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2. 주요 정치세력의 통일국가 수립운동
  • 3) 중도세력과 좌우합작운동
  • (4) 민주주의독립전선과 민족자주연맹

가. 민주주의독립전선

 민주주의독립전선(이하 독립전선)은 좌우합작위원회가 합작원칙의 문제와 과도입법의원 문제로 미군정과의 협상 및 자체활동에 난항을 겪고 있을 때 발족되었다. 독립전선에는 좌우합작위원회에 참여한 인사들을 제외한 민족주의 좌우파 인사들이 참여하였다. 1946년을 통해 좌우합작운동을 지지하였지만, 직접 참여하지 않았던 민족주의 계열의 군소정당인 靑友黨·新進黨·勤勞大衆黨·民衆同盟·解放同盟 등이 1947년 회합을 갖고 중도파의 전선체를 만들자는 원칙에 합의하면서 독립전선 결성을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민족주의진영의 독자적인 세력화를 위한 ‘제3전선’ 결성운동으로 규정하였다. 2월 1일 李克魯의 健民會405)건민회는 1946년 6월 민중운동단체로 출발하였다(동아일보≫, 1946년 6월 18일)., 조봉암의 統一建國會 등이 중심이 되어 독립전선결성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그리하여 독립전선에는 건민회·통일건국회·근로대중당·社會大衆黨·新化黨·統一政權促成會·自由合作促成會·조선연무관·韓國農民總聯盟·朝鮮語學會·民族解放同盟 등 29개 단체가 참여하였다.406)≪조선일보≫, 1947년 2월 2일, 3월 8일.

 독립동맹에 참여한 단체들은 중소 규모의 단체들로서 미군정이 파악한 바에 따르면 근로대중당(2,000명, 대표:강순), 좌우합작촉성회(125명, 대표:배성룡), 건민회(300명, 대표:이극로), 구국당(6,072명, 대표:한건), 해운대책위원회(1,200명, 대표:황한철), 조선농민총연맹(36만 8,743명, 대표:박문희) 등이 단체의 성원수를 신고했을 뿐 규모가 작거나 파악되지 않은 단체도 상당수였다.407)“Democratic Independence Front,” RG 322(신복룡 편,≪한국분단사 자료집≫ 6권, 제2장 정당사회단체 현황), 447∼457쪽 참조.

 독립전선에 참여한 단체들은 소규모였지만, 여기에 참여한 인사들은 사회적으로 명망이 있는 정치인과 학자들이었다. 조봉암·金燦·林元根·元友觀 등 독립전선 상무위원들은 식민지시기 유명한 공산주의자들이었으며, 裵成龍·이극로 등은 유명한 학자였다. 독립전선은 다양한 인적 구성과 참여단체들이 소규모였기 때문에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만한 인물이나 단체가 없었다.

 독립전선의 정치적 목표는 미·소공동위원회의 성공을 위하여 침체에 빠진 좌우합작운동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독립전선이 결성된 1947년 1월은 미·소공동위원회의 재개가 불투명한 상황이었으며, 삼당합당·과도입법의원·이승만의 도미외교 등을 통해서 야기되고 있었던 정치적인 문제로 인하여 좌우합작운동이 침체를 거듭하고 있을 때였다. 독립전선은 김규식과의 접촉을 통하여 좌우합작위원회와의 통합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좌우합작위원회와의 통합은 순조롭게 추진되지 않았다. 좌우합작위원회의 金朋濬·朴健雄·원세훈·여운홍 등은 ‘石造殿 9당회합’을 통해 중도파의 독자적인 제3전선은 혼란을 가중시키는 것이라 비판하고, 대신 좌우합작위원회를 ‘민족반역자를 제외한 각 정당 사회단체 대표와 개인을 망라한 민족통일전선’으로 재편성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들은 좌우합작위원회를 민족통일전선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자신들이 관여하고 있던 사회민주당·신진당·근로대중당·민중동맹·해방동맹 등 정당·사회단체를 중요한 기반으로 고려하였다.408)배성룡,<오계열분야의 정치동향>(≪자주조선의 지향≫, 1947), 113쪽.
≪조선일보≫, 1947년 2월 6·11일.
좌우합작위원회는 독립전선과의 통합보다는 독립전선내에 있는 일부 정당·사회단체를 좌우합작위원회에 포함시켜 좌우합작위원회를 강화하고자 한 것이다.

 1947년 5월 미·소공동위원회의 재개가 임박하자 독립전선의 활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독립전선은 우선 낮은 수준의 ‘협의체 조직’이라도 조직하여 연대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고, 그 결과 독립전선의 주도로 5월 28일 ‘美·蘇共委對策各政黨社會團體協議會’(이하 공위대책협의회)가 결성되었다. 공위대책협의회는 미·소공동위원회에 대한 민족자주적 입장을 강조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우리는 문제를 공위에만 일임하려는 일종의 방관적 또는 위임적 의존주의를 포기하고 是是非非主義를 견지하며 미·소공동위원회와 병존하여 자주적 입장에서 충분한 정치협상을 촉진할 것(≪조선일보≫, 1947년 5월 29일).

 공위대책협의회는 주석에 김규식, 부주석에 이극로·이용직이 취임하고 좌익의 민전과 우익의 민족통일총본부에 소속되지 않은 67개 단체를 규합하였다. 이로써 공위대책협의회는 좌우합작위원회와 독립전선의 연대를 강화하였다. 그러나 좌우합작위원회는 김규식의 공위대책협의회 주석 취임을 반대하고, 독자적으로 20개 단체를 동원하여 좌우합작위원회의 확대·강화를 모색하였다.409)≪동아일보≫, 1947년 5월 22일. 그 결과 이극로를 중심으로 한 일부 정당·사회단체가 독립전선에서 이탈하여 좌우합작위원회에 참여하였다. 독립전선은 전국적인 기반을 가진 조직이 아니라 중앙조직 중심의 중도파 연합이었기 때문에, 일부 정치세력의 이탈은 독립전선의 활동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운형의 암살은 새로운 상황을 조성하였다. 1947년 8월 6일 공위대책협의회·좌우합작위원회·독립전선·시국대책협의회 등 4개 단체 대표들이 모여 ‘민족통일진영재편성주비촉진회’를 구성하였다.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중도파들의 결집체인 민족자주연맹이 결성되면서 독립전선은 해체되었다. 독립전선의 일부 세력들은 민족자주연맹에 참여하였으며, 조봉암을 비롯한 일부 세력들은 독자적인 활동을 모색하면서 1948년의 5·10 총선에 참여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