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Ⅳ. 예술
  • 4. 회화
  • 4) 회화의 제경향
  • (4) 이장손·최숙창·서문보의 화풍

(4) 이장손·최숙창·서문보의 화풍

 조선 초기의 산수화에서 이미 살펴본 것들과는 또 다른 계보의 화풍이 주목을 끄는데 그것이 바로 15세기말에 활약하였던 화원들로 확인되는 李長孫·崔叔昌·徐文寶의 화풍이다.815) 圖畵署 提調 姜希孟이 서열을 무시하고 徐文寶를 九品遞兒職에 추천하였다는 논란이≪成宗實錄≫의 기록에 보여 이들의 활동연대와 신분을 알 수 있다(≪成宗實錄≫ 권 150, 성종 14년 정월 갑인). 이들은 상호 긴밀한 연관을 지니고 활동하였던 듯, 작품들도 대단히 비슷한 화풍을 보여준다(<그림 9>).816) 安輝濬, 앞의 책(1985), 圖 25∼30 및 157쪽의 해설 참조. 일본 奈良의 大和文華館이 소장하고 있는 이들의 작품들은 서로 너무나 비슷하여 얼핏 보면 마치 한 사람의 것들처럼 잘못 보기 쉽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서로 솜씨가 다른 것이 확인된다.

확대보기
<그림 9>산수도
<그림 9>산수도
팝업창 닫기

 이들의 작품들은 한결같이 연운이 자욱한 모습이어서 자연의 분위기 묘사에 강한 특성을 드러낸다. 이 작품들은 전반적으로 원대 고극공의 미법산수 화풍과 친연성을 보여주는데 그 화풍은 필자미상(傳高然暉筆)의<夏景山水圖>와<冬景山水圖>에서 엿볼 수 있듯이 이미 고려시대에 전해져 조선 초기로 계승된 것이다.817) 安輝濬, 앞의 책(1988), 260∼263쪽.
―――, 앞의 책(1995), 圖 54∼55 참조.
또한 이 화풍은 비교적 소극적이기는 하지만 조선 중기에도 전해졌다. 이처럼 이들의 산수화풍은 조선 초기의 또 다른 계보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작품들에서는, 북송대 미불과 미우인 부자의 미법산수 화풍을 위주로 하면서 董源 및 巨然의 화풍과 청록산수 화풍을 조화시킨 고극공의 작품들과는 달리 董·巨의 화풍이 배제되어 있어 조선 초기에 있어서 중국회화의 한국적 수용의 일면을 엿보게 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