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이상과 같은 1920년대 농민운동에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민운동의 주체인 농민대중에 의해 운동조직이 결성되고, 투쟁이 전개된 점이다. 이전에도 농민단체들이 있었고 농민운동이 전개되었지만, 그것은 주로 계몽적 지식인들에 의해 지도된 것이 많았다. 하지만 1920년대에는 3·1운동을 통해 이룬 민족적·계급적 각성을 바탕으로 농민대중이 주체가 되어 소작조합·농민조합 등을 조직하고, 이를 중심으로 소작쟁의·수리조합 반대운동 등 농민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는 민족구성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농민대중이 민족해방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 것을 의미하며, 그것은 바로 일제 식민통치의 파탄을 예비하는 것이었다.

 둘째, 농민운동이 소작쟁의, 수리조합 반대 운동, 곡물 검사제 반대 운동, 화전민 운동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 점이다. 1920년대 농민운동에는 일제의 식민농업수탈의 피해자들인 소작농민은 물론 중소지주·자작농·자소작농, 그리고 화전민까지 참여하였다. 가히 대지주와 대자본가를 제외한 전 민족계층이 동참하였고, 그 속에서 계급적 연대의 지평을 넓혀 간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1920년대 후반 민족협동전선의 결성도 이같은 계급적 연대 위에서 성공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농민운동의 전개과정에서 운동조직은 소작조합에서 농민조합으로, 또 혁명적 농민조합으로 발전하여 간 점이다. 농민운동 주체들은 운동과정에서, 그리고 정세의 변화에 대응하여 운동조직의 개편을 주체적으로 수행하였다. 1920년대 전반기 소작인 중심의 소작조합은 후반기에 오면 자작농을 포함하는 농민조합으로 확대·개편되었고, 또 세계대공황 이후에는 혁명적 농민조합으로 조직을 바꾸어 갔다. 이는 운동주체가 상황의 변화에 그 만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존재로 성장한 사실을 의미한다.

 넷째, 농민운동 조직의 결성은 물론 농민운동의 전개과정에서도 사회주의의 영향을 다분히 받고 있는 점이다. 사회주의자들의 농민문제선언 이후 농민운동 조직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사실이나, 소작쟁의과정에 참여하여 쟁의를 지도한 사회주의자들의 활동이 자주 보인다. 이는 경제권익 중심의 농민운동을 민족해방운동으로 발전시켜 간 동력이었고, 나아가 농민대중이 노동자·농민의 세계관을 수용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이후 농민운동은 단순한 계급운동이 아니라 민족해방운동으로, 나아가 새로운 사회 건설의 전망을 지닌 변혁운동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金容達>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