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Ⅴ. 갑신정변
  • 4. 갑신정변의 영향과 의의
  • 1) 갑신정변의 영향
  • (3) 조선·일본의 교섭과<한성조약>의 체결

(3) 조선·일본의 교섭과<한성조약>의 체결

갑신정변은 조선·일본·청국의 삼국관계에도, 따라서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갑신정변의 소식이 일본에 전해지자 일본 조야에서는 일본인 38명(일설 40명)이 살해된 사실을 들어 청국에 대한 성토 여론이 일어났다. 그런데 일본정부는 청국을 성토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기회를 이용하여 조선의 민비 수구파정부에 군사적 위협을 가해서 조선정부를 굴복시켜 침략을 강화하고 배상금까지 받아 내려 획책하여, 1884년 10월 27일 일본 내각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행동방침을 논의 채택하였다.

그에 따라 일본정부는 외무대신 이노우에(井上馨)를 특파전권대사로 임명했으며, 이노우에는 군함 7척에 육군 2개 대대와 회담에 필요한 수행원을 거느리고 1884년 11월 14일 인천에 도착하였다. 조선측에서는 김홍집을 전권대사로 임명하고 조병호와 묄렌도르프가 보좌하여 대응케 하였다. 이노우에는 제1차 회담에서는 일본인 피해를 모두 조선측에 전가시키는 일방적 주장을 하더니, 11월 23일의 제2차 회담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일본측이 작성해 온 무리한 요구의 조약 초안을 제출하였다.

① 조선정부가 정식으로 일본에 사과할 것.

② 정변 때 죽은 일본인에게 배상금을 지불할 것.

③ 이소바야시(磯林) 일본군 대위를 살해한 자를 색출하여 처형할 것.

④ 일본공사관을 건축해 줄 것.

⑤ 일본공사관에 호위병을 배치할 것.

 (≪承政院日記≫, 고종 21년 11월 23일)

이노우에는 조선정부가 만약 이에 응하지 않으면 힘으로 처리하겠다고 노골적으로 위협하였다. 조선측은 일본인들이 다수 청군과 충돌하여 사망한 것이며, 일본공사관이 불탄 것은 일본공사관 직원들이 기밀문서를 소각하다가 일어난 것임을 들어 반박하였다. 그러나 군함 7척과 2개 대대 일본군의 무력 위협에 눌려 1884년 11월 24일(양력 이듬해 1월 9일) 초안을 거의 그대로 수용한 다음과 같은 내용의<漢城條約>이 조선정부와 일본정부 사이에 체결되었다.

제1조 조선국은 國書를 보내어 일본에 사의를 표명할 것.

제2조 이번 일본국 피해인민의 유족과 부상자에게 보상금을 지불하고 또 상인의 재물이 훼손 약탈된 것을 변상하기 위해 朝鮮國은 11萬圓을 지불할 것.

제3조 이소바야시대위를 살해한 흉도를 조사 체포하여 중형에 처할 것.

제4조 일본공사관은 新基地로 옮겨 지을 것을 요하는 바, 마땅히 朝鮮國이 그 기지를 제공하여 공사관 및 영사관으로 사용함에 족하도록 할 것이요, 그 건축에는 朝鮮國이 다시 2萬圓을 지불하여 공사비에 충당하도록 할 것.

제5조 일본호위병의 營舍는 공사관의 부근 토지에서 택정하되 제물포조약 제5조에 비추어 시행할 것.

 [별 단]

① 조약 제2·제4조의 금액은 日本銀貨로 계산할 것이며, 3개월 이내에 인천에서 완불할 것.

② 제3조의 흉도를 처단함은 이 조약이 성립된 이후 20일을 기한으로 할 것.

 (≪高宗實錄≫, 고종 21년 11월 24일)

일본측이 갑신정변에 개입한 것은 조선 수구파정부가 일본측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 사항인데 적반하장으로 도리어 갑신정변에의 일본측 개입 책임을 조선 수구파정부에 전가하고, 또한 주로 청군에게 살해당한 일본인의 가족부양비 11만 원과 일본인들 스스로가 불지른 일본공사관의 부지와 건축비 2만 원 등 13만 원을 약탈하는 조약에 조선 수구파정권이 굴복하여 서명했으니, 무력위협에 눌려 완전히 부당한 굴욕외교를 한 것이었다. 한편 이노우에는 일본공사관을 호위한다는 구실로 일본군 1개 대대를 서울에 남겨 놓고 1884년 1월 26일 일본으로 돌아갔다.

조선 수구파정부는 이 조약을 지킨다고 이소바야시대위 살해범으로 12월 13일 金大興·元漢甲을 처형하고, 12월 20일에는 徐相雨를 특파전권대신, 묄렌도르프를 특파전권 부대신으로 圖書를 갖고 일본에 파견하여 사과를 했으니,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배상금을 지불하고 사과를 한 통탄할 굴욕외교를 한 것이었다.<한성조약>을 계기로 일본은 조선정부를 매우 깔보게 되었으며 침략정책을 더욱 강화하게 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