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2. 상업·수공업·광업의 변모
  • 4) 장시의 발달
  • (2) 장시에서의 상품유통의 확대

(2) 장시에서의 상품유통의 확대

 17세기에 들어와 장시는 더욱 발달해 갔다. 대동법의 실시는 생산 체제의 전환과 시장 구조의 형성을 촉진시켰다. 조세의 금납화가 보편화되면서 화폐의 유통이 크게 확대되자 화폐 구득을 위한 상업 활동이 장시를 매개로 더욱 활발하여졌다. 이미 농촌 경제는 유통 시장인 장시와 연결되어 있었으며 상업적 농업이 발달함에 따라 농산물의 상품화가 진전되었다. 상품화폐경제에 참여하는 계층도 다양해져 대토지소유자나 부농층뿐만 아니라 소농층과 빈농층까지 시장 경제에 편입되고 있었다. 鍮器·磁器·紙·鐵製 농기구 등 수공업 분야의 생산도 크게 증가하였다. 상품의 생산과 유통의 증대는 이 시기 각 지방에 개설되고 있던 장시의 발전을 더욱 촉진시켰다.

 장시가 전국적으로 개설되면서 장시에서 거래되는 상품도 더욱 다양해졌고, 유통도 확대되어 갔다. 특히 도시에서의 상공업 인구의 증가는 주곡인 미곡을 비롯한 곡물의 상품화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1023)李世永,<18, 9세기 穀物市場의 형성과 流通構造의 변동>(≪韓國史論≫9, 서울大, 1983), 205쪽. 농민들은 장시를 매개로 곡물의 잉여생산물을 상품화하였으며, 近畿지방의 농민들은 早稻를 재배하여 상품화함으로써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었다.1024)李 瀷,≪星湖僿說≫권 3, 人事門 生財. 또한 연초나 생강, 苧 등과 같은 특수 농작물과 소채류도 주요 상품으로 등장하였다. 연초의 소비가 일반화되면서 연초 생산으로 부를 축적하는 이들까지 나올 정도였다.1025)≪承政院日記≫446책, 숙종 35년 1월 15일. 생강의 대표적 생산지였던 全州 지방에서는 생강이 부유한 자들의 이윤 독점의 바탕이 되기도 하였고,1026)李重煥,≪擇里志≫卜居總論 生利. 생강 상인이 平壤과 義州까지 왕래하면서 판매하기도 하였다.1027)柳壽垣,≪迂書≫권 8, 論商販事里額稅規制.
朴齊家,≪北學議≫內編 車.
소채류 또한 17세기 중엽 이후에 가서는 도시 부근 지역에서 상품 작물로서 재배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민간수공업 분야에서도 장시의 발달에 힘입어 제품의 상품화가 더욱 촉진되었다. 특히 유기의 경우 종래에는 서울·開城·전주 등 몇 곳에 지나지 않았으나, 상품으로서의 유통이 발달되어 가자 安城·求禮·定州 등지로 생산지가 확대되면서 專業的 수공업체제를 갖추고 주문생산까지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곡물류나 특수 농작물, 수공업제품의 상품화 진전은 각지에 분포되어 있던 장시를 거점으로 한 근·원거리 상품 유통의 확대에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