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Ⅰ. 사상계의 변화
  • 2. 성리학의 전래와 수용
  • 3) 불교와의 관계
  • (1) 성리학 전래 이전의 불교와 유학

(1) 성리학 전래 이전의 불교와 유학

 불교와 유학(유교)은 성리학이 전해지기 이전까지는 서로 조화와 융합의 양상을 띠고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이같은 상호 병행의 儒·佛관계는 성리학의 전래와 함께 점차 변하기 시작하여 여말에 이르면 상당히 심각한 대립과 갈등을 나타내 보인다. 이는 곧 성리학으로 인한 유·불간의 관계변화를 말해주는 것으로, 양자의 대립·갈등이 근본적으로는 그 사상적·윤리적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성리학 전래 이전의 불교와 유학의 서로 다른 위치 및 상호대응 등의 역사과정이 또한 함께 반영되어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고려시대 불교는 건국 초부터 國敎로 받아들여져 왕실·귀족 일반백성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사상과 종교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그만큼 불교는 일찍부터 고려사회의 중심축으로서 사회전반에 걸쳐 폭넓게 작용하고 영향을 끼쳐온 것이다. 불교가 이와 같이 고려사회에 하나의 중심축을 이루게 되는 데에는 그 신앙적 전통이나 포용적인 대중성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그 가운데서도 가장 직접적인 것으로는 국가의 불교보호와 진흥책을 들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불교진흥책이 결국 불교의 융성과 함께 그 對社會的 기능과 역할을 더욱 확대·촉진시켰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다시 각도를 조금 달리하여, 그 또 다른 원인을 유학이나 도교와 관련지워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럴 경우 먼저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유학과 도교가 지닌 제한적 성격이다. 신앙 및 대중성은 물론 그 기능과 역할의 측면에서 양자는 불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제한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는 초기부터 정치지도이념으로 확고하게 자리잡아 갔고, 한편 후자도 당시 사상계를 이끌어 가는데 이바지한 바는 크다 하겠다. 이런 사정은 성리학 전래 이전의 고려유학과 도교, 더 나아가 풍수도참을 포괄하는 전개상황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을 일별해 보면 더욱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건국 초부터 불교와 함께 양립해 온 고려유학은 태조 왕건이 건국지도이념으로 수용한 이후, 광종의 흥학 노력과 과거제도의 실시로 대략 이 무렵부터 국가사회적인 비중이 매우 높아진다. 이후 그것은 특히 성종·문종대를 거쳐오는 동안 관학 또는 사학으로서 크게 진흥되어 무신란이 발생하는 의종대 이전까지는 계속 발전해 왔다. 그러나 이 漢唐風의 유학은 그 기능이나 역할면에서 볼 때 중앙집권적인 귀족정치의 구현에 부응하는 실용적 현실성 외에, 사회와 민중의 전반적 정신세계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시 말하면 성리학 전래 이전의 고려유학은 王道主義와 文治政策의 이념적 근간이 되었고 귀족사회의 교양으로서 일부 문화적 기능을 보여주기는 했지만, 그것이 고려사회를 이끌어 가는 원동력으로까지는 작용하지 못했던 것이다.0292) 고려 전기 유학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평가는 이와 다를 수도 있다. 성리학 전래 이전의 고려유학은 ‘조선에 비해 보다 포괄적이고 실천적이며 특히 국가사회의 현실과 인민들의 실제생활에 입각하여 불교와 도교의 낭비와 거짓, 그리고 백성들의 미신적 의식을 비판하고 깨우치는데 크게 기여한 합리적인 것이었음을 인정해야 할 것’(金忠烈,≪高麗儒學史≫, 高麗大 出版部, 1984, 57쪽)이란 견해도 아울러 참고할 수 있다.

