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Ⅰ. 학문의 발전
  • 3. 역사학
  • 1) 민족사의 체계화와 전대사의 정리
  • (3) 전대사의 체계적 정리

(3) 전대사의 체계적 정리

 조선 초기 창업기에 이루어진 상고사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고려왕조사의 정리에는 다분히 목적의식이 강하게 작용하였다. 그리하여 편찬의 목적이 어디에 있었는가에 따라, 산출된 사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선왕조가 어느 정도 수성기에 들어서자 고려왕조의 부정과 건국의 합리화라는 문제보다도 오히려 새 왕조의 문화적인 업적을 내외에 과시하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당시 조선왕조의 자신감을 역사학분야에서 표현해 낸 것이 바로≪東國通鑑≫의 편찬이었다.≪동국통감≫에는 사실을 존중하여 기술하던 세종대의 학풍이 강하게 작용하였으며, 그리고 이전까지의 역사연구의 수준을 종합하는 한편 새로이 등장하는 신진사림들이 자신의 역사의식을 반영하여, 이후 16세기 사서편찬에 나타나는 역사의식의 원형을 이루기도 하였다. 여기에서는 우리 나라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면서도 새로운 역사의식을 반영한≪三國史節要≫와≪동국통감≫을 차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