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6. 수산업
  • 3) 어구어법
  • (2) 어량어업

(2) 어량어업

조선 초기의 문헌에 漁具에 관한 자료는 희귀하다. 그러나 漁梁에 관한 기록은 비교적 많이 보인다. 漁梁은 魚梁이라고도 표기하였다. 이는 대나 기타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발을 설치한 정치어구이다. 하천에 설치하여 상류에서 내려오는 어류나 새우류 같은 것을 잡는 원시적인 것도 있고, 해면에 설치하여 여러 가지 수산동물을 잡는 것도 있다. 조선 초기에 중요하였던 것은 후자였다. 그 형태는 통일되어 있지는 않았으나 표준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보면, 조류를 가로막아 발을 방사형으로 좌우에 설치하고 좌우의 발이 한 곳에 모이는 곳에 원형 또는 사각형의 함정을 설치한 것이었다. 가장 많이 설치되는 곳은 간석지였다. 어류나 기타 수산동물이 밀물 때에 연안에 몰려왔다가 썰물 때에 외양으로 퇴거할 때에, 어량의 양쪽 날개에 차단되어 함정장치로 들어가게 되면 이를 사둘 같은 것으로 잡아 내게 되어 있는 어구였다.

어량어업은 당시에 가장 중요한 어업이었다. 그러므로 어량이라는 말은 어업의 대명사처럼 쓰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어량은 어구 자체를 가리키는 이외에 어량을 설치하는 어량어장을 가리키기도 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국의 어량 소재지와 그 수효 및 어획물 등이 밝혀져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경기도

 ◦ 水原都護府:魚梁 2, 하나는 雙阜에 있고 하나는 龍城西只頭에 있다. 主産은 蘇魚이다. 또 首魚, 民魚, 眞魚, 鱸魚, 白魚, 沙魚, 白蝦, 中蝦, 大蝦, 土花, 石花, 落地, 黃蛤도 생산된다.

 ◦ 南陽都護府:魚梁 2, 주산은 民魚와 蘇魚이다. 또 首魚, 沙魚, 眞魚, 加火魚, 大蝦, 中蝦, 紫蝦, 黃蛤, 生蛤, 土花, 石花, 落地도 생산된다.

 ◦ 安山郡:魚梁 5, 주산은 蘇魚이다. 또 民魚, 首魚, 石首魚, 鱸魚, 眞魚, 洪魚, 大蝦, 中蝦, 黃蛤, 土花, 石花, 落地도 생산된다.

 ◦ 富平都護府:魚梁 1, 眞魚, 民魚, 首魚, 加火魚, 土花, 靑蟹가 생산된다.

 ◦ 江華都護府:魚梁 2, 洪魚, 水魚, 民魚, 白蝦, 生蛤, 土花, 石花가 생산된다.

 ◦ 仁川郡:魚梁 19, 주산은 眞魚이다. 또 烏賊魚, 鱸魚, 刀魚, 廣魚, 洪魚, 舌大魚, 蘇魚, 石首魚, 亡魚, 沙魚, 首魚, 民魚, 加火魚, 到美魚, 大蝦, 生蛤, 黃蛤, 落地, 小螺도 생산된다.

 ◦ 金浦縣:魚梁 1, 水魚, 民魚, 石花, 土花가 생산된다.

 ◦ 通津縣:魚梁 2, 주산은 水魚, 眞魚, 土花, 白蝦이다.

② 충청도

 ◦ 稷山縣:魚梁 1, 주산은 蘇魚이다.

 ◦ 牙山縣:魚梁 3, 주산은 民魚, 水魚, 眞魚, 亡魚, 黃水魚, 細尾魚, 大蝦, 中蝦이다.

 ◦ 舒川郡:魚梁 17, 주산은 洪魚, 沙魚, 水魚, 錢魚, 民魚, 烏魚, 紅大蝦, 刀魚, 加火魚이다.

 ◦ 藍浦縣:魚梁 3, 주산은 靑魚, 沙魚, 水魚, 洪魚이다.

