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 청년운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청총은 창립 당시 혁명적 민족운동과 협동전선을 천명하였다. 각지의 청년단체들은 민족문제와 종교문제를 논의했다. 하지만 청년단체의 조직과 운동의 중심은 무산계급 청년운동에 있었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와 민족청년단체·종교청년단체는 분리되어 있었으며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서로 협동하여 활동했다. 특히 종교문제에 대해서는 ‘종교박멸’이 공통적인 양상이었다. 곳곳에서 반종교운동이 주장되었으며, 그 가운데서도 기독교에 대한 반대운동이 자주 일어났다.

 1925년 후반부터는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문제가 논의되기 시작했다. 한양청년연맹은 제한된 무산계급 청년운동에만 머물지 말고 ‘민족적으로 대중적인 청년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강령을 수정하고 대중적인 슬로건을 제시했다. 동시에 그 안에서 ‘무산청년의 지도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산청년을 교육기관에 집중시키도록 했다.692)≪시대일보≫, 1925년 11월 26일. 한양청년연맹은 11월 확대위원회에서 강령을 “①我等은 지적향상과 실력양성을 期함, ②아등은 호상친목과 단결을 圖함, ③아등은 정의로써 사회봉공을 誓함” 등으로 수정하고자 했으나 논의 결과 보류되었다. 당면 표어로는 문맹퇴치·미신타파·조혼폐지·유소년 학대방지 등과 같은 대중적인 슬로건을 제시했었다. 하지만 ‘제1차 조선공산당 검거사건’으로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문제는 더 이상 논의되지 못했다.

 1926년 중반 청년운동은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다. 6·10만세운동 과정에서 확인된 민족통일전선의 가능성과 민흥회 발기, 아세아민족대회 반대투쟁 등은 청년운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1926년 7월 함북청년연맹은 청년단체의 강령을 “조선 민중의 최대이익을 목표”로 수정할 것을 주장했다. 이에 기초하여 청년단체는 종교와 비종교, 노동자·농민을 구별하지 말고 통일단결할 것과 종교문제에 대해서도 邪敎는 박멸하되 기독교와 불교·천도교를 이해해고 그들과 연결을 촉진할 것을 결의했다.693)≪동아일보≫, 1926년 7월 27일. 1926년 8월 고려공청은 청총의 강령을 계급적인 것에서 민족적인 것으로 개정해야한다는 합의를 보았다. 즉 과거 무산청년만으로 조직하던 제도를 폐기하고 종교청년과 민족주의 청년도 가입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었다.

 1926년 11월<정우회선언>을 통해 대중운동이 정치투쟁으로 나아가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열풍이 불어왔다. 조선 청년운동의 중심 역할을 하던 서울 지역의 주요 청년단체들은 청총에 대하여 계급위주에서 벗어나 민족적 의식을 토대로 한 강령을 채택하도록 요구했다. 종교청년단체를 민족주의 청년단체로 인정하였으며 이들을 망라한 총기관을 설치하자고 주장했다.694)≪조선일보≫, 1926년 12월 21일.

 1927년 2월 신간회가 결성되고 5월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에서 조선운동의 방향전환론이 정당성을 획득하면서 청년운동에서 민족문제에 대한 인식은 한층 높아갔다. 대부분의 청년단체들은 정치투쟁 슬로건 아래 강령과 규약을 바꾸고 ‘민족주의 단체 조직’, ‘종교청년 제휴’를 결의했다. 이제 청년운동이 식민지 조선의 민족해방을 위한 통일전선운동의 주요 세력임을 깨닫기 시작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