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6. 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2) 동맹휴학

(2) 동맹휴학

 동맹휴학이란 학생들이 교육상 제문제나 또는 정치적 제요구를 관철하기 위한 수단으로 학업을 거부하는 집단행동을 말한다.801) 李錫台 編,<同盟休學條>(≪社會科學大辭典≫, 文友印書館, 1946), 164쪽. 1920년대의 동맹휴학은 학원내의 사소한 문제로부터 발단되어 일제식민지 노예교육에 대한 규탄, 나아가 총독정치에 대한 비판으로 확대 발전하고 결국 민족독립을 절규하는 민족운동의 성격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특히 이 시기의 동맹휴학은 보통학교에서 전문학교에 이르기까지,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학교에서 산간벽지의 학교까지 전국적으로 일어났으며 한 학교, 한 지역의 운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국 학교, 전 민족의 운동으로 전개되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802)金鎬逸,<日帝下 學生運動의 一形態-1920年代 동맹휴학을 中心으로->(≪亞細亞學報≫11, 1975).

 그리하여 일제당국자들은 동맹휴학에 대하여 예의주도한 감시와 그 대책을 강구하여 가차없이 주동자는 퇴학, 구속하고 학교는 폐쇄시키는 등 강경일변도로 탄압하였다. 더욱이 일제는 동맹휴학이 교육문제인 이상 學務局 소관이었으나 警務局에서 취급하여 강경하게 대처하였던 것이다.

 일제 경찰 당국은 이 시기의 동맹휴학을 성격적 측면과 사상적 측면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분석하면서 발생원인을 처음에는 무자격교원의 배척 등 3개 항목으로 보았으나 동맹휴학이 차츰 격화되자, 학교설비, 학교규칙, 학과 기타에 관한 맹휴 등 6항목으로 나누어 보았다.803)동맹휴학의 원인이 처음에는 ① 무자격교원의 배척, ② 시설충실, ③ 축제일의 식전 참여기피, 봉축가 불합창이었다(朝鮮總督府 警務局,≪高等警察報≫5, 1936, 37∼38쪽). 그러나 맹휴가 격화되자 그 원인분석을 ① 학과설비·교규교칙·학과 기타에 관한 맹휴, ② 교원배척에 관한 맹휴, ③ 학교 내부의 사실에 관한 맹휴, ④ 생도간의 사실에 관한 맹휴, ⑤ 지방문제에 관한 맹휴, ⑥ 민족의식 및 좌경사상의 반영에 기인하는 맹휴로 구분하였다(朝鮮總督府 警務局,≪朝鮮に於ける同盟休校の考察≫, 1929, 20쪽). 맹휴건수도<표 1>에서와 같이 1920년 20건에서 1925년 55건, 1930년에는 107건으로 증가하였다.

연 도 건 수 연 도 건 수 연 도 건 수 연 도 건 수
1920 20 1924 24 1928 83 1932 33
1921 33 1925 48 1929 78 1933 38
1922 52 1926 55 1930 107 1934 39
1923 57 1927 72 1931 102 1935 36

<표 1>연도별 동맹휴학 건수

*朝鮮總督府 警務局,≪最近に於ける朝鮮治安狀況≫(1936), 106∼113쪽.

 그러나 학생들이 제시한 요구조건·진정서·건의서·결의사항 등을 분석하여 보면 이 시기의 동맹휴학은 1926년 6·10학생운동을 분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과 이후의 성격이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6·10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은 주로 교내문제와 교육문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① 교장 및 교사배척, ② 교수방법 및 교과과정 시정, ③ 학교시설확충요구, ④ 학교승격 요구 등이었다. 그러나 6·10학생운동 이전의 동맹휴학이 식민지교육에 대한 저항이었다면 그 이후는 식민지통치에 대한 저항이었고 사회개혁을 도모하려 한 운동이었다. 동맹휴학의 결과 많은 학생희생자가 발생했고 그것은 상대적으로 민족운동가를 배출하는 산실의 역할도 했다. 일제 당국은 동맹휴학을 단순한 학생불만의 표시라 보지 않고 민족운동의 일환으로 판단하여 철저한 감시와 탄압을 가하였다. 1921년부터 1928년까지 동맹휴학 404건에 연루된 학생 수는 7,674명이었고 이 중 퇴학당한 학생이 1,560명, 재판에 회부되어 형의 언도를 받은 학생도 172명이나 되었다.804) 李如星·金世鎔 共著,≪數字朝鮮硏究≫1(世光社, 1931), 93쪽.

 1920년대 동맹휴학이 가장 격렬하게 전개된 배경에는 사회주의사상의 영향과 학생단체 및 비밀결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들어와 사회주의사상이 대두되고 많은 사상단체의 조직과 활동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학생회·조선학생과학연구회·신간회학생부 등 학생단체가 동맹휴학을 지도하고 각급 학교에 조직되어 있던 비밀결사 독서회·반회 등이 동맹휴학을 치열하게 전개시키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그것을 일제 당국자가 시기별로 사상동향을 분석하여 도표로 작성한 것이<표 2>의 내용이다.

연 대 맹휴의 색채 사상경향 비 고
구한국시대     한학·과학만능시대
한일합병
(1910∼19)
    신교육기지·서당만능시대
1919 배일맹휴시대 독립운동시대
관학기피·소극적
저항시대
3월 독립만세소요사건
1920 미국의원단의 내선
1921 실력양성운동과
향학열 발흥시대
워싱톤회의
1922  
1923 2월 조선학생회 성립
4월 민립대학기성회 성립
1924 주의적
맹휴시련기
좌경화시대 9월 조선학생과학연구회 성립
1925 4월 제1차 조선공산당사건 검거
1926 주의적
맹휴시대
6월 10일 이태왕 전하 국장
1927 민족·공산합류시대 2월 신간회 성립

1928
 
11월 대구에서 최초의 공산주의
비밀결사 적우동맹 및 경성에서
ㄱ당사건 검거
1929 11월 3일 광주학생사건 발발
1930 반전운동시대  
1931 단순한(사상
배경 없는)
맹휴시대
5월 신간회 해소, 하기문맹퇴치운
동 개시, 9월 18일 만주사변 발발
1932 전향시대
주의사상 침체시대
 
1933 3월 27일 국제연맹 탈퇴 통고
1934  
1935  

<표 2>시기별 학생운동의 변화 추이

*朝鮮總督府 警務局,≪高等警察報≫5(1936), 37∼38쪽.

 그리하여 1920년대 동맹휴학은 1926년 6·10학생운동과 1929년 광주학생운동을 일으키게 하고, 이를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 작용을 한 항일학생민족운동의 한 형태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