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2. 주요 정치세력의 통일국가 수립운동
  • 1) 우익 정치세력의 노선과 활동
  • (1) 한국민주당

(1) 한국민주당

 국내에 있었던 우익 정치세력들 중 8·15 직후 가장 먼저 정치활동을 시작한 것은 일본 패망 당시 국내에 있었던≪동아일보≫그룹이었다.≪동아일보≫그룹의 핵심 인사였던 송진우는 8·15 직후 朝鮮建國準備委員會(이하 건준)에 참여하지 않고 정세를 관망하다가, 미군의 진주를 앞두고 1945년 9월 1일 ‘大韓民國臨時政府 還國歡迎會’를 구성하였다. 이것은 당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던 朝鮮共産黨 중심의 좌익 정치세력에 대한 대응이면서 동시에 미군의 진주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었다.199)송남헌,≪해방3년사≫Ⅰ(까치, 1985), 77쪽.

 미군의 상륙을 앞두고 동년 9월 6일 건준이 朝鮮人民共和國(이하 인공)으로 개편되자, 송진우는 9월 7일 ‘國民大會準備會’를 결성하였다.≪동아일보≫사옥에서 결성된 국민대회준비회에는 송진우(위원장), 김성수, 徐相日(부위원장), 元世勳(부위원장), 金俊淵(총무부), 張澤相(외교부), 薛義植(정보부), 尹致暎(경호부) 등이 참여하였다. 국민대회준비회는 重慶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였으며, 이 조직이 모체가 되어 미군이 진주한 직후인 9월 16일 韓國民主黨(이하 한민당)을 결성하였다.200)국민대회준비회는 한민당이 창당된 이후에도 그대로 존속했는데, 이는 “해외망명 동지들이 환국한 다음에 완전독립의 총협의체로 재편성하여 활용할 심산” 때문이었다(고하선생전기편찬위원회,≪고하 송진우선생전≫, 동아일보사, 1990, 460쪽). 이 ‘준비회’는 후일 미군환영대회(1945년 10월 20일), 임시정부요인 환영대회(1945년 12월 19일) 등을 주관하여 한민당의 존재를 내외에 과시하는 역할을 했으나 한민당과 한독당의 합당결렬과 송진우의 피살로 유명무실해지고 말았다.

 한민당 창당대회는 천도교 기념관에서 1,600여 명의 발기인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창당대회에서 300명의 중앙집행위원을 선출하고 이승만·徐載弼·김구·李始榮·文昌範·權東鎭·吳世昌 등 7인을 당의 영수로 추대하였다. 송진우가 당의 수석총무로 선출되어 당수 격으로 당을 대표하였으며, 지역 안배에 따라 원세훈·白寬洙·서상일·金度演·許政·趙炳玉·白南薰·金東元이 총무에 선출되었다.

 초기 한민당은 ‘지주·자본가 및 친일파’들의 정당이라는 좌익 정치세력의 비난과는 달리 다양한 정치세력이 참여하였다. 연해주·상해·북경 등에서 항일운동을 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복역한 이후 국내에서 활동했던 원세훈은 1945년 8월 18일 高麗民主黨을 결성하였으며, 한민당에 참여하였다. 식민지시기 유명한 항일변호사였던 金炳魯와 李仁 등도 초기에는 건준에 참여한 安在鴻과의 합작을 추진하였지만, 건준의 조직개편으로 안재홍이 건준에서 탈퇴하자, 백관수·조병옥·金若水 등과 함께 한민당에 참여하였다. 식민지시기 친일을 하지 않았던 국내의 우익인사들이 8·15 직후 한민당에 모두 참여하게 된 데에는 공산주의에 반대한다는 이념적 동질성과 함께 민족통일전선을 표방한 건준이 인공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좌익세력들에 의해 독선적으로 운영되었다는 점이 중요한 이유로 작용하였다.

 8·15 직후 한민당에 참여했던 주요 세력과 인물은 다음과 같다.

한국국민당:張德秀·허정·백남훈·윤치영·尹潽善 조선민족당:원세훈·김병로·백관수·조병옥·咸尙勳·김약수·이인 국민대회준비회:송진우·김성수·서상일·김준연·장택상·설의식

