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1. 중국관내 독립운동정당의 활동
  • 1) 독립운동정당의 성립과 활동
  • (4) 조선혁명당

(4) 조선혁명당

朝鮮革命黨은 1929년 12월에 국민부가 기존의 민족유일당 조직동맹을 개편함에 따라 결성된 것이다. 그래서 조선혁명당은 국민부의 독립운동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였고, 국민부의 무장조직을 조선혁명군의 산하에 편성하기로 했다.506)國史編纂委員會,≪韓國獨立史≫5(1969), 736쪽. 이것은 以黨工作·以黨統治라는 시대조류에 호응한 것으로, 국민부는 한인사회의 자치행정기관, 조선혁명군은 독립운동에 대한 군사적 임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역할을 분담하면서, 그 조직과 운영은 유일정당인 조선혁명당의 정치적 지도 아래 놓이게 되는 체제를 갖추었던 것이다.507)秋憲樹,≪資料 韓國獨立運動≫2(延世大出版部, 1975), 338쪽.

조선혁명당의 중심인물은 崔東旿·柳東說·高豁信·李雄 등이었다.508)金正柱,≪朝鮮統治史料≫10, 703쪽. 구성간부들의 내용을 보면 玄益哲이 중앙책임비서였고, 7부 위원장에 玄正卿(정치부)·高而虛(조직부)·金輔安(교육부)·張承彦(체육부)·최동오(외교부)·고활신(선전부)·이웅(군사부) 등이 각각 선임되었다.509)洪永道, 앞의 책, 281쪽.

이들은 대다수 민족주의자들이었고, 또 이 당도 민족주의 세력의 결집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당시 발표했던 선언은 사회주의적인 논리를 강하게 표방하고 있었다. 즉, 그들은 “일본제국주의를 박멸하고 아울러 내부의 일체 압박 및 착취세력을 파괴하고 조선의 절대 독립을 완성하여 노동·민주 정권을 확립하는 것과 동시에 대기업 기관을 몰수하여 국유로 하고 대토지 소유를 몰수하여 농민에게 분여하고 일체 노력 생활의 평형 발달을 도모하는데 있다”고 목적을 천명했다.510)國會圖書館,≪韓國民族運動史料≫중국편(1976), 669∼672쪽. 이들이 ‘민족주의자들의 결사체’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이 선언에서 사회주의 논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당시 러시아 혁명의 성공에 따라 혁명적 사회주의 사상이 민족운동 내에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었으며, 또한 만주 한인사회의 대다수는 농민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논리의 수용이 선전적 차원에서 보다 유리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511)秋憲樹,≪資料 韓國獨立運動≫2(연세출판부, 1975), 339쪽.

조선혁명당은 실제 민족·사회주의 양파의 대립이 극심하였다. 그 결과, 민족주의 세력의 현익철이 사회주의 세력인 玄河竹 일파를 몰아내고 실권을 장악하였고,512)秋憲樹,≪資料 韓國獨立運動≫2(연세출판부, 1975), 67쪽. 1935년에 조선민족혁명당에 참가함으로써 해체되었다.

조선혁명당은 한국독립당(만주)과 함께 1930년대 초 만주에서의 정당활동을 전개했다. 이들은 모두 당에 소속된 독자적인 군사력을 가짐으로써 활동의 주안점을 정책 제시 및 조직화의 측면에 두는 다른 정당과 달리, 오히려 항일전투활동의 정치적 지도를 위한 정당조직의 유지를 강조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들이 만주사변 이후 1931∼1933년 사이에 중국관내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후 만주지방에서의 민족주의 계열의 정당활동은 종료되었다.513)秋憲樹, 앞의 글, 345쪽.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