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Ⅲ. 3·1운동
  • 1. 3·1운동의 배경
  • 3) 독립운동의 새 기운

3) 독립운동의 새 기운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은 해외에 망명하여 동포사회를 기반으로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여 독립전쟁을 통해 국권을 되찾고자 했던 애국지사들의 계획에 큰 타격을 가져왔다. 연해주 동포들의 勸業會와 大韓光復軍政府는 러일협상에 의해 해체되고, 李相卨은 추방되었으며, 다른 독립운동가들은 하바로프스크·간도·북만주 등으로 흩어져야 했다. 1917년 2월혁명이 일어난 이후에도 赤白內戰과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으로 3·1운동기까지 여력이 없었다.

 북간도의 독립운동가들과 동포들도 제1차 세계대전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결정적인 기회를 대비해 왔으나, 1915년 5월 일제의 사주를 받은 중국정부의 압력으로 독립운동 단체의 조직이나 활동이 봉쇄당했다. 서간도의 경학사·부민단도 계속되는 흉작과 풍토병, 일본군의 내습의 위험 등으로 약화되고, 지도자들은 연해주와 국내로 흩어져야 했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 독립운동가들은 새로운 독립운동의 전략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 일은 독립운동의 역량을 어떻게 결집할 것인가 하는 것과 새롭게 변화하는 국제정세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하는 두 가지에 초점이 모아졌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국내외에서 일제에 의해 폐위된 光武(高宗)황제를 독립운동의 중심에 세움으로써 국민들의 총 궐기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1914년 연해주에서 대한광복군정부를 추진하다 세계대전의 발발로 중도에 무산된 바 있는 이상설은 1915년 상해로 와서 申圭植·柳東說·李春日·成樂馨·劉鴻烈 등과 新韓革命黨을 결성하여 북경에 본부를 두고, 만주 및 국내에 지부를 조직하는 한편, 광무황제를 당수로 추대하여 중국 및 독일과 군사협약을 체결하려 하였다. 이 계획은 외교부장 성낙형이 국내에 파견되었다가 체포됨으로써 계획이 탄로났으며, 중일관계나 세계대전의 추이도 독일의 우세를 점쳤던 당초 예상과 달리 전개됨으로써 성사되지 못했다.

 광무황제를 독립운동의 중심에 세우고자 한 비밀계획은 3·1운동 직전에도 시도되었다. 1913년 간도에서 경학사를 이끌다가 국내로 들어 온 李會榮은 제1차 세계대전의 終戰이 눈앞에 다가오면서 천도교의 오세창, 기독교의 이승훈, 불교의 한용운, 교육계의 김진호·강매·이상재·유진태·안확·이득년 등과 함께 광무황제의 중국망명계획을 세웠다. 황제가 중국에 망명하여 파리 강화회의에 한국 독립의 성명을 내고 독립운동에 친히 중심이 되게 하고자 하는 계획이었다. 이회영 등은 李喬永을 통해 광무황제의 승낙을 얻고 閔泳達로부터 5만환을 받아 북경에 황제가 거처할 집을 마련하게 했다. 이 계획이 무르익어 가던 중 1919년 1월 22일 새벽 광무황제가 갑자기 서거했다. 광무황제를 독립운동의 중심에 세우고자 했던 이러한 계획들은 황제의 생전에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의 갑작스런 의문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망국의 恨이 폭발함으로써 마침내 3·1운동으로 나타나게 되었다.596) 이관직,≪우당 이회영 실기≫(을유문화사, 1985), 159∼160쪽.

 한편 천도교 일각에서는 李鍾一을 중심으로 민중봉기론이 제기되고 있었다. 천도교가 앞장서서 독립만세를 선창하면 9년 동안 질곡과 신음 속에 있었던 대한의 민중들이 호응하여 참여할 것이므로 대중시위운동을 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597) 이종일,<묵암 이종일 비망록(4)>(≪한국사상≫19, 1982), 223∼224쪽.

 연해주에서 이상설 등의 대한광복군정부 수립도 그러하였지만, 제주도 조천의 유학자 金時學 등도 제1차 세계대전에서 일본과 대항관계에 있었던 독일의 승리를 예상하고, 독일과 연결을 통해 국제적 지원을 획득하여 독립을 추구하고자 사회 각계 인사들과 준비를 추진했다. 이러한 시도들은 독일의 패전이 확실해 가자 실현가능성이 없어져 갔다. 그러나 이런 모든 시도들은 우리 민족이 결코 일제의 불법적 국권강탈과 지배를 결코 용인하거나 묵종하지 않았으며, 결정적 시기가 오면 언제든지 독립운동을 일으키려고 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이었다. 3·1운동은 이러한 1910년대의 흐름 위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이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