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Ⅱ. 문화
  • 3. 사서의 편찬
  • 3)≪편년통록≫과 기타 사서의 편찬
  • (2)≪편년통록≫

가. 성격과 그 이해

 ≪편년통록≫은 고려 의종 때 학자 金寬毅가 諸家에서 보관하고 있던 자료를 널리 수집하여 편찬한 것이나 현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행히≪高麗史≫첫 머리에 부기되어 있는<高麗世系>에서 태조 즉위 2년(919)에 왕실 3대 조상에 대한 추봉사실을 전하고, 이어서 김관의의≪편년통록≫을 인용하여 태조 王建이 탄생하기까지 6대조 즉 聖骨將軍 虎景·康忠·寶育·貞和王后 辰義·懿祖 作帝建·世祖 龍建에 대한 신이적인 행적과 혼인에 대한 설화를 전해주고 있어 사서로서의 신빙성 여부는 차치하고서라도≪편년통록≫의 성격의 일단을 살필 수 있다.

 물론<고려세계>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편년통록≫1,777자가 그 책의 내용 전부인지, 아니면 고려 선대 조상에 대한 기록만을 인용한 것 인지의 여부는 단정할 수 없으나 그 동안 학계에서는≪편년통록≫의 6대조 설화 기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우선 첫째,≪편년통록≫에 기록된 고려왕실 6대조의 설화를 분석하여 개경지방에서 차지하는 고려 왕씨의 세력 정도를 연구하려는 입장으로 두 가지 주장이 있다. 즉≪편년통록≫에서 왕실 선대의 혼인과 출생의 신비성을 위해 인용한 설화는 대개가 신라의 영웅설화를 끌어다 쓰거나 당나라의 貴姓까지 끌어들여 外祖로 삼아 선대를 미화시켰는데 이것은 적어도 왕건의 아버지 隆이 궁예에게 귀화하기 전까지는 그만큼 고려왕실이 미약했다는 사실을 대변해 줄 뿐이라는 입장458)金庠基,<國史上에 나타난 開國說話의 演變에 대하여>(≪白樂濬博士還曆紀念國學論叢≫, 1955).
河炫綱,<編年通錄과 高麗王室 世系의 성격>(≪韓國中世史硏究≫, 一潮閣, 1988).
과, 이와는 달리 왕건의 집안은 조부 작제건 때 이미 뱃길을 이용하여 당나라와 무역활동을 하여 부를 축적한 해상세력으로 자리잡아 오늘날의 황해도 및 경기도 서해안의 막강한 호족으로 성장하였다는 견해가 있다.459)朴漢卨,<王建世系의 貿易活動에 대하여>(≪史叢≫10, 1965). 둘째,≪편년통록≫을 통하여 고려인의 역사 계승의식의 실체를 보고자 한 고찰로 이것 역시 두 가지 견해가 상충되어 있다. 즉 시조 호경을 신라의 최고귀족인 성골장군이라 칭하였다는 사실 등에서 이는 신라를 정통으로 보려는 역사 계승의식의 증거라고 보는 견해460)河炫綱,<高麗時代의 歷史繼承意識>(≪韓國의 歷史認識≫上, 創作과 批評社, 1976), 191∼211쪽.
金毅圭,<高麗前期의 歷史認識>(≪韓國史論≫6, 國史編纂委員會, 1983), 22∼33쪽.
와 이와 달리 시조 호경이 白頭山에서 내려와 扶蘇山 左谷, 즉 개성지방에 이르러 정착했다는 기록에서 고려왕실의 기원은 고구려 계승이념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견해461)朴漢卨,<高麗王室의 起源>(≪史叢≫21·22, 1977). 등으로 대별된다.

 물론 국조설화의 내용을 국문학적으로 분석한 경우도 있지만,462)張德順,<民族說話의 分類와 硏究>(≪東亞文化≫5, 1965). 지금까지의 시각과 달리 風水圖讖思想의 영향 또는 道詵과 왕건과의 관련성을 살핀 논고라던가,463)朴漢卨,<高麗建國과 道詵國師>(≪先覺國師 道詵의 新硏究≫, 靈岩郡, 1988). 이상의 연구 토대 위에 비로소≪편년통록≫의 사학사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 눈에 띈다.464)Michael C. Rogers, Pyonnyon Tongnok:the Foundation Legend of the Koryo State,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 4. Univ. of Washington, 1982·1983.
河炫綱, 앞의 책, 6∼24쪽.
李基東,<金寬毅>(≪韓國史市民講座≫10, 一潮閣, 1992).
이 밖에 고려 후기 빈번히 실시된 고려 왕실족보 간행사업에서 김관의의≪편년통록≫이 그 모체가 된다는 사실을 밝힌 것도 있다.465)丁仲煥,<고려태조의 선대세계 설화에 대하여>(≪東亞論叢≫창간호, 1963). 끝으로 의종시대의 사상적 추이 내지 왕권 강화의 한 단면으로≪편년통록≫의 편찬 배경을 엿보고자 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466)河炫綱,<高麗 毅宗代의 性格>(≪東方學志≫26, 1981).
黃秉晟,<高麗 毅宗代의 政治實態와 武人亂>(≪慶熙史學≫14, 1987).
이상의 사실에서≪편년통록≫은 거의 동시대에 편찬된 기전체의≪삼국사기≫와 함께 고려 전기 역사인식과 시대상황을 조명해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서라 평할 수 있을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