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일반적으로 학생운동이란 학생들이 학구생활의 범위를 벗어나 집단적인 행동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각 방면에 걸친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하는 사회운동이라 할 수 있다.

 학생운동의 일반적 경향은 현실에 대한 불만과 과거(전통)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것은 오랜 전통을 가진 사회나 국가일수록 과거가 현실을 지배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기네와 무관한 과거에 묵종할 수도 없고 하등의 책임도 질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그 결과 자연히 반항적인 성격이 뚜렷이 나타난다. 한편 현실에 있어서도 대내적으로 사회 각 분야의 모순을 극복하고 근대화를 위한 정치·사회·문화운동을 일으키며 대외적으로는 외세의 침략과 억압에 대항하는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세계사적으로 보아 학생운동이 역사적 의미를 갖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부터라 할 수 있다.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정치적으로 후진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던 독일과 이탈리아의 학생들이 통일운동·자유입헌운동·문화운동 등 애국운동을 일으켜 사회와 국가발전을 도모하였던 것이다. 1815년 창립된 독일의 ‘학생결사(Burschenschaft)’는 최후의 목표를 독일의 통일과 개인의 자유에 두고 철학자 칸트(Kant, 1724∼1814)·피이테(Fiehte, 1762∼1816) 등의 관념주의에 의한 도덕관, 프랑스대혁명에서 나타난 자유주의·평등사상에 영향을 받아 이의 실천에 노력하였던 것이다. 독일학생들은 자신들의 내적 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에서 출발하여 낙후되고 분열된 독일의 통일과 민주국가로의 건설에 앞장섰던 것이다.759) 金成植,≪獨逸學生運動史≫(日新社, 1957), 2쪽.

 한편 1831년 맛지니(Mazzini, 1805∼1872)에 의하여 조직된 이탈리아의 ‘청년이탈리아(La Giovine Italia)’도 이탈리아를 자유와 평등의 공화국으로 통일할 것을 주장하면서 사회개혁에서 출발하여 우선 시대에 적응되는 정치현실을 위하여는 사회가 개조되어야 한다며 사회운동을 일으켰다. 또한 국교인 로마가톨릭(Roman Catholic)은 중세적 이념의 부산물이라고 이를 배격하고 종교는 현대지식과 조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종교운동·정치운동으로 발전하였다.760) 金成植, 위의 책, 5쪽.

 아시아에 있어서는 20세기에 들어와 중국에서 일어난 1919년의 5·4운동이 北京大學 학생들을 중심으로 전국의 학생과 중국인들이 排日·민족자결·軍閥打倒 등을 표방하고 새로운 중국을 건설하려고 한 반제항일민족운동이었다. 이들 학생들은 쑨원(孫文, 1866∼1925)·캉유웨이(康有爲, 1895∼1927) 등 민족 선각자나 천두쉬우(陳獨秀, 1879∼1942)·후산(胡適, 1891∼1936)·루신(魯迅, 1881∼1936)·리따수오(李大釗, 1889∼1927) 등의 신문화운동에 영향을 받고 한 걸음 나아가 제1차 세계대전 후 미국대통령 윌슨(Thomas Woodrow Wilson)의 민족자결주의와 유럽의 자유 민주주의의 영향을 받아 민족운동으로 승화시켰던 것이다.761) 周策從(Chan, Tse-Tsung) 原著, 楊黙夫 編譯,≪五四運動史≫(龍田出版社, 1984), 1∼7쪽.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