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3권 국권회복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3.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 1) 민중계몽운동
  • (1) 신문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

(1) 신문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

애국계몽가들의 민중계몽운동은 인민의 지식을 계발하고 경제력을 향상하여 민족의 실력을 양성함으로써 국권을 회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신문은 민중계몽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였다. 당시의 신문은 국권을 수호하고 상실된 국권을 회복하려는 구국적 내용으로 채워졌다. 그 초점은 전근대적인 민중을 계몽하여 문명화된 근대적 국민으로 만들고, 민력을 양성하여 국권을 회복하려는 데 두었다

이 시기 애국계몽신문으로는≪제국신문≫(1898. 8. 10∼합방)·≪皇城新聞≫(1898. 9. 5∼합방)·≪大韓每日申報≫(1904. 7. 16∼합방)·≪萬歲報≫(1906. 6. 17∼1907.6.29)·≪대한민보≫(1909. 6. 2∼합방) 등이 있었다.

李鍾一과 李承晩이 창간한≪제국신문≫은 하층민과 부녀층을 주요 대상으로 삼아 국문을 사용하였다. 그들은 일반 서민층에게 국문을 해독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자아의식과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이 신문은 민중의 지식계발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 곧≪제국신문≫은 보도기관으로서의 성격보다는 오히려 국민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계몽기관의 성격을 띠고 민중계몽운동에 진력하였다.0836)李海暢<言論機關의 活動>(≪한국사≫20, 국사편찬위원회, 1974), 41∼42쪽.

≪황성신문≫은 개명된 유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창간되었다. 張志淵·柳瑾·朴殷植·南宮檍·申采浩 등 애국계몽가들이 주필로 활약한 이 신문은 일제의 침략정책을 폭로·규탄하며 국민계몽에 주력하였다.0837)강재언,<국권회복을 위한 언론과 그 수난>(≪근대한국사상사연구≫, 한울, 1983), 171∼173쪽.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황성신문≫은 ‘是日也放聲大哭’이란 사설을 통하여 을사조약 체결의 부당성을 폭로하고, 조약체결에 협력한 정부대신들을 규탄하며 온 국민들에게 항일의식을 일깨워 주었다.

≪대한매일신보≫는 梁起鐸·신채호 등 신민회의 주요 인사들이 주필로 활약하며, 일제의 침략정책을 가장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영국인 베델(Ernest T. Bethell)이 양기탁과 합작으로 경영했던≪대한매일신보≫는 국한문판·영문판·순국문판으로 발행되어 당시 최대의 발행부수를 냈으며, 영국인 소유로 되어 있었으므로 비교적 자유로운 입장에서 배일사상을 고취할 수 있었다. 이 신문은 이완용의 친일내각과 일진회의 매국행위를 폭로·규탄했고, 항일의병운동과 친일파 암살활동 등을 상세히 보도하여 항일운동의 전국적인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리고 이 신문은 민족교육을 위한 학교설립운동과 민족자본육성을 위한 실업진흥운동을 적극 홍보하여, 그 운동의 전국적인 확산에 노력하였다.0838)강재언, 위의 글, 173∼178쪽.

≪만세보≫는 천도교의 재정을 바탕으로 발간되었다. 천도교 교주 孫秉熙의 후원 아래 권동진·오세창 등이 창간한 이 신문은 그 발간 목적이 국민의 지식 계발, 곧 국민계몽에 있음을 천명하였다. 특히≪만세보≫는 일반교육뿐만 아니라 여자교육에 주목하여 여성교육단체를 조직했고 여성단체와 연계하여 애국계몽활동을 폈다.0839)李海暢, 앞의 글, 49∼51쪽.

吳世昌·張孝根 등이 중심이 되어 大韓協會의 기관지로 창간된≪大韓民報≫도 국권회복을 위한 국민의 지식계발에 발행 목적을 두었다.≪대한민보≫는 국민의 사상을 통일하여 민족의 위기를 타개할 것을 강조했으며, 일진회의 합방성명이 발표되자 국민들에게 그 부당성을 폭로하며 합방반대운동을 주도하였다.0840)李海暢, 위의 글, 52∼54쪽.

한편 해외에서도 교포들을 대상으로 독립사상을 고취하기 위한 신문이 발행되었다. 하와이에서는≪신죠신문≫·≪한인시사≫·≪한인협셩신보≫·≪新韓國報≫, 美洲에서는≪共立新報≫·≪大同公報≫·≪新韓民報≫, 露領에서는≪해조신문≫·≪大東公報≫, 중국 상해에서는≪泰東新報≫가 간행되어 항일의식과 자주독립의식의 전파에 노력하였다.0841)崔起榮,≪大韓帝國時期 新聞硏究≫(一潮閣, 1991), 193쪽.

당시 애국계몽신문들은 신지식과 신사상의 보급으로 민중을 각성케 하고, 일제의 황무지개간권·을사조약·고종양위·한일합방의 강요 등 수많은 침략책동을 비판하였다. 일제는 1907년 7월 新聞紙法을 제정케 하여 민족언론을 규제하고 신문활동을 위축시켰으나, 애국계몽신문들은 합방 때까지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에 대한 국민적 항일 여론을 일으켰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