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Ⅲ. 민속과 의식주
  • 1. 촌락제의와 놀이
  • 2) 연희와 놀이
  • (3) 남사당놀이

(3)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는 男寺黨牌(男寺堂牌, 男社堂牌)들에 의해서 연희되는 놀이를 뜻한다. 남사당놀이의 기원에 대해서 여러 설이 있으나 유랑하는 예능인으로 傀儡戱나 소리를 하는 廣大의 출현은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남사당놀이의 구성·내용으로 보아 광대놀이 괴뢰희와 유사한 점은 남사당놀이가 그 발전·전승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때 남사당놀이도 오랜 역사를 지니는 셈이다.

 예능집단으로서의 남사당패의 활동은 19세기 말까지 있었고 조선 후기에 많은 예능활동을 하였다. 사당패들은 모갑(某甲)이를 주축으로 하고 居士와 여사당이 있는데 거사가 남자이므로 여사당과 각각 짝을 이루고 모갑이는 그 위에서 이들을 통솔했다. 사당패들은 사찰과 관계가 깊어 불사를 도왔으며 절에서 받은 부적을 팔기도 해서 安城의 靑龍寺와 南海의 花芳寺는 사당패의 본거지처럼 되어 있었다. 마치 사노와 같은 처지의 사당패들은 탈춤·곡예·가무를 하면서 매춘도 했다.

 조선 후기에는 實事求是의 학문인 실학의 영향을 받아 자기각성과 자아의식이 싹트기 시작하고 유교윤리가 흔들리는 현상도 있게 되어 성도덕에도 매춘과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남사당놀이에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놀이가 있다. 풍물놀이는 풍장놀이라고도 하고 요즈음의 농악놀이다. 풍물은 꽹과리·징·장고·북의 4物의 타악기로 연주되는 것이 기본이고, 여기에 소고·날라리·피리 등이 더해지는 수도 있다. 농악은 농경작업에서 피로를 잊게 하고 흥을 돋우어 작업의 능률을 올리는 데 효과가 있으며, 농군들이 집단놀이에 등장해서 흥을 돋우므로 농촌사회에서 공감하고 호응되는 놀이로 성장하고 전승되어 왔다.

 남사당패가 농촌을 유랑할 때는 저자거리에 사람을 모아야 놀이판이 구성되고 놀이판이 제대로 구성되어야 수입이 생기므로 농악놀이로 군중을 모으고자 했다. 판을 벌리기 전에 우선 길굿을 한다. 풍물을 치고 마을이나 시장을 한바퀴 돌면 사람들에게 판이 벌어진다는 광고를 하는 셈이 된다.

 남사당 풍물놀이는 일반 농악과는 다른 면이 있다.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흥을 돋우기 위해서 여러 가지 묘기를 보태어 연희한다. 진풀이·벅구놀이·채상(열두발 상모)놀이와 舞童의 묘기 그리고 노래가 첨가되어 산타령·새타령 같은 타령을 부르고 농부가·移秧歌 등 민요를 불러 분위기를 흥겹고 신나게 만든다. 그래야만 구경거리가 되고 관중을 사로잡을 수 있다.

 버나는 대접돌리기를 말한다. 긴 담뱃대나 막대기 위에 쳇바퀴·대야·접시·대접 등을 올려 놓고 쉬지 않고 빙빙 돌리는 묘기이다. 도는 일이 정지되면 그릇이 땅에 떨어져 깨지기 때문에 쉴 새 없이 돌려야 하고 중심을 잡아주어야 한다. 버나를 할 때에는 음악이 반주되는데 악기는 꽹과리·징·북·장고·날라리 등이다.

 살판이란 땅재주를 말한다. 체육예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원래 광대패에 의해서 놀이되었다. 땅에서 놀기 때문에 地藝 또는 場技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당이나 잔디밭에서 놀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멍석을 펴놓고 그 안에서만 놀 수도 있다. 살판 중에 쌍줄백이의 경우에는 마당 한복판에 솟대[蘇塗]라 불리는 높은 장대를 하나 세우고 그 꼭대기에 두 가닥의 줄을 늘어뜨리고, 그 위에선 팔걸음·고물무치기 등 위험한 묘기를 보이기도 한다.

 살판의 재주는 「앞곤두」라고 해서 앞으로 걸어가다 손 짚고 공중을 한 바퀴 회전하고 서는 동작이 있다. 「뒷곤두」는 뒷걸음으로 가다가 손 짚고 뒤로 한번 회전하고 서는 것이고, 「번개곤두」는 앞으로 가다가 손을 짚지 않고 공중회전하고 서는 것이다. 「팔걸음」은 두 팔 짚고 거꾸로 서서 걸어가기이고,「자반 뒤지기」는 두 발과 손을 땅에 짚고 몸 전체를 틀어 바닥에 닿지 않도록 뒤집어 가기이며, 「살판」은 껑충껑충 위로 뛰다가 몸을 틀어 공중 회전하고 우뚝 서기를 말한다. 이 밖에도 「외팔 걸음」·「외팔 곤두」·「앉은뱅이 걸음」·「앉은뱅이 모말되기」·「쑤세미트리」·「숭어뛰기」 등의 묘기도 있다.