 9월 22일에는 중앙집행위원회를 개최하여 11개 부서장과 중앙감찰위원 30명을 선출하였다. 11개 부서는 당무부·외무부·조직부·내무부·선전부·정보부·노동부·문교부·후생부·조사부·연락부 등이었으며, 후에 지방부·청년부·훈련부 등 3개 부서가 추가되었다.201)박태균,<해방직후 한국민주당 구성원의 성격과 조직개편>(≪국사관논총≫58, 국사편찬위원회, 1994), 90∼92쪽. 지방지부의 조직은 ‘친일파정당’이라는 오명 때문에 조직 결성이 쉽지 않았지만, 1945년 11월 초 광주를 시작으로 1945년 12월 부산과 서울에서, 그리고 1946년 6월에서 11월 사이 경상남도(6월 16일), 충청북도(7월 31일), 전라북도(10월 15일), 경상북도(11월 2일)에서 지방지부가 조직되었다.202)심지연,≪한국민주당연구 II:한국현대정당론≫(창작과 비평사, 1984), 222·229쪽. 1946년 말까지 53개의 당지부가 결성되었고, 결성 중에 있는 지부가 27개였으며, 창당시 5만 명이라고 신고한 당원수가 23만 명으로 증가되었다.203)≪조선연감≫(조선통신사, 1947), 57쪽. 그러나 당시의 대체적인 분위기는 “한민당에 가입해 주는 것만 해도 당지도부로서는 고마워했던” 분위기였기 때문에 실제 당원수보다는 훨씬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한민당은 다음과 같은 정치노선하에서 정치활동을 전개하였다. 첫째로 인공에 대한 반대노선이다. 초기 한민당에는 친일경력의 인사에서부터 일제말기까지 독립운동을 했던 다양한 인사들이 참여하였지만, 식민지시기 실력양성운동, 기독교운동, 자치운동을 주도하면서 좌익 정치세력과 대립하였던 우익 정치세력들의 결집체였다. 당 내부에는 친일을 했던 세력과 일본의 압력을 이겨낸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이 참여하였지만, 8·15 직후 좌익의 결집체였던 인공에 대한 반대를 가장 중요한 정치노선으로 내세우고 있었다. 창당선언문을 통해서 중경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해 절대적 지지를 선언한 것 역시 인공에 대한 반대를 천명한 것이었다. 임시정부에 대한 지지는 공통된 정치노선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인공에 대항할 수 있는 정치세력과의 결집을 모색한 것이었다. 한민당이 信託統治 反對運動(이하 반탁운동)을 지지한 것 역시 좌파세력에 대한 반대운동의 일환이었다.

 둘째로 미군정과의 협조노선이다. ‘친일파·지주·자본가’의 정당이라고 비난을 받았던 한민당으로서는 실질적인 힘을 가지고 있었던 미군정과의 협조노선이 존립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었다. 정치노선 상에서도 좌파나 소련에 대항하기 위하여 미군정과의 연합은 불가피한 것이었다. 미군정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는 한민당에 참여하고 있던 인물들의 사상 및 교육배경과 무관하지 않았다. 한민당에 참여하고 있었던 많은 인물들이 식민지시기 일본이나 미국에서 유학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204)일본에서 유학한 대표적인 인물은 김병로·이인(이상 明治大學), 송진우·김성수·장덕수·장택상(이상 早稻田大學), 김도연(慶應大學), 김준연·유억겸·남궁영(이상 東京帝國大學) 등이다. 미국에서 유학한 대표적인 인물은 김도연·백낙준·윤치영·이기붕·임영신·장덕수·조병옥 등이다. 이외에 장택상(영국), 이극로, 김준연(이상 독일) 등이 유럽에서 유학하였다. 미군정으로서도 통치를 위하여 “연로하고도 보다 교육받은 한국인들 가운데 수백 명의 보수주의자들”205)<재한국정치고문(베닝호프)이 국무장관에게(1945년 9월 15일)>(김국태 역,≪해방 3년과 미국≫Ⅰ, 돌베개, 1984), 56쪽.의 영어실력을 필요로 하였고, 둘 사이의 연합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1945년 10월 초 미군정이 설치했던 고문회의에는 전체 10명 중 7명이 한민당 관계자였으며, 미군정 내의 국장(지금의 장관)과 도지사 역시 한민당 출신이 다수 참여하였다.206)미군정 내의 부·국장·도지사 중 이용설(보건위생국장), 이훈구(농상국장), 조병옥(경무국장), 유억겸(학무국장), 김병로(법무부장), 민희식(운수부장), 구자옥(경기도 지사), 서민호(광주부윤) 등이 한민당 관련 인사들이었다.
박태균,<8·15 직후 미군정의 관리 충원과 친일파>(≪역사와 현실≫10, 한국역사연구회, 1993), 61∼62쪽.
경찰 및 사법조직에서 한민당원들의 참여와 관련해서는 안진,≪미군정기 억압기구 연구≫(새길, 1996) 참조.

