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3. 사림세력 구성의 특징
  • 1) 학파의 형성

1) 학파의 형성

고려 이래 유학이 연구되고 사회에 보급되었던 것은 정치권의 필요에 따른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즉 왕실의 정치적 권위를 세우기 위한 정치논리에서부터 행정 운영을 위한 현실적인 정치 도구적 수요가 유학의 발전을 촉진하게 하였다. 유학이 과거제도와 연결되자, 지배신분층은 유학교육과 학문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배층은 단지 정치 참여라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학문적 탐구를 위한 대상으로 유학을 인식하고 교육과 연구를 심화시키고 있었다.

유학이 지향하고 있는 이상사회 구현과 역사현실이 요구하는 정치적 절충은 儒者들에게 유학의 합리적 논리 안에서 제도의 제정과 아울러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보호하도록 유도하였다. 국가적 차원에서 관학 교육제도인 成均館·四部學堂·鄕校 등의 학교를 세워 유학을 교육하고, 과거제도로써 다시 그 성과를 수렴한 것은 바로 그러한 정신의 구현 내용이라 하겠다.

유학에서 교육과 학문의 수수라는 면만을 주목한다면 비정치적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유학의 학문 영역 안에 이미 정치적 요소를 폭 넓게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학문상으로만 맺어진 인간 관계라 하더라도 스승과 제자들간에는 같은 정치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學派라는 학문적 관계만을 강조하는 조선시대에서도 정치성을 배제할 수는 없었다.

조선 초기부터 이러한 유학 교육에서 파생되는 인맥 관계는 일차적으로 학파적 관계로 인식될 수 있으나, 이는 곧 정치적 성향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조선 중기에 이미 士林勢力이라고 했을 때는 유자들의 정치적 활동을 전제하는 것이다.412) 成樂熏,≪韓國思想論攷≫(同和出版公社, 1979).

실제 사림이란 단순히 유학을 공부하는 학자들의 집단이 아니라, 성종대 이후 조선왕조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갖고 있었던 유자들의 집단을 가리킨다. 이른바 ‘己卯黨籍’에 기재된 유자들을 사림세력의 핵심적 인맥으로 지적하려는 역사인식도 바로 이러한 정치적 인식에 기초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유학이 정치적 도움을 받으면서 발전하게 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조선왕조는 官學體制인 성균관·4학·향교 조직으로 유학을 교육한 것은 물론이고, 유학 교육과 과거제, 그리고 入仕라는 과정을 통하여 정치 입문과 동시에 정치세력을 지속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관 주도의 유학 교육이 하나의 학문 성향, 또는 하나의 정치 성향으로 학자와 정치인만을 육성한 것은 아니고, 朝野에서 소위 勳舊와 士林으로 유자들의 집단을 만들고 있었다. 그것은 여말선초에 성균관으로부터 비롯되는 유학의 전수와 수용과정에서, 유학교육과 연구가 왕조정치와 일치된 입장을 유지한 것이 아니라, 정치적 입장과 학문의 성향을 달리하는 것에서 비롯하는 것이었다.

사림들은 조선 초기 이래 재야의 정치성향을 가졌으나, 성종대부터 중앙 정계에 등장하면서 자신들의 정치적 이상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재지적 기반을 표시하여 자신들을 영남학파 또는 기호학파로 인지하고 있었다. 그것은 조선왕조의 건국과 함께 정치적 성향을 달리하면서 서울을 떠나 자신들의 거처를 영남지역과 기호지역으로 옮겨 교육활동을 하면서 점차 정치세력으로 모습을 갖추게 되자 붙여진 이름이다. 이들 학파들이 정치적 또는 학문적으로 이와 같은 계보를 가지는 데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로, 재야에서 유학교육과 학문연구가 가능케 된 것은 家學的 배경이었다. 유학이 가학으로서 전수되고 이를 바탕으로 혈족적 기반으로 형성된 종족 내지는 친족집단이 정치에 참여하게 되었다. 고려시대 이래 조선왕조에 이르기까지 이와 같은 사례들이 발견된다. 예컨대 安珦과 安軸, 權溥와 李齊賢, 李穀과 李穡, 金宗直과 金叔滋, 孫仲暾과 李彦迪, 李堣와 李滉 등에서 나타나는 가학적 상황, 즉 이들은 아버지와 아들, 삼촌과 조카, 외삼촌과 조카, 장인과 사위의 관계이면서 자연스런 학문적 관계를 형성하고, 나아가 정계에 진출하고 있었다.413) 李樹健,≪嶺南士林派의 形成≫(嶺南大 出版部, 1979).

