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Ⅲ. 3·1운동
  • 3. 3·1운동의 해외 확산
  • 2) 러시아 연해주
  • (4) 독립선언과 시위운동의 전개

(4) 독립선언과 시위운동의 전개

 <독립선언서>는 각 지방 대표가 니콜리스크에 집합하고 프랑스로 출발하게 한 다음 각 지방에 배포할 예정이며, 동시에 각국 공사 및 각지 주재 외국영사 등에게도 공식으로 통고할 계획을 세웠다. 이와 더불어<독립선언서>를 공표하는 동시에 각지에서 시위운동을 개시할 계획이었다.655) 姜德相,≪現代史資料≫26, 174쪽.

 이때 광무황제의 급붕으로 조성된 애도 분위기를 이용하여 추도요배식 거행을 표면적 이유로 하여 이 거사를 추진하였다. 한인들은≪韓人新報≫(블라디보스톡)과≪韓族公報≫(니콜리스크), 露語신문≪고오로스≫·≪우챠야시치후샤야≫(니콜리스크) 등의 인쇄물을 통하여 치열하게 한국의 독립운동을 고무하고 있었으며, 일본에 대해 저항하였다. 또한 각지에서 자주 집회를 열어 한인들을 고무하고, 한국의 부흥과 일본배척을 주장하였다.656) 위와 같음. 이러한 독립운동의 중심지는 블라디보스톡과 니콜리스크로서 블라디보스톡은 韓人新報社와 居留民會, 니콜리스크는 한족중앙위원회가 주도하고 있었다.657) 위와 같음. 당초 연해주 지역 독립선언계획은 니콜리스크와 블라디보스톡의 독립선언회의 결과를 기다려 만주와 조선으로 연락하여 그 기회를 보고 있었는데, 3월 7일 서울의<독립선언서>가 간도지역에 도착하여 당초 조선과 동시에 독립선언과 시위운동을 전개할 계획에는 차질이 오게 되었으나, 다른 한편 갑자기 운동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658)<間島方面 韓族獨立運動에 關한 經過의 槪要>, 朝鮮軍參謀長, 朝特報3(1919년 3월 14일)(國會圖書館,≪韓國民族運動史料≫3·1운동편 其3, 1979), 62쪽.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