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Ⅱ. 문화의 발달
  • 10. 의식주생활
  • 2) 식생활
  • (1) 곡물의 증산과 병과류의 기술증진

가. 미곡의 증산

 고려시대에 경작한 곡물은 전 시대에 이어 쌀·보리·밀·메밀·조·기장·수수·팔·콩·녹두·율무·깨 등이며 그 중 쌀은 주식곡이면서 물물교환의 가치기준이었고 녹봉의 대상이었다. 그러므로 고려는 초기부터 역대 왕이 미곡증산에 주력하였다.1174) 震檀學會,≪韓國史≫ 中世篇 (乙酉文化社, 1961), 164∼172쪽. 태조 왕건은 백성에 대한 세금을 줄이고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광종 24년(973) 개간한 농지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려주었다. 또 성종 2년(983)에는 籍田을 실시하여 왕이 스스로 권농에 참여하였으며, 성종 6년에는 각 주와 군의 병기를 모아 농구제조에 쓰게 하였다. 현종 9년(1018)에는 북으로부터 온 난민에게 나라에서 소를 대여하고 농구를 보냈으며, 고종 46년(1259)에는 빈민에게 곡식 씨앗을 보내는 등 역대 왕들은 적극적인 권농정책을 시행하였다. 또한 역대에 걸쳐 관개시설을 수축하고, 각 지역에 勸農使를 파견하였으며, 義倉을 확대하고 常平倉을 두어 구휼과 곡가안정에 대처하는 등 농산증대에 힘썼으므로, 양곡증산으로 비축량도 늘어났다.≪高麗史≫ 食貨志에는 “문종이 절검 간소한 생활을 하여 大倉의 곡식이 쌓여 썩을 만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정치를 폈다”고1175)≪高麗史≫ 권 77, 志 32, 食貨 1. 기록되어 있다.≪高麗圖經≫에서도 “大義倉이 서문 안에 있는데 쌀이 300만이 쌓여 있다”고1176) 徐 兢,≪高麗圖經≫ 권 16, 官府 倉廩. 하였다.

 한편 역대로 飯僧行事의 규모가 수만 명에 이르렀고, 당시의 수도 개경에 설치된 상가 長廊에서는 10칸 간격으로 불상과 白米漿을 준비하여 길가는 사람들에게 베풀었다.1177) 徐 兢,≪高麗圖經≫ 권 23, 雜俗 2, 白米漿. 이러한 사례는 숭불사조와 관계가 깊은 것이지만 미곡증산의 배경이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어서 이러한 환경에서 다음과 같이 우리 나라 병과류의 기술이 고도로 발달하게 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