 이같은 제한적 성격은 유학보다 도교의 경우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역시 국초부터 八關齋 등 불교의 의례 속에 습합되어 전해져 온 고려의 도교는 예종대에 고려인이 송에 가서 도교를 배워오고 또 송 徽宗이 道士를 파견함에 개경 북쪽에 福源宮을 세워서 道敎書를 전습케 하는 등의 활동이 보인다.0293) 李能和,≪韓國道敎史≫(東國大 出版部, 1959), 106쪽. 이후 고려 말까지 도교적 활동의 흔적이 이어지고는 있지만, 그것은 주로 齋醮 등을 통해 국가와 왕을 위한 祈祝 정도로 그 역할이 한정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도교적 의례가 거행되어 오는 가운데 사회저변에 노장적 분위기가 짙게 깔려 있음을 문인학자들의 저술을 통하여 엿볼 수 있다. 그러나 도교 또한 민중의 정신세계와 사회현실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교로까지는 성장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유학과 도교는 지배계층으로부터 서민대중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정신세계와 사회현실에 폭넓게 관여할 수 있었던 불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사상체계나 종교적 성격이 미흡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사상 및 종교성은 물론 풍부한 인적·물적 기반 등 여러 측면에서 앞서 있던 불교가 사상계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던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러나 이같은 불교의 위상과 그 활동이 반드시 긍정적 방향으로만 전개되어 간 것은 아니다. 국가의 지도이념으로서의 불교 역시 절대선일 수만은 없었으며, 더구나 이미 고려 전기부터 드러난 불교의 여러 가지 폐해는 후기에 이르면 심각한 사회·경제적인 문제로 대두되기까지 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사상계나 사회현실에 있어서 거의 제약없이 독주해 온 불교가 스스로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을 무렵 새로운 유학사상으로 전해진 것이 성리학이었다.

 성리학은 이후 고려유학의 주류를 형성하면서 그 동안 사상 및 정신세계와 사회현실을 지배해 온 불교에 대해 강력한 비판과 견제세력으로 등장하게 된다. 그리하여 불교와 유학은 비로소 서로 대립하기 시작하거니와, 이런 유불대립의 현상은 비단 고려에만 국한되었던 것은 아니다. 그것은 이미 중국에서부터 치열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송대 성리학은 그 발생 자체가 어느 면에서 본다면 유·불대립과 교섭의 역사적 산물이기도 하였다.

 중국에 있어서 유·불대립을 알리는 排佛論이 본격적으로 대두되기는 대략 당 중엽부터이다. 그 중에 唐宋八大家의 1인으로 일컬어지는 韓愈(768∼824)의 불교비판과 배격은0294) 韓愈는<原道>·<論佛骨表>·<與孟簡書>의 3편을 지어 불교를 비판·배격하고 있다. 그는<原道>에서 佛·道 2敎는 국민에게 무위도식을 가르치고 倫常을 무너뜨리며 천하국가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夷狄의 가르침은 유교의 정신에 위배된다고 비판하고, 2교를 배척할 방책으로서는 僧尼를 환속시키고 2교의 전적을 불사르며 寺觀을 民舍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鎌田茂雄,≪中國佛敎史≫, 岩波書店, 1980, 218쪽). 중국의 배불론 전개에 하나의 이정표가 된다. 이후 송대에 들어서면 그것은 더욱 격화되어 북송 초 歐陽修의 배불론을 필두로, 張載·程顥·程頣·楊時·朱熹 등 송대 신유학의 형성에 주축이 되었던 유학자 거의 대부분이 불교사상 전반에 걸쳐 강력한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물론 이에 대한 불교측의 반박 또한 결코 만만치 않은 것이어서0295) 唐代의 韓愈와 宋儒들의 배불론에 대한 불교측의 반박으로는 契嵩의<非韓><輔敎篇>, 張商英의<護法論>, 劉謐의<三敎平心論>, 李屛山의<鳴道集說>, 屠隆의<佛法金湯錄> 등이 있다. 송대의 유·불대립은 주로 사상적 논쟁이 그 특징을 이룬다. 그리하여 이 시대 유학자들은 불교와의 사상논쟁을 통해, 한편에서는 불교를 비판 배격하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불교의 사상체계를 수용하여 그들의 유학체계를 새롭게 편성해가고 있었던 것이다.0296) 久保田量遠,≪中國儒道佛三敎史論≫(東方書院, 1931), 508쪽 참조.
송대 유학자들은 불교의 심오한 철학적 이론에 이끌려 그것을 연구하다가 혹은 불교에 귀의하거나 아니면 그들이 습득한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오히려 불교를 비판하였고, 또는 불교교리를 응용하여 유교철학에 자연철학의 한 새로운 기틀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유·불간의 사상적 대립과정이 보여주듯이, 성리학은 본래 도교와 불교 그 중에서도 특히 당시의 시대사상으로 군림하던 불교에 대한 반발과 비판의식에서 발흥한 것이다. 따라서 주로 불교를 극복의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성리학에는 형이상학적 이론의 탐구와 심성수양의 강조 등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 없지 않다.0297) 尹絲淳,<朝鮮朝禮思想의 硏究-性理學과의 관련을 중심으로->(≪東洋學≫ 13, 檀國大 東洋學硏究所, 1983), 221쪽. 그런 뜻에서 오히려 성리학과 불교는 어느 면으로 상호교섭의 관계를 갖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원으로부터 성리학이 고려에 전해졌을 때 그것은 유학계 뿐만 아니라 불교측에도 지대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동안 별다른 갈등없이 병행되어 온 고려의 불교와 유학은 상호교섭과 이해의 기반이 어느 정도 두텁게 형성되어 있었고 특히 일부 승려와 信佛 유학자들간의 교류가 빈번했음을 상기할 때 더욱 그러하다.