 셋째로 자본가와 지주에 기반한 경제정책노선이다. 당 강령과 정책을 통해 발표된 한민당의 정치노선은 당시 좌익 정치세력이나 중도 정치세력에서 주장하였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즉, ‘근로대중의 복리증진을 기함’, ‘교육 및 보건의 기회 균등’, ‘주요 산업의 국영 또는 통제 관리’ 등은 조선공산당을 비롯한 대부분의 정치세력들이 정강, 정책에 공통적으로 담고 있는 내용이었다. 한민당의 함상훈은 경제대책에 대한 토론회에서 “아당의 공업건설 의견은 대체로 공산당의 의견과 근사하다”라고 주장하였다.207)<정당통일과 경제대책>(≪춘추≫제5권 1호, 1945;심지연,≪한국민주당연구≫I, 풀빛, 1982, 163∼167쪽에 재수록). 단지 토지문제와 관련하여 다른 정치세력들과 차이가 있었다. 한민당을 제외한 다른 정치세력들이 토지국유화, 또는 유·무상몰수, 무상분배를 주장하고 있던 데 반하여 한민당은 ‘토지제도의 합리적 재편성’이라고 규정하여 구체적인 내용과 방안을 밝히지 않았다.208)중앙선거관리위원회,≪대한민국정당사≫(보진재, 1968), 120∼122쪽.

 그러나 실제적 활동에서 나타나는 경제정책은 지주와 자본가 중심의 경제체제를 건설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민당은 토지개혁을 위한 過渡立法議院의 움직임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며,209)≪동아일보≫, 1946년 10월 9일. 미군정의 적산불하 방침에 대해서는 적극 찬성하였다. 당시 여론은 “많은 자본을 가진 사업가 혹은 간상배 이외에는 도저히 살 수 없을 것”이라고 하면서 현금 일시지불에 의한 적산불하를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210)≪조선연감≫(조선통신사, 1948), 176쪽. 한민당은 “악성인플레 방지, 훼손·유실 방지, 다수인의 소유권 향유 등 견지에서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211)≪동아일보≫, 1947년 7월 26일.

 한민당의 경제정책은 美·蘇共同委員會에 제출한 ‘임시정부의 정강’에서 잘 나타난다.212)새한민보사,<임협의 답신안>(≪임시정부수립대강≫, 1947), 16∼40쪽. 한민당이 주도하고 있었던 ‘臨時政府樹立對策協議會’에서 제출한 방안을 보면 경제기구와 산업, 산업조직 등의 항목에서, 정책과 강령을 통해 발표한 바와 마찬가지로 ‘계획통제정책의 수립’, ‘경제기획원의 설립’, ‘최저 임금제’ 등을 내세우고 있지만, 토지문제에 있어서는 ‘유상매수·유상분배’, 재산권에 대해서는 ‘배타적 소유권의 확립’, 산업부문에 있어서 ‘농토자본의 산업자본으로의 계획적인 전화’ 등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대부분의 정치세력들이 무상분배를 골자로 하는 농지개혁과 중요 산업의 국유화를 내세우면서 대중적 지지를 얻고 있었던 8·15 직후의 상황에서 한민당 역시 이것을 수용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 경제정책의 기본 방향은 지주와 자본가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었다.

 한민당의 활동은 위의 정치노선 위에서 크게 미군정에의 협조, 반탁운동, 38선 이남만의 단독선거 실시운동 등으로 이어졌다. 미군정의 행정기관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한민당은 이승만과 임시정부가 귀국하자 이들을 중심으로 우익 정치세력을 강화하고자 노력하였다. 송진우가 암살당한 직후213)송진우의 암살과 관련해서는 박태균,≪38선을 베고 쓰러진 거인들≫(지성사, 1984) 참조. 조직을 개편한 한민당은 4당회합·5당회합 등 정치세력 통합을 위한 움직임에 참여하였지만, 기본적으로는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한 반탁운동에 합류하였다.

 미·소공동위원회를 앞두고 한민당은 미군정과 이승만이 주도한 大韓國民代表民主議院(이하 민주의원)에 합류하였다. 한민당의 미군정에 대한 협조노선은 미·소공동위원회와 반탁운동에 대한 입장에서 잘 나타난다. 비록 합당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韓國獨立黨(이하 한독당)·國民黨 등과 우익정당의 합당을 위한 움직임에 참여하기도 했던 한민당은 미·소공동위원회에서<제5호 성명>이 발표되자 이에 서명하고 미·소공동위원회에 참여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이것은 반탁의 깃발 아래 우익 정치세력의 합작 역시 한민당의 중요한 정치노선이었지만, 그 이전에 미군정과의 협조노선이 보다 중요한 노선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214)도진순,≪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이승만·김구시대의 정치사≫(서울대 출판부, 1997), 82∼84쪽.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때에도 한민당은 반탁진영에 합류해 있으면서 임시정부측과는 달리 미·소공동위원회에 참여할 의사를 표명하였다.215)≪동아일보≫, 1946년 6월 10일.
≪경향신문≫, 1947년 6월 18일.
한민당은 과도입법의원 내에서 반탁결의안을 제출하는 데 적극 참여했었다(≪동아일보≫, 1946년 3월 7일).

