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Ⅱ. 중앙 정치구조
  • 1. 정치구조의 정비와 정치기구
  • 2) 정치기구의 기능과 구성
  • (1) 도평의사사·문하부·(의흥)삼군부·집현전

가. 도평의사사

 조선의 도평의사사는 개국과 함께 고려 말의 도평의사사를 계승하면서 성립되었다. 정종 32(1400)에 그 강력한 권력을 분산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행정권은 의정부로 개칭하여 담당시키고 군사권은 중추원으로 이관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도평의사사는 고려 때와 같이 최고의 논의·의결기관이었고, 6조 이하의 백사를 지휘·통솔하면서 정치·경제·군사·외교·문화 등 모든 국정을 관장하였다.069) 韓忠熙, 앞의 글, 116∼118쪽. 도평의사사는 문하부·삼사·중추원 재상이 겸하면서 국정을 논의·의결하고 지휘하는 都評議使司, 속사로서 행정을 담당한 經歷司와 입법에 관한 일을 관장하는 檢詳條例司로 구성되었다.070)≪太祖實錄≫권1, 태조 원년 7원 을미. 이들의 구성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원·인원·겸대관직·직질
도평의사사
 
판사 2(시중)
동판사 11(문화부·삼사 정2품 이상)
사 1(판중추원사)
부사 15(중추사 이하 중추학사 이상)

경 력 사
(타관겸)
경력 1, 6방녹사 각 1
도사 1
典吏 6(7품거관)
都吏 ?(廩俸其餘權知)
검 상
조 례 사
검상 2(타관 겸)
 
녹사 3(3관 겸)
 

이 중 도평의사사직을 겸대한 관직에는 다음의<표 1>과 같이 정당문학 이상의 문하부 재상, 우복야 이상의 삼사 재상, 중추원학사 이상의 중추원 재상 등 당시의 고위 관직자가 모두 망라되었다. 이 구성원은 태조 원년 12월에 商議門下府事(정2, 2), 商議中樞院使(종2, 3)가 추가되고, 예문춘추관의 대학사(정2, 2)·학사(종2, 2)와 개성부의 판사(정2, 2)·윤(종2, 2)이 새로이 구성원이 되면서 40여 명으로 증가하였고, 다시 60∼70여 명으로 증가되더니 태조 7년(1398)부터 정종 2년 4월까지의 어느 때에 40여 명으로 감축되었다.071)≪太祖實錄≫권 13, 태조 7년 4월 기묘.
≪定宗實錄≫권 4, 정종 2년 4월 신축.

기관별 관직·인원·관품
문하부
 
좌시중 1(정 1)
우시중 1( 〃 )
시랑찬성사 2(종 1)
참찬사 4(정 2)
지사 1(정2)
정당문학 1(〃)
삼 사 판사 1(종 1) 좌·우복야 각 1(정 2)
중추원

 
판사 1(정 2)
사 1(종 2)
지사 2( 〃 )
동지사 4(종 2)
첨서 1( 〃 )
부사 6( 〃 )
학사 1(종2)

 

<표 1>도평의사사 구성원 일람표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