 성리학 전래 이전의 고려 불교계에는 유학지식을 갖춘 승려들이 의외로 많았다. 이 때문에 학자가 이들 승려에게서 유학을 배우는 경향마저 상당히 보편화되어 있던 형편이었지만, 그러나 이는 불교측의 자발적인 혹은 필요에 의한 유학수용의 결과로서 나타난 현상은 아니었다. 그것은 정변에 의한 시대상황의 한 소산이었는데,≪櫟翁稗說≫에서 이런 사정을 짐작케 한다.

의종 말년 무인의 변란이 일어나 수년간에 薰蕕가 그 냄새를 같이하고 玉石이 함께 타는 것처럼 선악의 구별이 없었습니다. 그 중에 겨우 범의 아가리에서 벗어난 것처럼 화를 피한 자는 깊은 산속으로 도망가서 의관을 벗어버리고 가사를 입고 남은 생애를 마쳤으니 神駿·悟生이 그들입니다. 그 후 국가에서 차츰 文을 쓰는 정책을 회복하자 선비들이 비록 학문을 원하는 뜻이 있으나 좇아 배울 만한 곳이 없었으니 부득이 가사를 입고 깊은 산중에 도망가 있는 이를 찾아가 배우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그러므로 臣의 생각에는 학자들이 중을 좇아 章句만을 익히게 된 그 원인이 대개 이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봅니다(李齊賢,≪櫟翁稗說≫ 전집 1).

 사정이야 어떠했던 간에 불교계에 유학지식을 쌓은 승려들이 많았던 것은 고려불교의 유학에 대한 이해증진과 함께 유·불 상호병행의 공감대를 더욱 넓히는 계기가 되기에 충분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유·불교섭의 관계는 그 후 최씨무신집권기에 유학자 출신 승려들과 유학자들 사이의 사상적 교류에서 더욱 긴밀해짐을 느낄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는 유불일치와 융합의 새로운 경향까지 일어나고 있어서, 장차 성리학의 전래 및 그 수용기반 문제와도 관련하여 각별히 주목할 만한 것이다.