 미·소공동위원회가 휴회된 이후 미군정이 추진한 左右合作委員會, 南朝鮮過渡立法議院(이하 과도입법의원)에 참여한 한민당은 1947년 이후 과도입법의원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과도입법의원은 1947년 친일파 처리문제, 토지개혁 등을 내용으로 하는 법안을 심의하였는데, 한민당은 법안 심의과정에서 보수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 즉, ‘附日協力者 등에 관한 특별법률안’과 ‘토지개혁법안’에 대하여 반대하였고, 결국 양 법안은 보류되었다. 普通選擧法의 제정과 관련해서 한민당은 2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선거권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진보적인 입장의 젊은층들이 선거에 참여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을 제기하기도 하였다.216)김영미,<미군정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성립과 활동>(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3), 52∼77쪽.

 한민당의 이상과 같은 활동과정은 다른 한편으로 당내 인사들의 탈당으로 인한 당 조직의 축소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좌우합작위원회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한민당의 대표로 참석하였던 원세훈은 좌우합작위원회에 대한 한민당의 부정적 태도에 대해 비판하면서 한민당에서 탈당하였다.217)≪동아일보≫, 1946년 10월 19일. 원세훈의 탈당에 뒤이어 고려민주당계의 인사들이었던 韓興周(중앙상무감찰위원)·宋南憲(중앙상무위원)·朴明煥(청년부장) 등 49명이 탈당하였다.218)≪조선일보≫, 1946년 10월 11일. 10월 말에도 탈당사태는 계속되었다. 10월 21일 김약수·金炳魯·李順鐸 등 중앙위원 12명과 평당원 40여 명, 11월 22일 중앙위원 강인택 등 20여 명, 11월 28일 중앙위원 박용희 등 17명, 12월 5일 중앙당무집행위원 김상규 외 중앙집행위원 4명과 당원 82명, 12월 17일 중앙집행위원 박원식 외 평당원 56명이 탈당하였다.219)이기하,≪한국정당발달사≫(의회정치사, 1961), 129쪽.
탈당한 인사들은 대부분 김약수·원세훈이 주축이 되었던 ‘民衆同盟’에 참여하였다.
박태균, 앞의 글(1994), 116쪽.
이들의 탈당은 좌우합작위원회뿐만 아니라 과도입법의원에 대한 한민당의 입장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탈당사태로 인하여 한민당은 당 조직을 변화시켰다. 8명의 총무를 대표로 하던 집단지도체제에서 단일지도제로 당헌을 개정하여 김성수를 당위원장, 백남훈을 부위원장으로 선출했다. 그리고 이전의 총무제를 위원장제로 하는 동시에 후생·문교·지방 등 3부를 폐지하고 기획·정치부를 신설하여 12부로 개편하였으며, 중앙당무위원과 중앙집행위원을 재선출하였다.220)≪서울신문≫, 1946년 10월 13일.
≪조선일보≫, 1946년 10월 19일.

 이러한 당 조직의 변화는 한편으로는 당 내의 다양한 목소리를 하나로 통일하는 계기를 가져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당의 왜소화를 가져왔다. 한민당은 1946년 말의 조직 개편 이후 김성수와 장덕수를 중심으로 당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수 있었다. 하지만 1947년 말 장덕수의 암살 이후 한민당은 큰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장덕수는 한국문제가 유엔에 이관된 직후 총선에 대비한 조직 정비를 책임지고 있었고, 미군정 역시 장덕수를 중심으로 새로 수립될 대한민국의 행정조직을 정비하고자 하였다.

 당 조직의 축소와 핵심인사들의 탈퇴·암살 등은 결국 한민당이 총선에서 패배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한민당은 1948년 5월 10일의 총선거에 정당으로는 유일하게 참여하였지만, 전체 200석 중 15%에도 미치지 못하는 29명만이 당선되었고, 李承晩 정부의 조각과정에서 철저하게 외면당하면서 야당으로 전락하였다. 1949년 2월 한민당을 해체하고 大韓國民會의 申翼熙, 大同靑年團의 池靑天 등과 연합하여 민주국민당을 결성하였지만, 1955년 민주당으로 확대 개편될 때까지 한민당 계열은 정부조직에 참여하지 못한 채 야당으로서 약세를 면할 수 없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