둘째로는 영남과 기호지방이 유지하여 온 삼국시대 이래 토착적 지방문화 풍토를 고려할 수 있다. 즉 경상·경기·충청·전라도지방 유자들의 지적 풍토는 지방사회에서 갖는 문화적 자존의식으로 발현되고 있었다. 중앙정부와의 관계없이도 지배신분층의 영향력을 자신들의 지역사회 안에서 발휘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학자적 자세를 고수하면서 학문에 정진할 수 있었다. 이들은 삼국시대 이래 자신들의 본관지에서 토호적 사회전통을 유학연구와 연계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414) 위와 같음.

재야에서 사림의 학문적 내용이 정치력으로 구현되면서 이들은 자신들의 학통을 정비하고 있었다. 사림은 鄭夢周를 조선조 성리학의 鼻祖로 연원하고 있었다. 정몽주를 학통으로 연원하려는 조선조의 유자들이 정치적으로 사림파로 자칭하려는 자세는 바로 이들의 학문성과 정치성향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들 재야 출신의 사림 정치인들은 기성 정치권의 학문과 정치내용을 비판하고 일정한 개혁을 시도하려는 자세를 갖고 있었다.

중종대에 개혁정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던 趙光祖 역시 자신의 학문적 연원에 대하여 말하기를, “金宏弼은 비록 한때 벼슬로 이름을 떨치지는 못하였으나, 오늘날 선비 중에 그의 학업을 듣고 좇아 배우기를 원하는 사람이 역시 많다. 이것은 바로 김굉필의 공적이다.…김종직이 처음 吉再에게 수업을 받고, 길재 역시 정몽주의 문인이었으니, 김종직의 학문 연원은 진실로 비롯함이 있다고 하겠다”415)≪中宗實錄≫권 32, 중종 13년 4월 정유.고 하였다.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로 이어지는 사림의 학통은 학문에서 정통으로 인지되는 계보로서, 성리학의 정통성으로 주장되는 동시에 자신들의 정치적인 대의명분으로 수식되는 것이었다. 그것은 성리학의 정치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사림의 학문과 정치력이 일원화되어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정몽주와 길재 사이의 학문적 연계 사실은 고증 차원에서 문제점이 없지 않으나,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정치성이 강조되어 조선시대 사림의 계보 구성에서 학문상의 연결이 분명하지 않다는 사실이 무시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더욱이 사림파가 주장하는 학문상 계보는 국가가 조정하거나 국가조직 가운데에 내재된 것이 아닌, 사림 사이에서 공론으로 형성된 사적 계보라는 점에서 왕조의 정치적 입장과는 대립될 수 있었다. 그것은 정치적으로 재야 또는 개혁적 성향의 정치성을 시사하여 주는 것이다. 실제로 정몽주는 조선왕조의 성립에 반대한 유자이면서도 조선 성리학의 비조로 평가되는 학자였다. 이것은 왕조의 차원에서 조정되어 교육되고 선발된 집단에 의해 권위가 부여된 것이 아니라, 국초부터 왕조에는 비판적이면서도 보다 도덕적인 가치관으로 수식되고, 충절사상에 기초하여 전개되는 성리철학과 정치활동으로부터 재야 유자들의 학문적 권위와 정치세력으로서의 위상이 정립된 것이라는 근거가 된다.

이들 사림은 성종대 이래 과거로 입사하여 조선조의 개혁세력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그들 스스로의 정치적 집단화와 권위를 갖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조선 초기 이래 왕실 측근에 머물면서 이른바 훈척세력을 형성한 유자집단과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였다. 중종대에 조광조의 급진적 정치개혁이 갖는 역사성과 학파적 연원이 갖는 공통점은 바로 여기에서 찾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사림세력의 정치집단과 기왕의 훈척 정치세력이 공존하면서 정치적 갈등, 이른바 ‘士禍’가 발생하였다. 사림은 현실 세계와 학문의 세계에서 훈구세력의 유자와는 첨예한 시각차를 가지고 정치적으로 대립하면서 사림파의 계보를 정립하였다.