 무신란 발생으로 문인들이 난을 피해 산중에 들어가 승려가 되는 예를 위에서 본 바 있지만, 유학자들이 불문에 귀의하는 일은 무신집권 후기에도 적지 않았다. 그리고 전자의 출가와는 그 동기가 또 달랐던 이들이 당시 불교계 안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은 매우 큰 것이었다. 무신집권 이후 불교계에는 새로운 사상과 신앙운동으로서 禪宗의 知訥에 의한 定慧結社(修禪社)와 天台宗의 了世에 의한 白蓮結社(白蓮社)가 조직되어 고려불교를 주도하였거니와0298) 禪宗의 定慧結社는 知訥에 의해 명종 20년(1190) 公山 居祖寺에서 시작되어 신종 3년(1200)에 松廣山 吉祥寺로 옮겨 더욱 본격화되었다. 그 영향을 받아 일어난 天台宗의 白蓮結社는 了世가 康津郡 萬德寺 古基에 가람을 개창하고 고종 8년(1221)에 이 곳에 普賢道場을 개설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이들 결사는 여러 가지 면에서 대조되는 불교사상운동의 쌍벽으로서 13세기 후반의 고려불교는 이 두 결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이 새로운 불교운동이 바로 이들 유학자 출신의 승려들에 의해서 계승되고 있었던 것이다.

 신앙결사운동은 본래 왕실 및 문벌세력들과 결탁하여 정치에 개입하는 등 그 동안 종교적 순수성을 잃어버린 불교에 대한 반성과 자각에서 출발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불교 본래의 순수한 자세로 돌아가 禪사상을 진작시키고 수행의 대중화를 이룩함으로써 고려불교를 혁신시키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눌의 수선사에서는 심성문제를 주요과제로 삼아 직관적인 깨달음과 점차적인 수행의 결합을 지향하는 이른바 頓悟漸修·定慧雙修的 禪法의 선양에 주력하였고, 요세의 백련사에서는 法華·天台의 참회수행법과 淨土信仰의 결합을 통해 보다 폭넓은 대중적 수행을 도모해 갔던 것이다.0299) 高翊晋,<圓妙了世의 白蓮結社와 그 思想的 動機>(≪佛敎學報≫ 15, 東國大, 1978), 112·119쪽 참조.
知訥의 禪思想체계는 惺寂等持門·圓頓信解門·看話徑截門 3문의 조직으로, 了世의 대중적인 수행은 天台止觀·法華三昧懺·淨土求生의 3문으로 각각 설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선사와 백련사 결사는 불교혁신을 위한 사상과 신앙 실천운동으로서 전개되었던 것이지만, 한편 그것이 무신통치 아래 정체되어 온 고려의 사상 및 정신세계에 끼친 자극 또한 적지 않았던 것 같다. 당시 유능한 문인 유학자들이 官界로 나아가 입신출세하는 길을 버리고 결사에 찾아들고 있으며, 또한 이들을 중심으로 유불일치와 융합의 새로운 사상조류가 형성되고 있음이 그런 사정을 짐작해 볼 수 있게 한다.

 유학자 출신으로 불문에 귀의한 대표적인 인물로는 수선사의 慧諶(1178∼1234)을 들 수 있다.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여 대학에 들어가기도 했던 그는 출가한 뒤 지눌을 계승하여 看話禪法을 크게 진작시켰으며, 최씨정권의 두터운 후원 아래 불교계 안에서 수선사의 지위를 확고하게 다져놓은 것도 바로 그였다.0300) 慧諶 및 修禪社와 崔氏무신집권과의 긴밀한 유대관계에 대해서는 閔賢九,<月南寺址 眞覺國師碑의 陰記에 대한 一考察>(≪震檀學報≫ 36, 1973)에 상세하게 밝혀져 있다. 관계의 인사들과도 교류의 폭이 넓었던 혜심은 座主와 門生의 사이인 參政 崔洪胤에게 보내는 글에서 “그 이름만 생각한다면 불교와 유교가 아주 다르지만 실지를 알면 유교와 불교는 서로 다름이 없다”고 말한다. 또 불교의≪起世界經≫의 설을 인용하여 “유교와 도교의 宗은 心法에서 나온 것이므로 방편(權)은 다르지만 실체는 같다”0301) 慧諶,<曹溪眞覺國師語錄 答崔參政洪胤>(≪韓國佛敎全書≫ 6, 1984), 46∼47쪽.고 말함으로써 유불일치와 융합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혜심의 이같은 논리전개에는 다소 무리가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지만,0302) 불교 위주의 儒佛一致說이 얼마나 납득되었을지도 의문이지만, 특히 慧諶이 그 논리적 근거로서 僞經으로 인정되고 있는≪起世界經≫의 迦葉菩薩·儒童菩薩說을 인용하고 있음은 그만큼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로써 유불일치를 지향하고 있는 당시 불교계 안의 한 흐름은 유추해 볼 수가 있다.