 ◦ 庇仁縣:魚梁 15, 주산은 靑魚, 洪魚, 沙魚, 錢魚, 水魚, 加火魚, 烏賊魚이다.

 ◦ 洪州牧:魚梁 33, 주산은 靑魚, 刀魚, 亡魚, 沙魚, 石首魚, 加火魚, 准魚, 廣魚이다.

 ◦ 泰安郡:魚梁 46, 주산은 靑魚, 刀魚, 錢魚, 沙魚, 民魚, 石首魚, 亡魚이다.

 ◦ 瑞山郡:魚梁 10, 주산은 靑魚, 石首魚, 沙魚, 大蝦이다.

 ◦ 唐津縣:魚梁 1, 주산은 水魚, 洪魚, 大蝦이다.

 ◦ 保寧縣:魚梁 5, 주산은 靑魚, 加火魚, 水魚, 洪魚이다.

 ◦ 結城縣:魚梁 1, 주산은 准魚, 錢魚, 刀魚, 石首魚, 水魚, 沙魚, 烏賊魚, 加火魚, 民魚이다.

③ 경상도

 ◦ 慶州府:魚梁 1, 安康縣 東輸方洞에 있다. 年魚가 생산된다.

 ◦ 晋州牧:魚梁 2, 하나는 金陽村에 있고 하나는 江州浦에 있다.

 ◦ 河東縣:魚梁 3

 ◦ 漆原縣:魚梁 1, 龜山縣 餘音浦에 있다. 주산은 大口魚이다.

④ 전라도

 ◦ 扶安縣:魚梁 2, 猾島에 있다. 주산은 靑魚이다.

 ◦ 靈光郡:魚梁 13, 모두 郡 서쪽의 馬城佛洞에 있다.

 ◦ 茂長縣:魚梁 34.

 ◦ 樂安郡:魚梁 1, 獐島에 있다.

⑤ 황해도

 ◦ 海州牧:魚梁 4, 주산은 靑魚이다.

 ◦ 瓮津縣:魚梁 26, 주산은 靑魚, 沙魚이다.

 ◦ 長淵縣:魚梁 2, 주산은 靑魚, 古道魚이다.

 ◦ 康翎縣:魚梁 84, 주산은 靑魚이다.

 ◦ 延安都護府:魚梁 2, 九十九曲의 水梁은 秋冬에는 虫解를 잡고, 班尼의 梁은 3월에서 5월까지는 網細蝦를, 5월에서 7월까지는 網白蝦를 잡는다.

 ◦ 豊川郡:魚梁 7, 주산은 靑魚이다.

 ◦ 殷栗郡:魚梁 1.

 ◦ 長連縣:魚梁 1, 주산은 水魚이다.

⑥ 함길도

 ◦ 文川郡:郡의 북쪽에 있는 箭灘에 魚梁이 있다.

 ◦ 安邊都護府:魚梁 1, 府의 남쪽 내에 있다.

 ◦ 端川郡:波獨川·泥亇耳川, 두 내에 모두 魚梁이 있다. 주산은 連魚이다.

이상과 같이 강원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모든 도에 어량이 분포되어 있다. 가장 많은 도는 충청도로서 136개소이고, 그 다음에 황해도로서 127개소이다. 그 다음은 전라도 50, 경기도 34, 경상도 7, 함길도 수 개소의 순이다.

≪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평안도에도 어량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즉 肅川都護府의 唐子浦, 龍川郡의 馬島, 郭山郡의 召浦에 어량이 있다고 되어 있다. 또 義州牧 山川條의 彌羅山의 설명에 “魚箭이 두 곳 있는데 하나는 龍川郡 獅子島 남쪽에, 하나는 동쪽 섬 북쪽에 있다”고 하였다.

이들 어량의 어획물을 볼 때 함경도에 있었던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해양에서 잡히는 것이다. 이로써 어량이 하천에 설치된 것이 아니고 해양에 설치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살핀 어량의 분포상태를 볼 때 그것이 서해안에 편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조차가 크고 조류의 유속이 빠른 데다가 광막한 간석지가 펼쳐져 있는 서해안의 자연적 조건이 어량어업의 발달에 가장 알맞기 때문이다. 그리고 연안에 接游하는 어류도 많았기 때문에 어량에는 다양한 어류가 어획되었던 것이다.

