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3권 국권회복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2. 을사의병
  • 3) 을사의병의 의의

3) 을사의병의 의의

을사의병은 을미의병 봉기 이후 10여 년 동안 변화된 시대적 여건을 변수로 여러 가지 면에서 발전된 형태로 항일전을 전개하였다. 이 단계의 의병은, 이전의 을미의병과, 1907년 하반기에 들어 계기적으로 연속되는 정미의병을 염두에 둘 때 과도기적 성격을 노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보다 거시적인 안목에서 볼 때, 을사의병은 을미의병보다 정미의병에 더 가까운 투쟁양상과 성격을 보여준다. 전국적으로 확대 발전되는 의병전쟁의 양상이 이 단계에서 점차 형성되어 갔던 점에서 그러하다.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을사의병의 전반적 성격과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을사의병은 일제침략이 한층 강화되는 어려운 객관적 조건 위에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1223)柳漢喆,<中期義兵史(1904∼1907) 연구의 성과와 과제>(≪한국근현대사연구≫1, 한국근현대사연구회, 1994), 232쪽 참조. 1904년 이후에는 수도 서울에 일제의 소위 조선주차군사령부가 설치되고, 러일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일본군 정예병력까지 전토를 침략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이어 1904년에는 한일의정서와 한일협약을 강요한 뒤 1905년 을사조약을 늑결함으로써 일제의 한국침략은 직접적이고도 절박한 국권침탈의 단계에 접어들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의병에 투신한다는 것은 국가와 민족 앞에 일신을 불사르는 살신성인의 구현이었다.

을사의병은 을미의병의 한계로 지적되는 지역성과 학통성, 혈연성을 어느 정도 극복해 가는 경향을 보여준다. 위에서 언급한 전국 의병의 활동 개황은 현재 확인된 의병 가운데 비교적 규모가 큰 단위 의진에 해당되는 것이며, 그 밖에도 전국 각처에서 수많은 의병이 활동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 곧 이 시기에 이르면, 전국적으로 단위 의병의 빈도수가 그만큼 증가하고, 또 그에 따라 단위 의병 구성원의 수도 현저히 줄어드는 추세가 나타난다. 을미의병 때 통칭 수만에서 수천에 이르던 대단위 부대가 이 시기에 와서는 수백, 수십 명을 단위로 편성되던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그만큼 의병이 정예화되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경향은 또한 의병에 참여하는 신분층이 저변으로 확대되어 가던 사실과도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1904∼1905년간 을사의병의 초기 단계에서 이미 을미의병 시기에 보이지 않던 농민층을 주축으로 한 ‘농민의병’이 다수 출현하면서 의병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즉 동학농민전쟁과 을미의병, 그리고 광무농민운동으로 연속되는 투쟁 경험을 토대로 1904년 러일전쟁과 함께 강요된 한일의정서와 한일협약 등 일제 침략을 계기로 ‘민족적 농민’은 그들의 조직을 의병으로 전환시켜 간 것이다. 또 을사의병 시기에도 을미의병과 같은 양반 유생 의병장이 다수였다고 하더라도, 박장호·고광순처럼 순수 유생도 없지 않았으나, 최익현·민종식·정환직 등 관료 출신 인사가 많았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러한 경향은 이 시기가 斥邪보다 국가의식이 더 절박하게 닿아 있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도 해석할 수 있다.1224)趙東杰, 앞의 책, 51∼57쪽 참조. 다시 말해 이 시기의 의병은 을미의병에서 지향한 ‘復讐保形’보다 발전된 더욱 선명한 救國 노선을 지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을사의병 단계에서는 또한 전술상의 변화도 점차 나타나고 있다. 단위 의병의 수는 늘어나고 편제 성원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은 이 시기에 정미의병의 보편적 전술인 유격전의 형태가 등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는 산악지대가 의병의 근거지로 점차 그 비중을 더해가게 된다. 그만큼 일제 군경을 상대로 한 전투가 치열해져 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을사의병은 다음 단계의 정미의병으로 間斷없이 계기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시기의 의병은 일제 군경에 비해 여전히 화력면에서 절대적 열세에 놓여 있어 큰 전과를 올릴 수는 없었다. 그러나 을사의병 단계에서 활동하던 각지의 의병은, 홍주의병과 산남의진, 그리고 호남의 여러 의병의 예에서 단적으로 보이듯이, 1908년 군대해산 이후 전력을 한층 강화하며 활동의 폭을 더욱 넓혀 전국적으로 확대 발전되어 가는 의병전쟁의 초석을 다져 놓게 된다. 곧 을사의병은 다음 단계에서 더욱 확대 심화되는 정미의병의 기반과 여건을 마련해 가는 과정으로 그 역사적 의의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朴敏泳>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