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Ⅴ. 교통·운수·통신
  • 5. 마정
  • 3) 목장의 발달과 실태
  • (1) 목장의 발달과 변천

(1) 목장의 발달과 변천

조선시대의 목장은 고려시대부터 전하여지는 목장을 재건하는 한편으로 수초가 좋은 곳에 목장을 설치함으로써 국영 및 사영의 다양한 목장이 발달하였다. 사육되는 목축류도 말·소를 비롯하여 양·돼지·염소·노루(獐)·고라니(麂) 등에까지 이르러 이에 따른 다양한 목장이 설치되었다.0934)南都泳,<韓國牧場制度考>(≪東國史學≫11, 1969).
―――, 앞의 글(1969 b).
―――,<朝鮮時代의 地方馬政組織에 대한 小考>(≪史學硏究≫18, 1963).

①馬牧場 ②牛牧場 ③羊牧場(羊棧:양) ④猪場(猪圈:돼지) ⑤羔場(羔囿:염소) ⑥獐場(獐圈:노루) ⑦麂場(고라니)

그 가운데 말목장이 가장 발달하여 전체목장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말목장의 수는≪세종실록지리지≫에 58개소(그 중 폐목장 2),≪동국여지승람≫산천조에 87개소,≪반계수록≫에 123개소,≪대동여지도≫에 114개소,≪목장지도≫에 38(140)개소(그 중 폐목장 62),≪증보문헌비고≫에 171개소(그 중 폐목장 54, 소재 불명 3)가 전하고 있다.

소목장은 소만을 전문적으로 사육하는 목장과 말목장에 소속된 것의 두 가지가 있었다. 그 수는≪목장지도≫에 의하면, 전자는 약 2개소(초기 4개소), 후자는 약 10개소에 불과하였으며, 그 운영도 마정체제로써 하였다. 양장·고장·장장·저장·궤장도 관리자인 監을 배치하여 운영하였다.

조선시대의 말목장(소 목장 포함)은 육지에 있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바다의 섬이나 바닷가에서 뾰족하게 내민 땅인 곶(串)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분포는 다음<표 6>에서 파악되듯이 전라도가 약 43.9%로서 제일 많고, 이어 경기도·경상도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어, 이 3도에 전체의 약 72% 이상의 목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섬으로서는 제주도가 5개소(뒤에 15개소)로서 제일 많고, 강원도에는 하나도 없었다.

 



















東國輿地勝覽 28 10 13 18 6 10 5 2 0 92 92
牧 場 地 圖 30 10 49
<56>
23 7 10 4 5   138
<145>
138
輿 地 圖 書 8 3 15 6 6 5 1   0 44 44
大東輿地圖 21 3 50 11 5 5 5 14 0 114 114
增補文獻備考 24
<3>
(11)
5
(5)
32
(27)
20
(7)
7
 
7
(4)
4
(1)
15
 
0
 
114
<3>
(54)
171

<표 6>전국의 목장 통계

*① ( )는 廢牧場,< >는 所在不明 牧場.
 ②≪輿地圖書≫는 말이 있는 목장만 표시함.

이상과 같은 목장은 임진왜란 이후 폐지 또는 축소되는 과정을 밟게 되었다. 임란 중 남방의 목장 반 이상이 적의 수중에 들어가 선조 27년(1594)에 40여 개소가 폐지되고0935)≪牧場地圖≫後序 참조. 말을 보급한 목장은 제주도목장을 비롯 강화의 진강·신도·거을도·미법도·장봉도·북일도·매음도·주문도, 황해도의 초도·백령도·순위도·등산도·기린도·창린도·석도·용매도·연평도와 낙안의 신미도, 함경도의 두언대·도련포·사눌도·말응도·마랑이도, 평안도의 가도 등 25개소 뿐이었다. 전란 중 우수한 戰馬를 보급한 곳은 진강과 가도가 유명하였다.0936)≪宣祖實錄≫권 98, 선조 31년 3월 기유.

그 뒤 인조 19년(1641)에 119개의 목장 중 말이 있는 곳이 46, 폐지된 곳이 73개였으며,0937)≪牧場地圖≫後序.
≪增補文獻備考≫권 129, 兵考 17, 馬政.
숙종 때는 다소 정비되어 138개 중 폐지 또는 둔전·민전으로 변한 것이 62개소에 달하였다.0938)숙종 4년에 된≪牧場地圖≫後序에 “各道牧場總數 濟州並一百三十八…廢牧場六十二”라고 기록되고 있다. 이러한 실태에 대하여 일부 실학자는 그 개혁을 주장하였으나0939)柳馨遠,≪磻溪隨錄≫권 22, 牧馬.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일제 강점기에 牧場田이 몰수됨으로써 조선시대의 목장은 전폐되었다.

