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 의료제도
  • 1) 의료시책
  • (3) 향약의 개발과 보급

(3) 향약의 개발과 보급

 鄕藥이라 하는 것은 중국약재(唐藥)에 대한 국산약재를 지칭하는 말이다. 고려 중기 이후 국산약재가 많이 개발·보급되면서 이것이 주로 질병치료에 이용되었고, 이에 따라≪三和子鄕藥方≫·≪鄕藥惠民經驗方≫·≪鄕藥古方≫등 의 향약서가 간행되었다. 이와 같이 국산약재가 많이 이용된 것은 그것이 풍토와 인체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쉽게 채취할 수 있고, 또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이었다.

 향약은 이와 같이 여러 이점이 있어서, 태조 때에 이미 계수관마다 의원을 설치하고 여기에 採藥丁夫를 두어 약재를 채취해 이것으로 치료하도록 지시함으로써 향약의 보급이 실시되었고, 세종대에는 더욱 확대되었다. 특히 세종은 향약에 관심이 많아 세종 16년 약재의 채취법과 건정법을 지방수령에게 하달하였다. 다시 21년 4월에는 모든 향약을 재배하도록 하고 자생약재는 계절에 따라 채취하여 구료하도록 하되 약재의 재배·채취의 다소·시약의 근만을 헌사에서 점검토록 지시하는 등 향약의 관리에 더욱 철저를 기하였다.642)≪世宗實錄≫권 63, 세종 16년 정월 무신·권 85, 세종21년 4월 병오.

 또한 동왕 30년(1448) 정월에는 제도 감사에게 명하여 향약의 채취시기와 건정을 법에 따라 해서 약성을 잃지 말게 하고, 상납할 때는 채취자의 관 직·성명·일시 및 약명을 적어 올리도록 하는 등643)≪世宗實錄≫권 119, 세종 30년 정월 을미. 향약의 개발과 보급에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세종은 국산약재의 약성과 약효를 중국산과 비교 해서 이용하기 위해 遣明使 편에 의관을 보내 약재를 가지고 가서 감별하도록 하였다. 즉 동왕 5년 3월 盧重禮 등을 명나라에 보내 국산약재 62종을 비교하여 약성이 다른 14종을 찾아내어 그 중 새 약재 6종을 발견하였고. 약성 이 다른 8종은 사용을 금지시켰다.644)≪世宗實錄≫권 19, 세종 5년 3월 계모.

 그 후에도 이러한 약재의 감별을 계속하여 향약 개발에 노력하였다. 또한 국산약재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은 사행 때마다 의원을 보내 중국약재를 구입케 하였는데, 중국약재는 국산약재의 약성과 약효를 판별하여 사용하는데 많이 이용되었던 것이다. 세종은 또 향약을 보급하고 이를 효과 있게 이용하기 위해 노중례에게 명하여 동왕 13년≪향약채취월령≫을 편찬·간행하였다.645) 三木榮,≪朝鮮醫籍考≫(中外醫事新報社, 1935), 4쪽 尹淮跋文 참조. 이 책은 월별로 채취해야 할 약재를 기록한 것으로서, 이는 보다 완벽하게 향약을 이용하기 위해서였다. 향약의 개발과 보급으로 구하기 쉽고 값싼 약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환자를 구하게 된 것은 물론 이러한 정책은 우리 나라 의학 발달의 자주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던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