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Ⅳ. 예술
  • 1. 음악
  • 4) 당악과 고취악
  • (2) 당악의 향악화와 음악양식

가. 당악의 향악화

 고려왕조에서의 당악은 宋의 교방악사들에 의해서 본래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으므로,557)≪太宗實錄≫권 22, 태종 11년 12월 신축. 당악이 왕립음악기관의 좌방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송의 멸망에 이은 고려왕조의 멸망은 당악의 전통이 제대로 조선왕조에 전승될 수 없는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 그러한 여건 아래에서 조선왕조의 개국공신인 유학자들이 아악부흥을 건국초부터 서둘러 시도했으니, 당악은 좌방의 자리를 아악에게 양보해야만 하였고, 우방의 향악과 통합된 당악의 향악화라는 역사적 변천과정은 필수적이었다.

 당악의 향악화라는 역사적 변천의 흔적은≪악학궤범≫권 7의 당부악기에 도설된 당악기558)≪樂學軌範≫권 7, 唐部樂器圖說.를 분석해보면 뚜렷하게 알 수 있다. 당악기가 어느 갈래의 음악에 사용되었느냐에 따라서 세 갈래로 구분될 수 있는데, 첫째는 당악연주에만 쓰인 당악기이고, 둘째는 향악연주에만 사용된 당악기이며, 셋째는 당악과 향악연주에 쓰인 당악기가 그것이다. 당악연주에만 쓰인 당악기는 방향·대쟁·당적·당피리·퉁소의 다섯 악기였고, 향악연주에서만 사용된 당악기는 월금과 해금이었으며, 셋째로 향악과 당악연주에 모두 사용된 당악기는 박·교방고·장고·당비파·아쟁·태평소의 여섯 가지였다. 향악연주에만 사용되었거나 향악연주와 당악연주에 모두 사용된 8종의 당악기들은 당악의 향악화에 결정적인 구실을 담당했다.

당악기명 당악 향악 향악·당악 비 고
1. 방향
2. 박
3. 교방고
4. 월금
5. 장고
6. 당비파
7. 해금
8. 대쟁
9. 아쟁
10. 당적
11. 당피리
12. 퉁소
13. 태평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敎坊燕樂에 쓰임
舞鼓정재에 쓰임







散形에 의함
산형에 의함
산형에 의함
군대 및 정대업 연주에 쓰임

<표 12> ≪악학궤범≫ 시절 향악과 당악에 사용된 당악기 일람표

 박·교방고·장고와 같은 타악기는 향악정재와 당악정재의 연주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당비파는 세종 12년(1430)에 이미 향악을 연주할 악공취재 때 향악기의 하나로 취급되었고559)≪世宗實錄≫권 47, 세종 12년 3월 무오., 군대의 행진음악 또는 신호용으로 사용된 태평소는 성종 때 정대업 중의 昭武·奮雄·永觀 연주에 사용되었다.560)≪樂學軌範≫권 7, 唐部樂器圖說 太平簫.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조선왕조의 건국초부터 당악의 향악화가 진행되었음이 확실하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