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1. 가족제도
  • 1) 혼인제도와 가족유형
  • (2) 조선 초기의 가족유형

(2) 조선 초기의 가족유형

 이미 앞에서 우리는 고려시대의 이상적 가족유형이 외손·사위·기혼녀·처부·처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양변적 방계가족」이라는 점을 언급하면서 이러한 가족유형은 부부가 결혼생활을 어디서 하느냐 하는「혼인 거주규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고려시대의 양변적 방계가족은 당시의 장기 간에 걸친「서류부가혼」의 결과임을 살펴본 바 있다.

 조선 초기의 혼인 거주규칙도 사위가 처가에서 혼인생활을 하고 처가에서 자녀를 낳아 장성할 때까지의 오랜 기간을 생활하는 장기간에 걸친「서류 부가」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따라서 조선 초기의 가족유형도 당연히 고려시대와 마찬가지로「양변적 방계가족」을 이상으로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 으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양변적 방계가족」은 서류부가의 기간 이 점차 단축됨에 따라 사라지게 되고 조선 후기에 이르면 여러 명의 아들 중 가계계승 부부와 그들의 자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계가족이 이상적인 형태로 간주되게끔 되었다.

 다음에서 조선 초기의 이상적 가족유형이 양변적 방계가족의 형태였음을 보여주는 자료를 검토해 보자.

① 우리의 풍속은 중국과 달라 親迎의 예를 거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혹은 외가에서 자라나고 혹은 처부의 집에서 자라나니 은의가 심히 돈독하다(≪世宗實錄≫권 48, 세종 12년 7월 경오).

② 우리의 풍속은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가니 이성친의 은의 분별이 동성친에 비하여 차이가 없다. (외가의) 할아버지가448) 조선 초기에는 부계의 친조부나 모계의 외조부 모두 大父로 동일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外祖父(혹은 外大父) 등으로 표현하는 예는 찾아볼 수 없다. 살아계시면 (외)종형제들이 한집에서 자라나고 (외가의) 증조부가 계시면 (외)재종형제가 한집에서 자라나니 어려서부터 장성할 때까지 서로를 일컬어 형제라하고 서로를 일컬어 叔姪이라 하며 서로를 일컬어 祖孫이라고 하니 그 은혜와 사랑이 어찌 동성친과 다르리오(≪成宗實錄≫권 10, 성종 2년 5월 임진).

③ 우리 나라는 중국의 친영의 예가 없어 모두 처가를 집으로 삼아 처부를 아버지라 칭하고 처모를 어머니라 부르며 항상 부모처럼 받드는데 이 또한 강상이다 (≪成宗實錄≫권 241, 성종 21년 6월 무신).

 이와 같은≪세종실록≫과≪성종실록≫의 기록을 통해 볼 때 적어도 조선 초기까지의 이상적인 가족유형은 외손과 외손녀·사위·기혼여식·처부·처 모 등이 가족구성에 포함되는 양변적 방계가족의 형태였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