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Ⅱ. 문화의 발달
  • 1. 과학과 기술
  • 6) 의약학과 생물학
  • (2) 고려의약학의 체계적 전개

(2) 고려의약학의 체계적 전개

 12세기에서 13세기에 이르는 사이에 이루어진 고려의학의 자주적 발전은, 13세기 이후 나타난 많은 고유의 향약의서로 그 학문적 체계가 서게 되었다.≪三和子鄕藥方≫·≪鄕藥古方≫·≪東人經驗方≫·≪鄕藥惠民經驗方≫·≪鄕藥簡易方≫·≪診脈圖訣≫등이 그것이다. 이 여섯 가지 의서들은 모두 산일되어 없어졌으나,≪진맥도결≫을 제외한 나머지 책들은 조선 초에 간행된≪향약집성방≫중에 그 처방들이 인용되어 남아 있어서 그것들을 통하여 고려 말의 향약서의 내용이 개략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삼화자향약방≫은 고려 말의 임상서로서 그 당시 의원들이 널리 쓰던 의약서였다. 이 사실은 조선 태조 7년(1398)에 성립된≪鄕藥濟生集成方≫에 權近이 쓴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우리 나라 풍속이 흔히 한 가지 약초로 한 가지 병을 고쳐 효를 보게 마련인 것은 많이 경험한 바다. 일찍≪삼화자향약방≫이 있어 자못 간요하나 그 생략된 것을 흠으로 알았더니, 지난번 지금 判門下 權公仲和가 徐贊이란 사람을 시켜 더욱 모으고 편집해서 簡易方을 저술하였으나, 그 책이 오히려 세상에 널리 쓰이는 바 못되었다.…위로 임금의 마음을 본받아 서울에다 제생원을 두고…(權近,<鄕藥濟生集成方序>,≪東文選≫ 권 9).

 이 서문은≪삼화자향약방≫이≪향약간이방≫과≪향약제생집성방≫의 기본자료였음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은 그 뒤≪향약집성방≫을 편찬할 때도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그것은≪향약집성방≫이 病門을 46대강목으로 분류하였는데 그 중에서 28강목에 걸쳐 190여 처방이나 인용되었고 부인과와 소아과에서도 30종에 달하는 처방이 인용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삼화자향약방≫이 ≪향약집성방≫에 널리 인용된 것은 그것이 그 당시에 가장 실용적인 향약의서였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향약고방≫은 신라시대 또는 고려 전기에 걸쳐 전해오는 민가에서 상용하던 약방으로 된 경험의서로서≪향약집성방≫중에는 겨우 4개의 처방이 인용되었을 뿐이다.

 ≪동인경험방≫역시 고려 때 경험방을 수집한 것으로 위에서 본 권근의≪향약제생집성방≫의 서문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이 책의 내용은 그 처방이≪향약집성방≫에 6개,≪新編集成馬醫方牛醫方≫에 5개가 인용되어 있어서 그 일부를 엿볼 수 있는데, 다소 독자적인 특색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이 전혀 고려인들의 전통적 경험방만을 수집한 것이라고 속단할 수는 없고, 비교적 다른 향약방에 비하여 실증적인 특색이 짙다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하겠다.

 ≪향약혜민경험방≫도 역시 고려 때의 향약의서였다. 이 책도 지금 남아 있지 않으나 조선 태조 2년에 전라도 按廉使 金希善이 都評議使司에 한 보고서에서 각 도에 의학교수 한 사람씩을 보내어≪향약혜민경험방≫을 학습케 하라고0430)≪太祖實錄≫권 3, 태조 2년 2월 을해. 기록된 것에서 이 책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그리고≪향약집성방≫중에 26개의 처방이 11문에 걸쳐 인용되고 있어 그 내용의 일부를 엿보게 한다.

 ≪향약간이방≫은 위에서 말한≪삼화자향약방≫에 권근이 서문에 쓴 것과 같이 삼화자방이 너무 간략하므로 권중화가 서찬에게 지시하여 그것을 더 수집·증보한 것이다. 이 책도 그 후 다시 조선 초의≪향약제생집성방≫의 원본이 되었다. 이 책은 고려 말에 있었던 향약에 의한 처방들을 수집한 것임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편찬된 시기도 고려 말이었는지는 사실상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이 책에 담겨진 향약처방들은 모두 고려 때 것이 확실하므로 이 의약서를 고려의서로 다루게 된 것이다. 여기 실린 처방들은≪향약집성방≫에 13문에 걸쳐 50여 가지가 인용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그 당시에 있었던 중요한 의약서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진맥도결≫도 공양왕 원년(1389)에 鄭道傳이 편찬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이미 산일되어 그 내용의 전부를 알 수는 없다. 다만 李崇仁의<診脈圖誌>에 의하여 이 책이 주로 진단에 필요한 제가의 맥법을 도결로써 해설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아마도 송·원으로부터 전해오는 맥법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해설한 책이라고 생각되고 있다.0431) 金斗鐘,≪韓國醫學史≫(探求堂, 1966) 참조.

 이렇게 고려 말기에 사용되던 향약의약서의 처방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그것들은 대체로 당·송의 의약학지식의 바탕 위에 성립된 한국산 약재에 의한 각종 처방이 연구·수집되어 이루어진 고려의약학의 자주적 발전의 결실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고려의약학은 중국의학의 학문적 체계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중국 의존의 일변도에서 벗어나서 독자적 발전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바탕이 완성된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