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Ⅴ. 갑신정변
  • 4. 갑신정변의 영향과 의의
  • 2) 갑신정변의 역사적 의의

2) 갑신정변의 역사적 의의

갑신정변은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일단 정권을 장악하여 개화당의 신정부를 수립하고 혁신정강을 선포하는 데까지는 성공했으나, 신정권을 3일밖에 유지하지 못하고 실패하였다. 갑신정변은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역사적 의의를 가진 운동이었다.

첫째, 갑신정변은 세계사적으로 한국민족이 대개혁을 단행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에 정권을 장악해서 ‘위로부터의 자주근대화의 대개혁’을 단행하여 가장 적극적으로 전근대적 국가체제를 청산하고 자주부강한 근대국가를 건설하려고 한 과감한 자주근대화운동이었다.908) 金玉均,<朝鮮改革意見書>(全集, 109∼111쪽).

세계근대사와 동아시아근대사를 보면 ‘정한론’ 이후 한국침략을 노리던 일본제국주의가 실제로 이웃 나라를 식민지화할 능력을 갖게 된 것은 빨리 잡아보면 청·일전쟁(1894∼1895) 무렵이고 늦게 잡아보면 러·일전쟁(1904∼1905) 무렵이었다고 할 수 있다. 빠른 경우를 취해 보면, 갑신정변(1884)의 10년 후에는 일본이 제국주의 실력을 확립하여 한국에 대한 식민지화 침략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개화당의 영민한 청년들이 청국의 시대착오적인 속방화 간섭정책과 근대화 저지정책을 일거에 타도하고 자기 조국의 자주독립과 자주근대화를 위해 10년의 급속한 근대국가 건설기간을 가지려고 시도한 것은 역사적으로 당연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개화당은 당시 외세의 침략 압력의 급박성과 개항 직후 한국정치사회의 상대적 낙후성의 큰 격차 때문에, 국민대중의 성숙을 기다려 ‘아래로부터의 자주근대화’를 수행할 시간적 여유를 갖지 못하고, 먼저 정변의 방법으로 정권을 장악하여 독립과 근대화를 저지하고 있는 청국세력을 몰아내고 국민을 교육하면서 ‘위로부터의 자주근대화’를 단기간에 수행하려고 한 것이었다.909) 徐載弼,<回顧甲申政變>(앞의 책, 82쪽 참조).

세계사에서 늦게 근대화를 시작한 나라들 중의 성공한 나라들이 모두 단기간에 위로부터의 근대화의 유형을 실행한 나라들이었음을 고려한다면, 갑신정변의 급속한 위로부터의 자주근대화운동은 세계사에서의 성공한 근대화 유형의 하나를 추구한 운동이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갑신정변은 한국근대사상 개화운동에 일정 방향을 정립해 주었다.

갑신정변은 정치적으로는 청국의 종주권 주장과 내정간섭을 단호히 철폐하여 완전 자주독립을 실현하고 전근대적 전제군주제도를 입헌군주제의 방향으로 개혁하여 근대국가체제를 수립하려 하였다. 사회적으로는 양반신분제도와 문벌제도를 폐지하고 국민평등권리의 제도를 제정하여 신분사회를 근대시민사회로 변혁시키려고 하였다.

경제적으로는 중세적 경제조직과 특권상업제도를 폐지하고 회사형태의 상공업 자유기업에 의한 근대자본주의적 경제와 산업을 발전시키려고 하였다.

문화적으로는 양반중심의 귀족문화를 철폐하고 일반 국민중심의 근대문화와 신교육을 실시하려고 하였다. 군사적으로는 전근대적 군사제도를 개혁해서 사관학교와 근위대와 신식 육군·해군을 창설하여 국방을 자기 무력으로 실행하려고 하였다. 이것은 종합적으로 낙후한 전근대적 국가와 사회체제를 선진적인 근대적 국가와 사회로 개혁하려 한 것이었다.

이러한 방향의 국가개혁은 그 이후의 모든 개화운동이 계승하여 추구한 것이었으며, 10년 후의 갑오개혁은 갑신정변의 개혁안을 다른 상황에서 계승하여 실행한 측면이 많은 것이었다.

셋째, 갑신정변은 한국의 반침략 독립운동에도 하나의 근대적 기원을 정립한 것이었다. 갑신정변은 당시 청국의 시대착오적인 對朝鮮 ‘屬邦化’정책과 적극 간섭정책을 타도하고 조국의 완전 자주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과감한 운동이었지만, 이 운동의 내부 성격은 비단 청국의 침략만이 아니라 모든 외세의 침략에 대한 저항과 독립의 추구가 본질을 이루고 있었다.

朴殷植이 그의 고전적 저서≪韓國獨立運動之血史≫의 제1장을<甲申獨立黨의 革命失敗>로부터 시작한 것은 갑신정변을 한국독립운동의 근대적 시작으로 본 때문이었다.910) 朴殷植,≪韓國獨立運動之血史≫(≪朴殷植全集≫상, 451쪽 참조).

넷째, 갑신정변은 한국의 근대민족주의 사상과 운동의 형성 발전에 하나의 이정표를 세운 운동이었다. 한국근대사에서 모든 근대민족주의 운동은 갑신정변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그것을 반성하고 발전시킨 것이 매우 많았다. 그 후의 갑오개혁의 자주적 부문, 독립협회·만민공동회운동, 애국계몽운동은 직접적으로 갑신정변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킨 운동이었다고 볼 수 있다.

<愼鏞廈>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