이에 반하여 동해안은 서해안과는 완전히 상반되는 자연적 조건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어량어업은 보급 발달되기 어려웠다. 함경도에 있었던 어량은 연어나 송어와 같은 소하성 어류를 잡기 위하여 한천에 설치한 것이었다.≪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함경도 高原郡에 속하였던 德之灘의 경우 어량의 이익이 도에서 최고였다고 한다.≪세종실록지리지≫에서도 德之川에 대하여 이는 ‘年魚를 잡는 곳인데 漁利가 도에서 으뜸’이라고 하였다. 母川回歸性이 있는 연어가 산란을 위하여 모천에 돌아올 때 이를 어량으로 어획하였던 것이다.

남해안에서는 서해안에는 따르지 못한다 하더라도 漁梁어업이 행하여지고 있었다. 龜山縣 餘音浦의 어량은 주산이 대구였던 것으로 보아 그것도 해양에 설치된 것임에 틀림없다.≪세종실록지리지≫에는 기입되지 않은 어량이 많았다. 그러한 증거로서≪경상도속찬지리지≫에는 경상도의 여러 지방에 어량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어량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 지명과 그 설명 부분을 보면 다음과 같다.

◦ 慶州府:漁梁, 부의 동쪽 八助浦, 廣魚, 沙魚가 생산된다. 부의 북쪽 堀淵川 防箭, 黃魚·銀口魚가 생산된다. 任內의 安康縣 동쪽 兄山浦 漁梁, 年魚가 생산된다.

◦ 密陽都護府:南川 防箭, 銀口魚가 생산된다.

◦ 大丘都護府:漁梁, 부의 서쪽 琴湖津 防箭, 銀口魚가 생산된다.

◦ 淸道郡:漁梁, 군의 동쪽 赤岩里 防箭, 銀口魚가 생산된다.

◦ 梁山郡:漁梁, 군의 서쪽 仇邑浦 防箭, 銀口魚가 생산된다.

◦ 興海郡:漁梁, 군의 동쪽 豆毛赤海, 靑魚·廣魚가 생산된다. 군의 북쪽 包伊津, 大口魚가 생산된다.

◦ 蔚山郡:漁梁, 군의 동쪽 柳等浦 南水川과 군의 남쪽 加里冬白浦·松浦·林卽浦, 모두 靑魚·廣魚가 생산된다. 군의 서쪽 堀大川과 군의 남쪽 所等伊川 防箭, 모두 銀口魚가 생산된다.

◦ 迎日縣:漁梁, 현의 동쪽 林谷浦, 靑魚·大口魚·廣魚가 생산된다.

◦ 長鬐縣:漁梁, 현의 남쪽 梁浦과 현의 북쪽 松吉浦, 大口魚·廣魚·靑魚·松魚가 생산된다.

◦ 機張縣:漁梁, 현의 남쪽 伊乙浦, 靑魚·廣魚가 생산된다.

◦ 東萊縣:漁梁, 현의 남쪽 乃浦, 大口魚·靑魚가 생산된다.

◦ 昌寧縣:漁梁, 현의 서쪽 梨旨里浦 防簾, 鯉魚·鮒魚가 생산된다.

◦ 靈山縣:漁梁, 현의 남쪽 東步浦, 鮒魚·鯉魚가 생산된다.

◦ 淸河縣:漁梁, 현 내 介浦, 大口魚·廣魚·古都魚가 생산된다.

◦ 安東大都護府:漁梁, 南川·銀口魚가 생산된다.

◦ 寧海都護府:漁梁, 부의 북쪽 赤川, 年魚·黃魚·銀口魚가 생산된다.

◦ 醴泉郡:漁梁, 南川의 結箭, 銀口魚를 잡는다.

◦ 榮川郡:漁梁, 군의 남쪽 내[川] 結箭, 銀口魚를 잡는다.