 수선사의 혜심 외에, 요세에 이어서 백련사를 계승해 간 天因(1205∼1248)과 그 다음의 天頙(1206∼?) 역시 손꼽히는 유학자 출신 승려들이다. 천인은 일찍이 국자감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입학한 바 있으며, 천책 또한 예부시에까지 합격하기도 했던 인물들로, 이들 또한 백련사를 더욱 확장하여 발전시키는 데 결정적으로 공헌했던 천태종 결사운동의 주축들이었다. 천인과 천책은 혜심만큼 직접적으로 유불일치를 말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기존의 유학자들과 사상적으로 깊은 교류를 가지면서 유불융합의 입장을 보이고 있는 점에서는0303) 林桂一 撰,<萬德山白蓮社靜明國師詩集序>(≪東文選≫ 권 83) 및 天頙 撰,<萬德山白蓮社第十四代眞淨國師湖山錄 권 하, 答藝臺亞監閔昊書>(≪韓國佛敎全書≫ 6, 210쪽) 등에 이들의 儒佛을 겸비한 면모와 유불융합적 사상이 산견된다. 이들 역시 혜심과 다르지 않다.

 이와 같은 유불일치 및 융합의 경향은 물론 무신집권기에 들어와 유학자 출신 승려들에 의해 비로소 제기된 것은 아니다. 그 동안 불교와 유학은 큰 갈등 없이 병존해 왔고, 유학자측에서도 이미 그것은 충분히 인정되어 왔던 것이다. 가령 유교주의를 지향했던 성종 때 崔承老가 불교와 유교를 각각 末世와 금일을 위한 가치체계로 받아들였던 것이나, 현종 때 蔡忠順이 孝를 중심으로 불교와 유교를 동일선상에서 인정하고 있는 것0304) 安啓賢,≪韓國佛敎史硏究≫(同和出版公社, 1982), 285쪽. 등은 유학측에서도 일찍부터 유불병존과 타협을 모색해 왔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심성문제에 관한 관심이 각별하게 고조되고 있던 선종의 수선사를 중심으로 주로 유학자 출신 승려들에 의해 제기되었던 유불일치와 융합의 경향은 분명 그 이전의 유불병존과는 다른 새로운 사상조류였다. 그리고 이같은 사상적 조류가 자체 성숙과정을 거침으로써 후일 유학계로 하여금 성리학을 수용하게 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으리라는 점에서0305) 文喆永,<麗末 新興士大夫들의 新儒學 수용과 그 특징>(≪韓國文化≫ 3, 서울大, 1982), 110∼111쪽 참조. 무신집권 기간중의 유불관계는 좀 더 각별한 의미를 부여해도 좋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성리학 전래 이전의 고려불교와 유학은 불교가 사상계 및 사회현실을 주도하는 가운데서도 일찍부터 상호병존을 모색해왔고, 그것이 무신집권기에 이르러서는 유불일치와 융합을 지향하는 새로운 관계의 진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불일치와 융합은 혜심의 논리에서도 드러나는 바와 같이 어디까지나 불교를 위주로 한 일치와 융합을 뜻하는 것이었다. 이는 그만큼 성리학의 전래로 유학계가 스스로 그 체질을 개선하기 전까지는 불교가 유학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