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Ⅰ. 불교
  • 3. 불교행사의 성행
  • 3) 각종의 도량
  • (1) 화엄경도량

(1) 화엄경도량

 華嚴經道場은≪화엄경≫을 외며 강독하고 普賢菩薩이 세운 10大願을 마음에 되새기어 참회하는 한편,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거나 또는 재난을 없애기 위하여 기원하는 법회를 말한다.≪화엄경≫은 우주의 질서를 미적으로 표현한 대승경전 중에 으뜸을 차지하는 경전으로서, 그 속에 담겨있는 가르침도 훌륭하지만 경전 자체가 신앙의 대상이 된 경우도 많았다.

 국론통일의 사상으로서 지대한 역할을 담당한 화엄사상은, 중국의 則天武后가 국론통일의 사상에 毘盧遮那佛을 이용한 것이라든지 일본 奈良朝의 聖武天皇이 東大寺에 盧舍那佛을 만들어 전국에 國分寺를 설치할 때 그 이론적 근거로 이용하였던 것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나라를 달리하여 널리 채용된 국가경영의 근본사상이었다.

 신라시대부터 각 경전의 효력을 믿었지만 특히 화엄경은 부처의 화려한 세계를 보여주는 경전이었던 만큼 최고 경전으로 여겨졌는데 이런 경향은 고려 시대에도 어김없이 이어졌다. 화엄경도량이 설행된 가장 주된 이유는 국토를 불교 수행의 도량으로 본≪화엄경≫에 근거를 둔 오랜 신앙의 결과였다. 몽고의 침입으로 국난이 극심하였던 고종대에 왕의 親設로 17회나 설회되었던 華嚴神衆道場과 고려의 講經法會 중 가장 많은 설행 횟수를 가진≪仁王經≫,≪金光明經≫등의 호국경전의 강경의식도 그 경전들이 갖는 호국적인 의미와 더불어 화엄사상이 그 배후에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볼 때, 화엄도량의 설행목적도 이것들과 큰 연관을 갖고 있다 할 것이다.

 화엄경도량은 또한 찬불의 의미로도 설행되었다. 태조가 백제를 항복시킨 기념으로 開泰寺를 짓고 화엄법회를 연 것과 문종 즉위시 永興 지방의 적을 물리치고 화엄도량을 실행한 것 등은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한편 문종 37년(1083) 7월 興國寺에서 5일간에 걸쳐 열렸던 화엄도량에서는 날씨가 고르기를 기원했으며, 숙종 7년(1102) 4월에는 송충이의 해를 막기 위해 화엄경을 외는 의식이 있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