◦ 永川郡:漁梁, 군의 서남쪽 兩水가 합류하는 곳의 結箭, 銀口魚를 잡는다.

◦ 盈德郡:漁梁, 買吐部曲과 남쪽 大川의 結箭, 銀口魚를 잡는다.

◦ 奉化縣:漁梁, 買吐部曲 南大川 結箭, 銀口魚를 잡는다.

◦ 禮安縣:兼宜仁縣 北川의 結箭, 銀口魚를 잡는다.

◦ 河陽縣:漁梁, 현의 남쪽 大川의 結箭, 銀口魚와 鮒魚를 잡는다.

◦ 陜川郡:漁梁, 군의 북쪽 禿土梁·屯德梁·方谷梁, 모두 銀口魚가 생산된다.

◦ 龍宮縣:漁梁, 현의 서쪽 省火川의 防箭, 銀口魚가 생산된다.

◦ 咸昌縣:漁梁, 현의 동쪽 加乙㫆灘의 防箭, 銀口魚가 생산된다.

◦ 高靈縣:漁梁, 현 내 元堂灘·현의 남쪽 沙川灘의 防箭, 銀口魚가 생산된다.

◦ 晋州牧:漁梁, 주의 南江, 銀口魚, 黃魚, 鯉魚, 鮒魚가 생산된다.

◦ 金海都護府:漁梁, 부의 남쪽 浦, 鮒魚, 白魚, 蘇魚, 鯉魚, 葦魚, 水魚가 생산된다.

◦ 昆陽郡:漁梁, 군의 남쪽 金陽浦, 紅魚, 文魚, 錢魚가 생산된다.

◦ 宜寧縣:漁梁, 현의 동쪽 大川, 鮒魚, 銀口魚, 鯉魚가 생산된다.

◦ 三嘉縣:漁梁, 任內 三岐縣 남쪽 所乙川浦, 銀口魚가 생산된다.

◦ 居昌縣:漁梁, 현의 남쪽 浦, 銀口魚·大口魚·紅魚가 생산된다.

◦ 南海縣:漁梁, 현의 大浦·巴川浦·蘭甫浦의 防簾, 石首魚·洪魚·文魚가 생산된다.

◦ 泗川縣:漁梁, 현의 加隱오亏勿川의 漁梁, 銀口魚가 생산된다.

◦ 山陰縣:漁梁, 현의 남쪽 長善灘, 銀口魚가 생산된다.

◦ 丹城縣:漁梁, 현의 동쪽 大川(이하 缺落).

◦ 固城縣:현의 동쪽 春元里 終海島, 大口魚가 생산된다. 愁月浦·陽知浦·현의 서쪽 馬所浦, 文魚·洪魚가 생산된다.

◦ 巨濟縣:漁梁, 현의 바다, 大口魚·靑魚·文魚·洪魚·錢魚가 생산된다.

◦ 鎭海縣:漁梁, 현의 남쪽 大海, 大口魚·錢魚·靑魚·洪魚가 생산된다.

◦ 漆原縣:漁梁, 현의 서쪽 내, 銀口魚, 鮒魚·鯉魚가 생산된다. 任內의 龜山縣 余浦, 錢魚·大口魚가 생산된다(이하 缺落).

이상과 같이 41곳에 漁梁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慶尙道續撰地理志≫의 끝 부분이 없어지지 않았더라면 어량이 설치되어 있었던 지방이 보다 많았을 것이다. 이들 어량이 있는 곳의 약 3분의 2의 지방에는 은어·잉어·붕어 등을 잡는 하천어량이 설치되어 있었다. 특히 은어를 여러 곳에서 많이 잡고 있었다. 이들 어량은 하천을 가로막아 발을 친 것으로서 그 규모가 작은 원시적인 것이었을 것이다.

