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3. 천주교의 수용과 전파
  • 4) 역사적 변인으로서의 조선천주교
  • (1) 천주신앙 수용의 사회성

(1) 천주신앙 수용의 사회성

 조선 후기사회에서의 천주신앙의 수용은 단순히 또 하나의 외래종교를 한민족사회에서 받아들이게 되었다는, 즉 한국인의 종교생활이 보다 풍요로워지게 되었다던지, 또는 한국인이 비로소 일신교신앙의 고등종교생활의 단계로 진입하였다는 식의 종교생활의 변화를 초래한 것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동시에 천주신앙을 터전으로 한 가치체계의 수용이었고, 천주신앙이 기조하는 문화양태의 수용인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적 가치의식에 기초한 삶 자체를 초래하고 사회의 변화를 촉구하게 되며, 문화활동에도 변천을 가져다 주게 되는 영향력을 그 사회에 투영하게 된다. 즉 역사의 변화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역사적 변수」의 수용인 것이다.

 한국인의 천주신앙의 수용은 성리학적 가치체계를 묵수하는 조선 후기 봉건사회가 안고 있는 모순의 극대화에 따른 새로운 역사적 돌파구의 모색이라는 조선 후기의 내재적 요구와, 천주학에 대한 자주적 탐구와 자율적으로 추진된 구원 추구의 노력의 결과인 것이었다. 즉 봉건질곡에서의 정신적·사회적 이탈과 새로운 가치체계의 인식이라는 신문화운동의 양상으로 추구하는 실학지식인들과 중인지식층이 사회변화를 지향하는 역사동태였던 것이다.

 역사의 변천, 사회의 발전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볼 때 천주교라는 이름의 그리스도신앙의 수용은,

 첫째, 모순을 드러내고 있던 조선 후기사회의 봉건 해체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치체계의 등장이었고,

 둘째,「西學」의 형태, 즉 그리스도적 윤리·신앙과 더불어 기술·과학의 수용을 수반하는 것이기에 이질적이고도 선진적 기술·과학문명의 도입에 의해 근대사회로의 진입을 앞당길 수 있는 물질문명의 등장이었으며,

 셋째, 조선 후기사회에 진전된 천주신앙·그리스도 가치체계의 수용은 150년간의 만남과 검증을 거쳐오는 과정에서의 자율적 수용이었기에, 일시적 종교운동이나 일과성적 문화운동이 아닌 학문적 근거와 저력을 지닌 것이고 사회성을 지닌 것이었다.

 그리스도신앙 자체가 안고 있는「인간존엄」·「인간평등」·「사랑나눔」의 원리는 그것 자체가 자유·평등·박해의 근대적 인간의식, 사회원리에 통하는 가치의식이었다. 다만 그것은 절대적인 신의 질서 속에서의 윤리라는 제한성을 가지는 것이었으나, 理氣哲學에 입각한 인간관·신분원리·사회원리에 점차적으로 침윤과 부식을 촉구하게 되는 가능성을 가진 변성요인이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제한된 범위에서나마 유교적 봉건사회의 해체를 촉구하는「역사적 변인」으로 조선 봉건사회에 작용할 수 있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