 살판은 몸이 유연하고 특히 허리힘이 좋아야 한다. 살판에도 반주음악이 연주되었고. 재담을 하면서 마음의 여유를 보이고 관중을 웃기고 놀이의 해설도 겸한다. 조선 후기에는 신기한 구경거리로 농촌에서 큰 인기가 있었다.

 어름은 줄타기를 뜻한다.≪星湖僿說≫에 踏索戱라 하였고714)李 瀷,≪星湖僿說≫권 5하, 人事篇 8, 技藝門 踏索戱. 나례 때에도 했다고 하며 중국의 사신이 보고 감탄했다고 하니까 줄타기가 매우 절묘한 기교를 보여주었음을 알 수 있다.

 줄타기는 양쪽에 기둥을 세워 줄을 떠받치게 하거나 큰 나무에 줄을 맨 후 줄 위에 사람이 올라서서 타는 것이다. 사당패는 지방을 유랑하기 때문에 임시로 기둥을 세우고 줄을 타는 경우가 많다. 줄타는 기술은 오랜 훈련 끝에 능숙해지며 줄 위에서 떨어지면 다치는 일도 있어 매우 위험한 놀이이다. 서구식의 줄타기는 體技를 위주로 하는 놀이지만 우리 고유의 줄타기는 체기보다는 줄꾼인 어름산이와 어릿광대인 매호씨가 서로 재담을 주고 받아 흥을 돋우고 관중을 웃기는 연극성이 강한 놀이이다. 줄꾼은 줄 위에 올라가 있고 매호씨는 줄 앞에 자리잡고 앉아 반주를 해가면서 재담을 주고 받는다. 놀이시간은 일정하지 않으나 재담과 노래를 제대로 부르면서 할 적에는 한 시간 반쯤 걸린다.

 줄타기 재주는 다양하여 ① 앞으로 가기 ② 장단줄 ③ 거미줄 늘이기 ④ 뒤로 훑기 ⑤ 콩심기 ⑥ 화장사위 ⑦ 참봉댁 맏아들 ⑧ 억석에미 ⑨ 처녀 총각 ⑩ 외호모 거리 ⑪ 허궁잽이 ⑫ 가새트림 ⑬ 외허궁잽이 ⑭ 쌍허궁잽이 ⑮ 양반 병신걸음 (16) 양반 밤나무 지키기 (17) 녹두장군 행차 등이 있다.715)沈雨晟,≪男寺黨牌硏究≫(同和出版公社, 1974), 121쪽.

 덧뵈기는 탈놀음을 말한다. 가면극, 산대놀이, 해서지방의 탈춤, 경남지방의 들놀음과 오광대가 혼합되고 부분적으로 원용해서 유랑예능집단에 의해서 연희되어 왔다. 대개의 탈춤이 전승지에서 鄕土神祭와 관련되어 오신 또는 벽사의 기능을 지니고 연희되면서 그 고장에 정착되어 연중행사로 놀이되고 있으나 덧뵈기는 남사당패들이 전국을 순회하면서 수시로 연희된 점이 다르다. 따라서 전승된 고유의 연희를 고집하지 않고 매우 융통성있게 연희하였다.

 예능집단은 생계를 위해서 유랑하기 때문에 저자거리를 찾아가 연희하기도 하고, 때로는 양반댁 경연잔치에 나아가 연희하였다. 그러므로 주최자의 비위를 거스르지 않으려고 노력했는가 하면 저자거리에서는 거침없이 양반이나 파계승을 풍자하는 일도 있었다. 즉 탈놀이의 내용이 장소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융통성이 있었다.

 덧뵈기에는 등장인물로 샌님·노친네·취발이·말뚝이·먹중·옴중·피조리·꺽쇠·장쇠가 나오는데 피조리만 2인이 등장한다. 덧뵈기는 ① 마당씻이 ② 옴탈잡이 ③ 샌님잡이의 ④ 먹중잡이의 네 마당으로 구성되는데 춤이 많이 놀이된다. 해학적인 재담이 많고 중간 중간에 타령의 삽입가요로 채택되어 관중을 웃기고 흥을 돋우어 주었다.

 마지막으로 덜미라고 부르는 꼭두각시놀음이 연희된다. 앞에서 꼭두각시놀음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줄이기로 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