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5. 상업과 화폐
  • 3) 화폐의 유통
  • (4) 원의 보초

(4) 원의 보초

 원간섭기에 들어와 화폐사에서 주목되는 현상은 원의 지폐가 유입되어 사용된 점이다. 전함 건조비 등 명목으로 유입된 寶鈔는 처음에는 단순한 軍票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그러나 여원연합군의 일본침략 준비를 계기로 점점 원 경제권에 통용되는 공통 화폐적 성격이 농후하게 되었다.1379)李能植, 앞의 글, 154쪽. 특히 은 부족으로 인한 은화 주조의 곤란은 원 경제권에 포섭된 경제현실과 상호작용하여 보초를 유통시키게 되었다.

 보초가 언제 고려에 유입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충렬왕 2년(1276) 3월에 낭장 李仁을 원에 보내 행궁의 비용을 청구하였고 또 은을 가져가 보초와 바꾸게 하였으므로, 이 때 이미 유입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1380)≪高麗史≫권 28, 世家 28, 충렬왕 2년 3월 갑술. 충렬왕 13년(1287)에는 원의 至元寶鈔와 中統寶鈔가 유입되었다. 원에서는 5·10·20·30·50·100·200·300·500문, 1·2관문의 11종 지원보초와 10·20·30·50·100·200·300·500문, 1·2관문의 10종 중통보초가 통용되었다. 고려에는 어떤 보초가 유입되었는지 분명하지 않으나, 지원보초 1관을 중통보초 5관의 가치로 통용시켰다.1381)≪高麗史≫권 79, 志 33, 食貨 2, 貨幣 충렬왕 13년 4월.
한국은행 발권부,≪韓國貨幣史≫(1966), 15∼16쪽.
원은 또 至大銀鈔를 만든 후, 충선왕 원년(1309) 行省郞 中忻豆를 보내어 지대은초도 사용할 것을 통고하였다.1382)≪高麗史≫권 33, 世家 33, 충선왕 원년 10월 신미. 그러나 곧 지원보초와 중통보초가 다시 사용되었으므로 지대은초는 거의 통용되지 않은 것 같다.1383)한국은행 발권부, 앞의 책, 15쪽. 그 후에도 원은 여러 차례 지원보초와 중통보초를 보내왔고, 고려도 원에 보초를 보내어 서적 등을 구입하였다.1384)≪高麗史≫권 34, 世家 34, 충숙왕 원년 6월 경인.

 보초는 왕과 관료들 사이의 贈答, 왕이나 승려 등의 원 왕래 비용, 군사비 조달, 연회 비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1385)井上正夫, 앞의 글, 203쪽.
須川英德, 앞의 글.
보초는 왕실을 비롯한 지배층 사이에 확산되어 고려 경제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다. 고려는 정치적 간섭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원 보초 통용권 속에 편입되게 되었다. 보초 통용은 고려 물자의 유출을 가져오고 물가를 폭등시키는 원인이 되었다.1386)張東翼,≪高麗後期外交史硏究≫(一潮閣, 1994), 139쪽. 보초 소지자들은 주로 귀족층이나 무역상인들이었다. 그러나 원의 몰락으로 보초는 휴지나 다름없이 되어 버려, 보초 소지자들은 큰 경제적 타격을 받았으며 나아가 이러한 타격은 권문세족의 정치적 몰락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1387)魏恩淑,<고려후기 직물수공업의 구조변동과 그 성격>(≪韓國文化硏究≫6, 釜山大, 1993), 214쪽.

 한편 고려말에는 명의 화폐도 유입되었다. 명의 화폐가 어느 정도 유통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명의 화폐와 고려의 포를 환산하기가 어려워, 공양왕 2년(1390) 6월 이후에는 명전 1관을 포 5필로 환산하도록 규정하였다. 이러한 교환비율이 규정된 사실에서 명전도 포와 함께 유통되었다고 보여진다.1388)≪高麗史≫권 79, 志 33, 食貨 2, 貨幣 공양왕 2년 6월.
井上正夫, 앞의 글, 200∼204쪽.
小葉田淳,<高麗朝貨幣史考>(≪經濟史硏究≫20, 1931), 2쪽.
奧村周司,<高麗の貨幣流通について-朝貢との關連性->(≪早稻田實業學校硏究紀要≫10, 1975), 159∼161쪽.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