으로 여겨진다. 또 권 제1의 上부터 권 제4의 上까지에는 간행기록이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수소연의초>가 권 제11의 上을 제외하고는 권의 순차에 따라 조판 연대가 차례로 표시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태안 10년보다 앞서 개판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언제 일본으로 유출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이<수소연의초>의 각 권을 두루 살펴 보면 여러 곳에 이 절의 사문 宗性이 독경하고 적은 글이 있다. 그런데 그 글에 貞永 원년(1232), 嘉禎 4년(1238), 建長 원년(1249), 文永 6·8·9년(1269·1271·1272) 등의 연대 표시가 있고, 또 같은 절의 대법사 正算이 普門院으로 보내고 쓴 글에는 文明 12년(1480)의 연대 표시가 있다. 그리고<수소연의초연기>해설에서는 이 절의 東南院 覺樹가 保安 원년(1120) 7월 太宰府에서 쓴 將來記에 의거, 송의 상인 莊永 蘇景 등에게 의뢰하여 고려에서 수입해 온 100여 권 불경 가운데 있는 20권 40축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303)≪東大寺圖書館新築紀念 東大寺藏國寶·重文善本聚英≫(東大寺圖書館, 1968), 7∼8쪽. 위의 여러 기록으로 미루어 일찍이 고려 때 일본으로 유출된 것만은 틀림이 없는 듯하다.

 다음으로 들 수 있는 속장 초간본은 일본 동경의 大東急文庫에 소장된 징관 찬술의<貞元新譯花嚴經疏>전 10권 중 권 10 영본 1축이다. 지폭 31.4cm의 양질 닥종이를 사용, 23.3cm의 높이로 그은 상하단변 안에 각 줄 20자를 배자하고 있으며 전장은 1,940cm이다. 글자체가 모난 필의의 힘있고 단정한 구체계인 점에서<화엄경수소연의초>와 공통된다. 새김과 인쇄도 역시 섬세 정교하며, 권축장이 크고 늠름하여 書品이 한결 돋보인다.304)千惠鳳,<新羅·高麗の書跡·典籍>(≪韓國美術≫2, 講談社, 1986), 114·272쪽.
≪東國大學校八十周年紀念 貞元新譯花嚴經疏≫권 10, 影印本 및 解說.
≪교장총록≫의「대화엄경부」에 들어 있는<貞元疏>10권은 징관이 찬술한 것인데,305)義 天,≪新編諸宗敎藏總錄≫권 1, 3쪽. 이 권 10영본 권말에 “수창 원년 을해세(헌종 1, 1095)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라는 간행기록이 있다.

 권 10의 1축이 헌종 원년에 간행되었으므로, 그 앞의 권 제 1∼9는 그 이전의 1∼2년 사이에 개판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 책의 일본 전래 경위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위의 동대사 소장본과 비교하여 보면 형태와 조건이 서로 비슷하다. 비록 잔질 영본이지만 간행기록이 있는 속장의 초간본은 위의 <수소연의초>와 이것뿐이다.

 끝으로 또 하나 들 것은 권말이 결락되어 간행기록을 잃은 淨源(1011∼1088) 찬집<注仁王護國般若經>권 1∼4의 1책(故趙明基 소장)이다.306)趙明基,<大覺國師의 天台思想과 續藏의 業績>(≪白性郁博士頌壽紀念佛敎學論文集≫, 1959), 23쪽.
文化財管理局編,≪動産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1985. 10. 現在―≫(1985), 13∼14쪽.
의천의 ≪교장총록≫권 1에 수록된<仁王經>아래의 ‘法四卷’ 다음에는 ‘科一卷’이 더 붙어 있으나307)義 天,≪新編諸宗敎藏總錄≫, 34쪽. 여기서는 그 과문이 결락되어 간행기록을 잃었다. 그러나 판식·판각기법 등이 위에서 든 일본 동대사 소장의<화엄경수소연의초>와 大東急文庫 소장의<정원신역화엄경소>와 비교해 보면 서로 비슷하다. 특히 판각이 정교하여 글자체가 힘있는 모난 필의 구체계를 잘 나타내주고 있으며 인쇄가 깨끗하여 판본이 우아 미려하다. 그리고 ‘建’의 글자를 피휘 결획한 것이 여러 곳에 나타나고 있다.

 이 책의 찬집자인 정원은 의천이 송나라에 들어 가서≪화엄경≫을 수강했던 스승이다. 의천은 그의 영향을 받은 바가 매우 컸으므로, 이 소초는 의천이 생존했던 12세기 초까지의 사이에 간행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속장을 번각한 것 가운데 현재까지 알려진 전래본으로는 대략 다음과 같은 것들이 손꼽힌다.

玄範,<大乘阿毘達磨雜集論疏>권 13·14 (松廣寺 소장)
  대안 9년 계유세(선종 10, 1093)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慧淨,<妙法蓮華經纘述>권 1·2 (송광사 소장)
  수창 원년 을해세(헌종 1, 1095)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道液,<淨名經集解關中疏>권 3·4 (閔泳珪 소장)
  수창 원년 을해세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宗密,<圓覺禮懺略本>권 2∼4 (개인 소장)
  수창 3년 정축세(숙종 2, 1097)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公哲 찬술, 志薀 刪補,<金剛般若經開玄鈔>권 4·5·6 (송광사 소장)
  수창 4년 무인세(숙종 3, 1098)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法寶,<大般涅槃經疏>권 9·10 (송광사 소장)
  수창 5년 기묘세(숙종 4, 1099)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思孝 科定,<妙法蓮花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권 1 (송광사 소장)
  수창 5년 기묘세(숙종 4, 1099)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吉藏,<法華玄論>권 3·4 (개인 소장)
  건통 2년 임오세(숙종 7, 1102) 고려국 대흥왕사 봉선조조.

