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5권 신문화 운동Ⅰ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동도서기론의 이론적 뒷받침과 양무론적 개화파의 주도 아래 조선정부는 서양기술의 수용과 시설도입을 추진하고 이에 필요한 교육기관들을 설립하였다. 조선정부는 우선 영어교육기관으로 同文學을 설립하였다. 서양제국과 조약을 체결하고 교섭을 갖게 되자 서양어를 말할 줄 아는 사람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外衙門協辦兼 總稅務司였던 독일인 묄렌도르프의 주도에 의해 동문학이 1882년 12월 외아문의 부속기관으로 설립되어 이듬해 개교하였다. 金晩植이 掌敎(校長)로 부임하여 당시 해관에서 일하던 중국인 吳仲賢과 唐紹威를 교사로 삼아, 40명의 학생을 오전과 오후반으로 나누어 영어를 교육하였다.016)孫仁銖,<韓國近代敎育의 類型 普及과 그 實態>(≪韓國敎育硏究≫1, 韓國精神文化硏究院 敎育硏究室, 1980), 139∼272쪽.

 조선정부에 의해 본격적인 서양식 신교육기관으로 설립된 것은 育英公院이었다. 조선정부는 미국과 수호조약을 체결한 뒤 閔泳翊을 대표로 하는 보빙사 일행을 미국에 파견하였다. 미국시찰을 마치고 돌아 온 민영익은 미국의 발달된 문물에 대하여 고종에게 보고하였고 신식교육기관의 설립을 건의하였다. 이에 따라 고종은 학교설립을 명하였고, 미국 국무성으로부터 헐버트·길모어·벙커어 등 세 명의 교사를 추천받아 육영공원을 설립하였다. 육영공원은 왕명에 따라 內外衙門의 당상관과 낭청의 子壻弟姪族親과 연소한 문무관리들 가운데서 학생을 선발하여 讀書·習字·數學·自然科學·歷史·政治學 등 서양학문을 교육하였다. 철저하게 연소한 관료와 양반자제들로 하여금 서양학문을 배우게 하여 동도서기론적 입장에서 개화정책을 추진코자 설립한 신식학교였다. 그러나 이 학교는 운영상 난맥상을 보이다가 1894년에 이르러 완전히 폐지되기에 이르렀다. 즉 육영공원은 국왕 고종의 각별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이미 관료이거나 특권의식에 젖은 양반관료의 자제로서 서구식 교육방식과 학업에 열의를 보이지 않고, 학교 운영 당국자들의 부패하고 불성실한 학교관리에 대한 미국인 교사들의 불만으로 폐쇄되는 상황에 이르렀던 것이다.017)李光麟,<育英公院의 設置와 그 變遷>(앞의 책, 1969), 103∼133쪽. 동도서기론적 입장에서 개화정책을 추진코자 한 조선정부는 또한 서양의 발달된 농업과 목축기술을 배워들이고자 1884년 農務牧畜試驗場(→農務學堂)을 설립하였고, 미국의 군사기술을 배워들이기 위해 1888년 鍊武公院을 설립하였다. 농무목축시험장 역시 그 경영에 열성적이었던 최경석의 죽음과 뒤를 이은 영국인 재프리의 죽음 및 정부당국자의 불성실로 흐지부지되었다.018)李光麟,<農務牧畜試驗場의 設置에 대하여>(앞의 책, 1969), 214∼217쪽. 이러한 현상은 연무공원의 경영에도 나타났다. 정부의 재정난, 담당관료들의 무능과 부패, 담당관료와 미국인 교관들과의 불화, 기성군인과 청나라 원세개의 방해공작 등으로 교관과 학생들이 의욕을 상실한 채 부진을 보이다가 동학농민전쟁을 계기로 조선에 진출한 일본군이 1894년 7월 조선군을 무장해제 시키는 한편, 신식무기를 약탈한 뒤 개혁을 강요함으로써 자연히 폐쇄되었다.019)李光麟,<美軍軍事敎官의 招聘과 鍊武公院>(위의 책), 178∼193쪽. 이와 같이 조선정부가 개화정책을 추진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시도했던 신교육 수용과 학교 운영은 실패를 거듭하고 있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