이들은 文集의 門人錄을 통하여 자신들의 학문적 연계가 있는 인물들을 망라하거나, 더 나아가 조선왕조 전체 유자들의 정치적 동향을 총정리하였다. 이같은 내용을 대표하는 저술이 바로 朴世采의≪東儒師友錄≫인데, 그 이전에도 유자들의 계보는 吳希吉의≪道東淵源錄≫, 曹植과 金宏弼의 師友錄, 金堉의≪海東名臣錄≫, 李喜朝의≪海東儒先錄≫등으로 정리되어 왔다. 이러한 것들은 유자들 각자의 필요에 의해서 자신들의 학문적 연결고리를 밝히려는 것이지만, 동시에 자신들의 정치 성향을 밝혀보려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하겠다.416) 朴世采,≪東儒師友錄≫(尹絲淳 解題, 韓國敎會史硏究所, 1977) 참조.

사림파에서 다시 嶺南學派·畿湖學派라고 부르는 것은 유자들의 거주지와 사승의 연고지가 영남 또는 기호지역이라는 데서 연유하는 것이다. 학파의 명칭 또한 국가기관의 공적인 사승관계를 통해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 사림들의 가학적 성향과 재지지주적 요소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영남학파 또는 기호학파라고 했을 때, 그것은 재지적 기반을 갖고 있는 유자가 사사로운 사승관계를 유지하면서 유학을 연구하고 교육하였던 사실을 지칭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들 학파간에는 확연한 경계선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일정한 정파로의 분리, 학문내용상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간에 분명한 경계가 있어 출입이 차단된 것은 아니었고, 때로는 상호 존중과 협력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발전하고 있었다.

조선 초기에 유학교육의 열기는 관학의 퇴조로 인하여 냉각되었다. 그러나 지방에서의 관학의 퇴조는 오히려 사림의 유학교육과 학문에 대한 열정으로, 재지 유자들에 의해서 書院건립과 교육활동으로 나타났다. 서원을 중심으로 전개된 이들의 학문활동과 학문적 관심은 훈구적 유자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들의 학문에서 추구하는 지표는 정치권력과 운영이라는 차원이 아니라 자연관과 인생관에 대한 궁극적 질문에 답하려는 유자적 접근이었다. 理氣로 표현되는 존재원리에 대한 학문적 구도자세로 성리학 연구의 학문적 즐거움을 가진 사림은 학문적 동호집단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물론 이들은 자신들의 학문적 성취에 대한 만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가운영의 참여와 자신들의 처지를 개선하기 위해서 정치개혁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언적·이황·조식 등으로 연결되는 영남학파와 徐敬德·李珥·成渾 등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학문 성향과 교육의 기회는 이들의 학문활동과 정치세력의 성격을 특징지웠다.417) 李樹健, 앞의 책.
李秉烋,≪朝鮮前期 畿湖士林派硏究≫(一潮閣, 1984).
일차적으로 이들은 재지적 토착 생활기반에서 상호관계를 갖고 유학(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그 유학 속에 내재되어 있는 현실세계의 정치적 난제들을 해결하려는 의욕을 가질 수 있었다. 특히 節義와 名分論, 그리고≪朱子家禮≫가 갖는 향촌사회의 질서논리는 이들 유자들에게는 매력적인 학문과 교육의 내용이 되었다. 이것은 향촌사회내에서 지도자적 위상에 아주 걸맞는 사회사상 체계였고, 나아가 국가사회 단위에서 국가사회의 모순을 개혁할 수 있는 논리와 개혁사상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서원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유학교육과 학문의 정진은 지주이자 향촌의 지식인인 유자들의 지배신분적 사회의식과 정치의식을 기초로 하는 것이다. 그 의미는 한편으로 왕실과 중앙 정치권과 연계하면서도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와 학문의 지속성을 유지하려 했다는 것이다.

재지 유자들은 조선 초기에는 향교에서 수령과 협력하였고, 중기에는 서원을 건립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사림의 교육활동을 활성화하였다. 그리고 학문적 동호집단으로 학파를 구성했다. 이들 유자들은 理氣哲學으로 몰입하면서 主理論 또는 主氣論的 보편 논리로서의 宇宙觀·國家觀·人生觀의 인식을 토대로 하는 정치 성향의 국가의식을 갖게 되었다. 동시에 향촌사회의 안정을 위한 보다 실용적 학문의 발전을 위해 재지적 사림의 의욕을 보이는 학파가 사림세계에서 출현하게 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