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6권 신문화운동 Ⅱ
  • Ⅱ. 근대 종교운동
  • 1. 유교
  • 1) 유교개혁사상의 발생

1) 유교개혁사상의 발생

19세기 말의 개화사상에는 유교이념의 근본가치를 계승하면서 서양의 우세한 기술문명을 수용하겠다는 東道西器論의 경우처럼 온건개화론도 있고, 유교사회의 전통을 과감히 타파하고 서구문물과 제도를 전면적으로 수용하려는 급진개화론도 있다. 급진개화론에서는 사실상 유교에 대한 신념을 포기하거나 다른 종교적 신념을 받아들인 경우가 상당수 있다. 그러나 온건개화론자들 사이에서는 유교적 신념을 지키면서도 보수적 도학의 형식을 깨뜨리고 상당한 수준에서 사상적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교개혁사상은 유교 내적인 전통의 성찰과 재인식의 작업이 하나의 주제요, 유교 외적인 근대 서구문물의 수용과 섭취의 작업이 다른 하나의 주제를 이루고 있다.

먼저 유교 내적인 전통을 성찰하는 과제를 크게 다음의 네 가지 사항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① 사회변혁에 대한 적응력과 변혁의지의 결핍:먼저 유교가 역사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상실한데 대한 반성이 제기된다. 여기서 유교개혁사상은 교리의 개방적이고 현실적인 재해석을 시도하며, 모든 제도와 행동절차에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적합한 합리적 변혁을 추구한다. ② 민족의식의 자주적 각성의 결핍:유교전통이 중국중심의 중화주의에 사로잡혀 있거나 유교문화의 보편주의에 젖어서 민족의식에 대한 뚜렷한 자각을 보여주지 않았다는 점에 대한 반성이 제기된다. 이에 비해 유교개혁사상에서는 유교문화를 민족문화로서 발전시키고 정립시키며, 민족정신의 기초로서 추구하고 있다. ③ 민중적 기반의 결핍:유교전통이 통치권력의 옹호와 지배층으로서 신분윤리의 강화를 내세우면서 본래의 민본정신의 실천을 외면하는데 대한 반성이 제기된다. 유교개혁사상에서도 철저한 계급의식의 극복과 한자문화의 탈피를 성취한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평등의식과 아동 및 여성교육에 대한 관심을 향상시키고 있는 뚜렷한 방향의 전환을 보여주고 있다. ④ 종교적 자기인식의 결핍:유교전통은 종교로서의 자기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빈약하거나 자신의 종교성을 부정하기도 한다. 이에 비해 유교개혁사상은 기독교가 서양문명의 기초로서 서구사회를 이룬 원동력으로 이해한다. 그리하여 종교로서의 유교를 통한 동양적 정신력의 확립과 민중적 기반의 확보를 추구하였다.

다음으로 유교 외적인 근대 서구문화의 수용에 따른 성찰의 과제를 다음의 세 가지 사항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① 사회적 효용성의 결핍:급진개화사상은 서구 근대문물을 수용하기 위해 우리의 폐쇄성을 타파한다는 의도에 따라 우리의 사회전통적 생활관습을 파괴만하면서 아무런 사회적 효용성이 없는 지엽말단적 형식을 도입하고 있다는 비판적 반성이 제기된다. ② 문화적 자주의식의 결핍:서구 근대문물의 무분별한 전반적 수용은 이미 문화의 자주적 수용이 아니라 문화적 예속이거나 굴복이라 할 수 있다는 반성이 제기된다. 중국중심에서 서양중심으로 문화지향이 직접 건너가는 현실에서 우리 문화의 위치를 각성하고 민족사와 문화의 주체적 연관성을 탐색하는 작업이 추진되었다. ③ 민족적 자주성에 대한 위기의식의 결핍:서구문화의 우월성에 대한 신봉이 국권도 상실케 할 수 있음에 대한 비판적 반성이 제기됐다. 서구문화의 폭주 속에서 유교정신의 혁신을 통해 국민정신의 배양과 민족문화의 수호를 추구하는 유교개혁사상은 이 시대 민족정신의 발현방법의 하나다.

여기에서는 유교개혁사상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서 제기되는 사상적 문제의 주제와 체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형의 인식을 통하여 이 시대의 유교사상이 지닌 문제의식과 해결방법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들이 갖는 사상사적 의의와 시대적 한계를 인식함으로써 우리 시대에 남은 문제의 성격과 방향을 이해하는데 시사를 받을 수 있게 할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