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Ⅱ. 문화의 발달
  • 8. 체육
  • 5) 축국

5) 축국

 蹴鞠은 엄격한 규칙 아래 형식을 갖추어 실시된 것은 아니지만 놀이성을 지닌 공을 차는 경기로 오늘날의 축구와 비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축국은 고려시대 이전부터 널리 행해진 것이≪舊唐書≫·≪隋書≫·≪三國史記≫·≪三國遺事≫ 등의 기록을 통하여 확인되는데 놀이의 형식은 확실히 알 수 없다. 다만 조선의 정조 14년(1790) 韓嶠가 저술한≪武藝圖譜通志≫를 보면 단편적인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仲無頗의<氣毬賦>에서 “저쪽에서 뛰면서 굴러서 蹴鞠을 준다. 어느 발로나 찬다”고 하였다.<初學記>에서는 “鞠은 곧 毬자이다. 오늘날의 蹴鞠은 공놀이로 옛날에는 털을 사용하여 헝클어진 것을 얽어서 하였다”고 하여 털뭉치 등을 발로 차는 즐거운 놀이임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불어 넣은 공이 아님을 알 수 있는데 다음의 시를 통하여 고려시대의 놀이는 한층 발전된 기구를 사용하였음을 볼 수 있다.

공에 바람을 넣어 사람들이 모여 차다가

바람이 빠져 사람들이 또 헤어지니 쭈그러진 빈 주머니가 남았다.

 (李奎報,≪東國李相國集≫ 후집 권 6, 古律詩 偶見氣毬回寓意).

 그러나 이러한 단편적인 자료만 가지고 운동의 형식을 알 수는 없다. 다만 축국의 전래 경로를 살펴볼 때 중국으로부터 한국을 거쳐 일본에 전파된 시기가 8세기로 들어가기 전이며0909) 羅絢成,≪韓國體育史硏究≫(文泉社, 1979), 151쪽. 계속되는 중국과 교류가 있었음을 염두에 둔다면 고려와 같은 시기 송의 축국을 살펴봄으로써 운동형식을 짐작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북송에서는 두 개의 구문을 사용하는 축국과 한 개의 구문을 사용하는 축국이 행하여졌다. 한 개의 구문을 사용하는 축국은 대체로 북송 말부터 시작하였고 청나라 중엽에 와서는 하지 않게 되었다. 구문의 크기는 높이가 약 3丈 정도이며 많은 5색천이 매어졌다. 북송시대에는 매년 10월 12일에 궁정에서 축국을 하였는데 경기법·인원·복장·승패에 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0910) 笹島恒輔,≪中國體育史≫(逍遙書院, 1960), 67∼68쪽.

① 경기법-중앙에 세원진 구문의 양쪽에 두 팀이 마주 보고 선다. 먼저 공을 잡은 팀이 패스를 하여 구문을 통과, 상대의 진영에 차 넣는다. 상대는 그 공을 받아 구문을 통과시켜 다시 상대의 진영으로 차 보내는 것을 계속한다. 경기를 하는 동안에는 음악이 연주되었다. ② 인원-10여 명 ③ 복장-좌군은 홍금의, 우군은 청금의를 입으며 주장은 매듭이 긴 幞頭를, 나머지는 짧은 매듭의 복두를 착용한다. ④ 승패규정-승자에게는 銀碗과 錦布를 하사하고 패자의 주장은 鞭打를 당하며 수모를 겪었다.

 물론 고려시대의 축국이 반드시 이것과 일치한다고 할 수 없지만 문화의 교류현상에 비추어 볼 때 유사하였을 것으로 보이며, 삼국시대로부터 조선 말기까지 성행된 사실은 병사들의 훈련에서 시작된 것이 시대가 변천하여 가는데 따라 흥미있는 오락경기로 대치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