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Ⅰ. 과학
  • 4. 의약과 약학
  • 6) 다원적인 의료상황
  • (3) 양생술의 유행

(3) 양생술의 유행

 조선 초기부터이지만, 특히 조선 중기 이후에 養性·養心·養精·導引·食療·調攝·調息·起居·房中秘術 등의 양생술이 의인이 아닌 일반 사대부층에서 매우 널리 실용되었다.

 조선초에는 의학의 한 분과로서 각종 의서에 양생법이 채록되었다. 세종 때에 집성된≪향약집성방≫에 인용된≪養老壽親書≫·≪居家必用≫·≪山居四要≫·≪三元延壽書≫등의 의서들은 모두 양생 전문의서들이다. 또한≪의방유취≫에도 이런 양생 전문서들이 많이 인용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의방유취≫는 따로 養性門을 두어 이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을 종합하였다. 광해군 때 나온≪동의보감≫은 병을 고치는 의술보다도 건강 자체를 추구하는 양생을 더 강조하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중국의 양생 전문서들이 널리 이용되었다. 대표적인 것들을 들어 보면≪千金方≫·≪肘後方≫·≪素問入式運氣論奧≫·≪服藥須知≫·≪永類鈴方≫·≪壽親養老書≫·≪三元參贊延壽書≫·≪乾坤生意≫·≪活人心法≫·≪植物本草≫·≪醫學入門≫·≪石室秘錄≫·≪修養須知≫ 등이다.

 또 우리 나라 사람이 양생서를 짓기도 하였다. 조선초에는 세종 때 全循義가≪食療纂要≫를 저술한 바 있으며, 조선 중엽에 이르러서는 많은 양생술 전문서적이 세상에 나왔다. 연산군 때 李宗峻의≪神仙太乙紫金方丹≫, 중종 때 鄭惟仁의≪頤生錄≫, 명종 때 李守谷의≪養生說≫과 朴雲의≪衛生方≫, 광해군 때 나온≪二養編≫ 등이 대표적인 것들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