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1. 광복 전후의 통일국가 수립운동
  • 2) 신탁통치 논쟁과 좌우대립
  • (2) 우익세력의 통일전선-비상국민회의

(2) 우익세력의 통일전선-비상국민회의

 신탁통치 실시문제를 둘러싸고 여론이 분분해지자, 임정세력은 1946년 1월 4일 金九 주석의 성명을 통해 당면 비상대책을 천명하였다. 임정은 1월 21일부터 비상정치회의주비회를 열고, 우익의 통일전선 구축을 위해 노력했다.

 곧 이어 이승만의 독립촉성중앙협의회가 가세하기 시작했다. 임정세력은 우선 좌익과 우익의 연립을 요구하면서 반탁을 중심으로 모든 정당이 통일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정치적 상황으로 보아 이와 같은 통일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모든 좌익정당은 이들이 소집한 회의에 참석조차 하지 않았다.

 2월 1·2일 이틀 동안, 서울 천주교회에서 이승만의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비롯한 모든 우익정당, 사회단체와 중도파 정당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국민회의를 발족시켰다. 비상국민회의는 조직 대강을 채택하고 과도정권 수립 등 긴급문제를 처리할 최고정무위원회를 구성키로 하였으며, 그 인선을 이승만과 김구 양 영수에게 일임하였다. 최고정무위원회는 이승만과 김구 등 28명으로 구성되었는데, 나중에 미군정청의 권유로 민주의원으로 전환된다.187)송남헌, 앞의 책, 281쪽.

 반탁운동을 가장 먼저 주도한 김구는 반탁노선이 국민들의 전폭적인 호응을 받자 미·영·소·중의 4개국에 임시정부 명의로 ‘신탁통치 절대 반대’ 성명을 발송하였고 이 기회를 이용하여 정부의 기능을 수행하려 하였다. 임정은 내무장관 명의의 임시정부 포고 제1호를 통해, “현재 전국 미군정청 소속의 경찰기구 및 한인 직원은 전부 본 임시정부 지휘하에 예속하게 한다”고 발표하였다. 이것은 미군정에 대한 정면 도전을 의미한 것이었다. 이로 인해 임정세력은 미군정청으로부터 배척당하게 된다.

 이처럼 김구진영이 반탁운동에 발 벗고 나선 것은 독립국가를 이룩하겠다는 혁명가의 기원이라는 이상주의적 측면이 있지만, 이와 더불어 이승만과의 경쟁에서 그의 정치적 권위를 만회해 보려는 현실적인 목적도 있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