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5. 의·식·주생활의 변화
  • 1) 의복
  • (1) 임금의 정복(면복)

(1) 임금의 정복(면복)

 고종은 황제에 오르면서≪大明會典≫의 衣次에 따른 황제의 대례복인 십이류면관·十二章服을 종묘·사직 등의 제사와 正朝·冬至·朝會·受冊·納妃 등에 착용하였는데, 朝覲及奉祀之服이라고도 하였다.

 십이류면관·십이장복은 유물은 없으나 구류면구장복은≪國朝五禮儀≫와≪大韓禮典≫을 통하여 또≪大明會典≫과 대조해 볼 수 있고, 九章服 중 袞服은 궁중박물관에 2점의 유물이 있으므로 충분히 입증이 된다.

 십이장복은 衣·中單·裳·蔽膝·革帶·大帶·佩玉·大綬·襪·舃과 圭가 있다. 의는 玄色이며 양어깨에 日·月을, 등뒤에는 山과 星 그리고 소매 뒤쪽에 龍과 華蟲을 그려 넣었다. 중단은 素紗로서 청색 襈을 깃·도련·수구에 두르고 깃에는 黻紋을 13개 수놓았다. 상은 前三幅의 纁色 羅로 만들었고, 火·宗彛·藻·米·黼·黻을 두 줄 씩 수놓았다. 폐슬도 훈색 라로 하여 위에 용 1, 밑에 화 3을 수놓았다.

확대보기
<그림 2>十二章紋
<그림 2>十二章紋
팝업창 닫기

 혁대는 옥으로 장식되어 있다. 대대는 겉은 素色이고 안은 朱色이며 上緣은 주색으로, 下緣은 녹색으로 각각 달리 하였다.

 패옥은 좌우에 늘이는데, 위에 金鉤가 있고 옥판에는 雲龍紋이 새겨져 있는 玉珩 1개·瑀 1개·琚 2개·衝牙 1개·璜 2개·玉花 1개·玉滴 2개를 옥구슬을 꿰어 매달았고, 패옥 받침으로 훈색 바탕에 황·백·적·현·縹·녹색으로 짜서 늘였다.

 대수는 소수와 같이 6색으로 하여 뒤에 늘였다.

 버선은 朱緞으로 신발은 赤緞으로 만드는데, 신발은 繰로 緣을 두르고 황색 끈으로 졸라매었다. 따라서 황태자 면복은 구류면구장복이 되었고 親王은 팔류면칠장복이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