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1. 중국관내 독립운동정당의 활동
  • 5) 임시정부로의 합류
  • (3)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

(3)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

조선민족해방동맹의 연원은 1929년 10월 유호한국독립운동자동맹에 이른다. 유호동맹원 가운데 일부가 민족혁명당으로 흡수되고 나머지는 중국공산당원으로서 활동하였다.590)金正柱,≪朝鮮統治史料≫10(東京:韓國史料硏究所, 1975), 868쪽. 민족혁명당에 가담했던 세력이 1936년에 이를 이탈하여 김성숙과 박건웅을 중심으로 조선민족해방동맹을 조직했다. 김성숙 등은 김원봉의 독주로 이루어지는 민족혁명당의 운영에 불만을 갖고 이를 이탈하여 동맹을 조직했는데, 그 구성원들은 중국공산당에 가입하지 않은 인물들로 이루어졌다.591)김성숙은 한국의 공산주의자들이 대다수 중국공산당원이 된 상태인데, “중국공산당에 들지 않은 채 조선의 공산운동이나 조선의 혁명에 몸 바치려는 동지를 규합”하여 조직했으며, 이것은 공산주의보다 조국의 해방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했다(李庭植·金學俊,≪혁명가들의 항일회상≫, 民音社, 1988, 100쪽).

이 동맹은 1937년에 조직된 좌파의 연합조직인 민족전선에 합류했다. 이어서 이 동맹은 1939년 9월 7당통일회의에서 조직방법론의 차이를 내세워 조선청년전위동맹과 함께 이탈하였고, 1940년 말에는 한빈과 이정호 그리고 조선청년전위동맹과 합류하여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을 조직했다. 그 뒤 한빈과 조선청년전위동맹원으로 구성된 조선의용대 1·2지대가 화북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자, 1941년 12월 1일에 임시정부의 지지를 선언하고 이에 참여하였다. 그리하여 김성숙은 1942년에 내무차장, 1943년에 국무위원이 되었다. 당시의 주요구성원은 김성숙을 비롯하여 박건웅, 신익희의 사위였던 金載浩(일명 胡建)와 그의 아내 申貞琓 등이었다.592)李庭植·金學俊, 위의 책, 115쪽.
정정화,≪녹두꽃:여자 독립군 정정화의 낮은 목소리≫(未完, 1987), 162쪽.

이 동맹의 성립이 갖고 있는 의의는 중국국민당 지구 내에 있던 공산주의자를 조직적으로 통일했던 점과 국제성보다는 민족혁명을 우선하여 임시정부를 강화시켰던 점이다. 한편 화북지역의 조선독립동맹과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했던 데에 그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