조선시대의 목장분포 상황을≪증보문헌비고≫에서 보면 말이 있는 목장(有牧場)이 114개, 폐지된 목장이 55개, 불분명한 것 3개, 도합 172개가 전하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道 別 有廢牧場別 所管邑名 牧 場 名
京畿道(38) 有牧場(24) 江華 ①鎭江場 ②信島 ③@島 ④煤音島 ⑤彌法島
⑥北一場 ⑦長峰島 ⑧注文島
仁川 ⑨龍流場 ⑩無衣島 ⑪薪佛島
南陽 ⑫大阜島 ⑬靈興島 ⑭仙甘島 ⑮召忽島 (16)伊作島
(17)小牛島 (18)伊側島 (19)佛島 (20)楓島 (21)立破島
水原 (22)陽也串 (23)洪原串
陽城 (24)槐台串
廢牧場(11) 江華 ①甫音島 ②松家島
仁川 ③紫烟島 ④茅島 ⑤難智島 ⑥士也串
南陽 ⑦德積島 ⑧昇黃島 ⑨禿甲島
長湍 ⑩壺串
坡州 ⑪沙牧島
所 在 不 明 (3) ①項浦 ②吾朶庄 ③振威屯
忠淸道(9) 有牧場(5) 瑞山 (25)大山串
泰安 (26)梨園串 (27)遠西面 禿津島
洪州 (28)興良島
沔川 (29)倉宅串
廢牧場(5) 泰安 ⑫智靈山 ⑬安眠串 ⑭薪串 ⑮大小山串
洪州 (16)元山島
全羅道(59) 有牧場(32) 興陽 (30)道陽場 (31)折爾島 (32)小鹿島 (33)示山島 (34)鹿島
(35)亇叱島
順川 (36)內羅老島 (37)城頭串 (38)外羅老島 (39)禾太島
(40)蓋島 (41)諸里島 (42)白也串 (43)突山島 (44)白也島
(45)猫島 (46)狼島 (47)黔毛島
樂安 (48)獐島
海南 (49)黃原串
珍島 (50)智力山 (51)南桃浦
康津 (52)薪智島
靈光 (53)多慶串 (54)荏子島
羅州 (55)押海島 (56)牛串島 (57)長山島 (58)慈恩島 (59)智島
務安 (60)加羅串
咸平 (61)珍下山
廢牧場(27) 興陽 (17)赤亇島 (18)平內伊島 (19)沙日海島 (20)所里島
(21)大頭里島 (22)小頭里島 (23)多里島 (24)自毛島
(25)安島 (26)비見島
順天 (27)耳里島 (28)大花島 (29)小花島 (30)四叱島
珍島 (31)占察山 (32)夫之山
康津 (33)古爾島
長興 (34)來德島 (35)得良島 (36)帳內串
靈光 (37)甑島 (38)古耳島 (39)臨淄島
羅州 (40)箕島 (41)安昌島 (42)其佐島
沃溝 (43)筽食島
黃海道(11) 有牧場(7) 海州 (62)延坪島
康翎 (63)登山串 (64)巡威島
甕津 (65)麒麟島
長淵 (66)白翎島
豊川 (67)椒島
殷栗 (68)席島
廢牧場(4) 海州 (44)龍媒島 (45)甫音島
甕津 (46)昌麟島
長淵 (47)大靑島
慶尙道(27) 有牧場(20) 晋州 (69)興善場 (70)昌善場 (71)赤梁島
巨濟 (72)舊永登場 (73)長木浦場 (74)漆川島 (75)加助島
(76)九千場 (77)舊助羅浦場 (78)知世浦場 (79)山達島
固城 (80)三千唐浦場 (81)海坪場
南海 (82)錦山場
蔚山 (83)魴魚津
長鬐 (84)@背串
東萊 (85)絶影島 (86)乭浦 (87)烏也項
金海 (88)金丹串
廢牧場(7) 巨濟 (48)閑山島 (49)龍草島
固城 (50)葡萄島
漆原 (51)龜山島
熊川 (52)加德島
金海 (53)鳴旨島 (54)古今丹馬城
咸鏡道(7) 有牧場(7) 咸興 (89)都連浦 (90)花島
文川 (91)四訥島
永興 (92)末應島
洪原 (93)馬郞耳島
端川 (94)豆彦台
穩城 (95)莎草島
平安道(5) 有牧場(4) 鐵山 (96)大串 (97)椵島
宣川 (98)身彌島 (99)炭島
廢牧場(1) 定州 (55)都致串
濟州牧(15) 有牧場(15) 濟州牧 6
大靜 3
旌義 2
山屯 1
牛屯 1
乙丙別屯 1
淸馬別屯 1

<표 7>조선시대의 목장분포

*목장명(有·廢牧場別) 앞의 번호로<그림 2><조선시대 목장분포도>에 위치를 표시하였다.

확대보기
<그림 2>朝鮮時代 牧場分布圖
<그림 2>朝鮮時代 牧場分布圖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