防箭 또는 結箭이라는 것이 보이는데 이들은 하천에 발을 친 것을 말한다. 대구·청어·넙치 등의 해산어를 주로 많이 잡는 해양 어량도 10여 곳의 지방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들 중에는 漁梁과 구별되어야 할 防簾이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防簾은 오늘날에는 竹防簾이라고 한다. 현재도 삼천포나 남해도에는 옛 모습을 거의 그대로 지닌 죽방렴이 제법 많이 남아 있다. 방사형으로 벌어진 양쪽 날개(‘활가지’라 하는데, ‘활개’의 방언이다)가 있고 4각형이나 원형으로 된 함정부분(통, 또는 임통이라고 한다)이 있는 것은 어량과 같다. 그러나 날개나 임통은 보통 참나무 지주를 듬성듬성 세우고 여기에 다시 가로로 참나무를 묶어 格子형으로 만든 뒤에 대발을 둘러쳐서 만든다. 물살이 세게 흐르는 여울에 설치하는데 조선 말기 진해만 일대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대구와 청어를 주로 잡았다. 이와 같이 경상도에서 대구나 청어를 잡았던 곳을 漁梁이라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어량과 구별되는 방렴이 많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漁梁 또는 魚梁이라는 명칭은 성종 때부터는 漁箭 또는 魚箭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太祖實錄≫에는 ‘魚梁水梁’ 등의 이름이 보이고,≪太宗實錄≫과≪世宗實錄≫에는 ‘魚水梁’ 또는 ‘漁水梁’ 등의 명칭이 보인다.≪成宗實錄≫에 의하면 성종 원년(1470)의 기록에 ‘魚箭’이라는 것이 보이는데0714)≪成宗實錄≫권 3, 성종 원년 2월 임술. 그 이후부터는 실록에 모두 漁箭 또는 魚箭으로 기록되어 있고 어량수량 또는 어수량 등의 명칭은 보이지 않는다. 실록을 보면 세종 19년(1437)의 기록에도 漁箭이라는 것이 보이나0715)≪世宗實錄≫권 77, 세종 19년 6월 임오. 이 때는 어전과 어량을 혼용하고 있다. 어량과 어전은 명칭은 다르나 내용은 같은 것이다.≪태종실록≫에는 어량의 소유주는 箭主라 하고 어량의 세금을 箭稅라고 하고 있다.0716)≪太宗實錄≫권 26, 태종 13년 11월 정유. 이는 梁과 箭이 동일물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水梁이라는 말이 한때 사용되고 있었는데 그것이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說文解字≫에는 수량을 橋梁이라 하였다. 한글 사전에는 “물이 흐르다가 좁아진 곳”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쓰인 수량은 어량과 동일한 것이 아니면 그와 유사한 것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을 것 같다. 鄭道傳의≪朝鮮經國典≫山場水梁條를 보면 고려 때에는 山場水梁을 모두 호강이 점탈하여 公家에서 그 이익을 얻을 수가 없었다고 하였다. 이 때의 수량은 漁場을 말한다.≪태종실록≫에는 각 처의 “魚梁箭主 水梁船主”라는 기록도 보인다. 이를 보면 어량 이외에 수량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그 어장이 權門勢家의 私占 대상이 된 것이라면 정치어구를 설치하는 어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한 것이라면 定置網어장을 생각할 수 있겠으나 ‘梁’자가 붙은 것으로 보아 어망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하천에 설치한 어량을 수량이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 하천어량도 보통 어량이라고 하였음을 상기하여 볼 때 그러한 가능성도 희박하다. 한때 어량을 수량이라고도 부르다가, 점차 어량과 수량이 다른 것으로 보고 두 가지 용어를 모두 사용했지만, 수량이라는 것이 따로 실체가 없는 것임을 깨닫게 되어 水梁이라는 말을 쓰지 않게 된 것으로 보인다.

漁梁을 漁箭이라고 개칭하게 된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1775년에 金弘喆이 편찬한≪譯語類解補≫에는「魚梁」을 한글로「어살」이라고 풀이하여 놓았다. 箭은 살이라는 뜻이다. 당시 어민들이 부르고 있었던 이름은 어량이나 어전이 아닌 ‘어살’이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어살을 한자로 어전이라고 표기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어량이 성종 때에 이르러 갑자기 어전으로 변한 이유는 알 수 없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