 이들 번각본의 바탕은 선종 10년(1093)부터 숙종 7년(1102) 사이에 간행된 것들이다. 대부분이 영본 또는 잔결본이므로 번각기록은 잃었으나, 天順 5년(세조 7, 1461)의 刊經都監 중수기록이 있는<金剛般若經疏開玄鈔>권 6과 대사하여 보면 판각의 솜씨와 지질 등이 서로 비슷하다. 따라서 세조 연간에 간경도감에서 번각해낸 간본임을 알 수 있다.308)韓國文化財保護協會編,≪文化財大觀 8―寶物 6, 書畵·典籍―≫(1986), 74∼79·170·221∼224·256쪽.
千惠鳳,≪書藝·典籍―國寶 12―≫(藝耕産業社, 1985), 171∼173·284∼285쪽.

 속장의 번각본으로 발표된 것은 그 밖에도 子璿이 찬집한<首楞嚴義疏注經>권 4의 1·2, ■空이 찬술한<大般涅槃經義記圓旨鈔>권 13·14,309)朴奉石,<義天續藏の現存本に就て>(≪朝鮮之圖書館≫3-6, 1934), 31∼38쪽. 靈辨이 찬술한<華嚴經論>권 50∼56, 覺苑이 찬술한<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義釋演密鈔>권 7 등이 있다.310)趙明基, 앞의 글, 914∼915쪽. 이 잔질본들은 속장의 원조판기록이 표시된 권책을 잃었으나, 판식 글자체와 판각 솜씨가 역시 속장 원본과 같다. 그 중 <대반열반경의기원지초>에는 ‘천순 5년 신사세(세조 7, 1461) 조선국 간경도감 봉교중수’,<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의석연밀초>에는 ‘천순 6년 임오세(세조 8, 1462) 조선국 간경도감 봉교중수’의 번각기록이 표시되어 있다. 모두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속장 원본을 번각해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현재 국내에 비교적 많이 전해지고 있는 澄觀 찬술, 淨源 집록의 <大方廣佛華嚴經疏>후인본은 杭州 慧因院에서 의천에게 화엄경을 강경하던 정원이 엮은 120권본에 해당하며, 당지에서 은 3천냥을 주고 판각을 주문하여311)蘇 軾,<乞禁商旅過外國狀>(≪蘇東坡奏議集≫15, 권 8). 이듬해인 선종 4년(1087) 3월 상인 徐戩 등이 가지고 와서 납품한 경판에서312)≪高麗史≫권 10, 世家 10, 선종 4년 3월 갑술. 찍어낸 것들이다. 당시 항주지사였던 東坡 蘇軾이 올린 주의에는 그 경판의 상거래가 부당함을 맹렬히 지적했는데,313)蘇 軾,<論高麗進狀>(앞의 책, 권 6).
―――,<乞禁商旅過外國狀>(앞의 책, 권 8).
그 경판수는 총 2천 9백여 편이였다.≪교장총록≫‘大華嚴經’ 아래의 ‘大疏注經 一百二十卷’에 해당하는 주소본이며,314)義 天,≪新編諸宗敎藏總錄≫권 1, 3쪽. 고려 교장도감에서 다시 새기지 않고 이 송각판으로 충당하였다. 그리고 세종 6년(1424) 5월 일본 京都의 室町幕府에 사급되기까지315)≪世宗實錄≫권 26, 세종 6년 12월 무오. 끊임없이 인출 보급되어 그 전래본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그리고 그 전래본 가운데는 공민왕 21년(1372) 9월 영통사에서 李美冲·朴成亮·金師幸 등의 시주로 공인을 모집하여 도변상도의 판화를 정교롭게 새겨 권수를 한결 아름답게 장식한 것도 있어 보물로 지정되었다.316)千惠鳳,<義天의 入宋求法과 宋刻注華嚴經板>(≪東方學志≫54·55·56, 1987), 914∼915쪽.

 한편 일본 高野山에서는 우리의 속장에 의거 중간해내기도 하였다. 일본 高野山 대학도서관에는 志福이 찬술한<釋摩訶衍論通玄鈔>권 1(전 4권 중잔존 영본)과 法悟가 찬술한<釋摩訶衍論■玄疏>권 5 (전 5권 중 잔존 영본)의 간본이 소장되어 있는데,317)千惠鳳, 앞의 책 (1990), 72쪽. 여기에는 수창 5년 기묘 즉 숙종 4년(1099)에 고려국 대흥왕사가 봉선 조조한 본래의 간기가 그대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우리의 속장이 일찍이 일본에 유출되어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속장의 원 조판기록은 그 밖에도 우리의 장소를 바탕으로 하여 그대로 거듭 찍어낸≪대일본속장경≫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그 중 智儼이 찬술한<金剛般若經略疏>권 2에는 수창 원년(大安 10년) 갑술세(선종 11, 1094), 鮮演이 찬술한<華嚴經談玄決擇>권 6에는 수창 2년 병자세(숙종 1, 1096), 慧遠이 찬술한<地持論義記>권 10에는 수창 3년 정축세(숙종 2, 1097)의 표시가 있다. 더욱이 그 중<金剛般若經略疏>와<地持論義記>에는 조판연대에 이어 그 책을 새기기 위해 정서한 판서자와 교감자까지 그대로 식자되어 있다. 앞의 것은 魯榮이 판서하고 則瑜 등이 교감하였으며, 뒤의 것은 蔣髦가 판서하고 玄湛·會凡·覺樞 등이 교감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