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Ⅰ. 불교
  • 3. 불교행사의 성행
  • 2) 항례적인 불교행사
  • (3) 인왕백고좌도량

가. 인왕백고좌도량의 사상적 배경

 고려시대의 仁王百高座道場은 국가 관념과 관련하여 가장 비중이 큰 행사로 전국적인 飯僧이 수반되기도 하였다. 이 인왕백고좌도량은≪仁王護國般若羅蜜多心經≫즉≪仁王般若經≫을 외워 읽으며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법회이다.≪인왕반야경≫은 호국경전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경전으로, 이 가운데 護國品에서는 갖가지 재난과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는 국왕이 이 경을 하루에 두 번씩 외어야 할 것을 설하고 있다.

 인왕경은 두 종류가 있는데 鳩摩羅什의≪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과 不空이 번역한≪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으로 각각 두 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 두 경전이 모두 유포되었지만 처음 인왕백고좌도량이 열렸던 신라 진흥왕 12년(551) 당시에는 구마라집의 번역본을 토대로 하였고, 불공의 인왕경은 765년에야 도입되었다. 인왕경의 내용은 일관되게 호국신앙을 설하고 있으나 그 체제는 둘로 구분된다. 첫째 부분은 철저하게 대승사상과 보살사상을 설하여 호국사상의 근본 태도에 대하여 가르쳐 주고 있다. 호국 신앙은 불국토의 건설에 그 최고의 목적이 있으므로 국가를 평안케 하는 것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국왕도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노력할 때에 반드시 보살정신에 의거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둘째 부분은 호국품으로서 인왕경의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내 준다. 즉 부처가 대왕들에게 법을 설하면서 일체국토가 문란해지려 하고, 갖가지 재난과 외적이 침입할 때 이 법을 시행하라고 한다.

대왕들이여 국토가 혼란할 때에는 먼저 귀신이 亂하느니라. 귀신이 亂하므로 만인이 亂하고 적이 와서 나라를 겁탈하고, 백성이 망하고 목숨을 잃는다. 왕의 아들들, 그 밖의 백관이 서로 시비를 하고, 천지에 괴변이 생기며 28宿의 별들과 해와 달이 때를 잃고 그 절도를 잃는다. 큰 불과 홍수와 대풍 등의 갖가지 難이 생긴다. 이러할 때는 이 경을 강독해야 한다.

 여기에 열거된 여러 가지 難을 경에서는 7難이라고 하였다. 첫째 日月이 그 도를 잃는 일이고, 둘째는 28宿가 그 도를 잃는 것이며, 셋째는 大火, 넷째는 大水, 다섯째는 大風, 여섯째는 旱魃, 일곱째는 사방의 적이 침입해 오는 것이다.

 고대사회에 있어서 예측할 수 없는 자연 재해는 국가적인 재난으로 국왕뿐만 아니라 온 나라의 걱정거리였다. 사람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재난이나 괴리현상에 대처하려는 인간의 노력이 역사상으로 이러한 인왕경의 의궤를 토대로 百高座講會나 百座仁王道場이라는 의식을 낳는 근거가 되었고, 또「飯僧」이라는 고려왕실의 빈번한 행사의 전거가 되기도 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