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2차 교육과정
  • 초등학교 사회 6-1(2차)
  • 3. 새로운 문화 생활
  • (2) 우리 문화의 발달
  • 〈종교의 발달〉

〈종교의 발달〉

부족 국가 시대부터 우리 겨레는 천지 만물에 신이 깃들여 있다고 생각하여 여러 자연신과 조상신을 섬겼다.

또, 추수가 끝난 가을철에는 자연의 혜택에 감사드리는 뜻에서 제천 행사를 하였는데, 고구려의 동맹이나 부여의 영고, 동예의 무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소박한 종교 생활은 불교가 들어온 후 크게 변하게 되었다.

불교를 가장 먼저 받아들인 나라는 고구려였다. 고구려는 소수림왕 때에 북중국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였으며(372), 그 후 고구려의 불교는 신라에 전해졌다. 한편, 백체는 침류왕 때에 남중국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였는데, 성왕 때에는 불교를 일본에 전하여 일본의 고대 문화 발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민족 고유의 신앙이 뿌리 깊었던 신라에서 불교가 실제로 믿어지기는 이차돈이 순교한 법흥왕 때의 일이었다.

삼국에 전해진 불교는 종교 생활에 변화를 가져다 주었음은 물론이거니와 사회 생활과 예술 생활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불교는 통일 신라 시대에 와서 크게 발달하였다. 전국 각지에 큰 절이 세워졌고, 유명한 중이 많이 나왔다. 이 때에는 불교의 연구를 위하여 당나라로 유학 간 중이 많았다.

그들 가운데는 불교의 원산지인 인디아로 건너간 사람도 있었다.

그 가운데 한 사람인 혜초는 왕오천축국전을 써서 유명하다.

고려는 적극적으로 불교를 보호하였고 중을 우대하였으며, 불교로써 국가 활동의 기둥을 삼았다.

그리하여, 불교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많은 절이 세워지고 불교 문화가 발달하였다. 의천과 지눌 같은 유명한 중이 나와 크게 활동하였다.

확대보기
의천
의천
팝업창 닫기

이 때에는 오늘날과 달리 깊은 산중에만 절이 있는 것이 아니라, 도시 내에도 많은 절이 있어서, 국민의 신앙 생활을 이끌었다. 불교의 경천인 대장경의 수집과 그의 조각인 대장경판은 유명하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 어려운 사업을 세 차례나 거듭하였는데, 고종 때에 만들어진 이른바 팔만 대장경은 세계에서 가장 잘 갖추어진 것으로 이름 높다.

확대보기
해인사에 보관한 팔만 대장경판
해인사에 보관한 팔만 대장경판
팝업창 닫기

조선의 불교는 유학에 눌려 깊은 산중으로 숨어들게 되었으나, 일반 국민 가운데는 여전히 많은 신자가 있었다.

이들 깊은 산중 에서 수도하던 중들은 왜란과 같은 국난에 처하여서는 용감하게 나라를 위해 승병 운동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휴정이나 사명당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유럽에서 동양에 오는 인도 항로가 열리면서부터 서양의 문물이 동양으로 밀려들어왔다. 크리스트교가 중국에 들어온 것도 이 무렵의 일이었다. 우리 나라에 크리스트교가 들어와 믿게 된 것은 정조 때의 일이었다. 그러나, 이 종교가 우리 민족 고래의 사회 생활을 해치는 것이라고 하여 박해를 받아 많은 순교자가 생겼다.

우리 나라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은 헌종 때의 박해로 순교하였으나, 그 후에도 크리스트교도는 날로 늘어났다.

확대보기
김대건 신부
김대건 신부
팝업창 닫기

이 무렵에 최제우는 민족적 전통을 살려 새로운 종교인 동학을 일으켜 많은 신자를 얻었으나, 이것도 또한 박해를 당하였다.

그러나, 1876년의 개국과 더불어 오랫동안 박해를 받아 오던 종교 활동도 차차 자유롭게 되었다.

신앙 활동의 자유와 더불어 장로교, 감리교 등의 여러 크리스트교파가 전하여져, 우리 민족의 신앙 생활도 자못 다채로와졌다.

조선 말기에 일본의 압력이 점점 심해지자, 민족의 정기를 살려야겠다고 느낀 나철은, 민족의 시조인 단군을 받드는 대종교를 세웠다.

이 때, 또한 동학도 친일적인 교도를 물리치고 손병희에 의하여 천도교로 발전하였다.

이렇듯이 종교 생활이 발달하여 왔으나, 아직도 우리 사회에는 미신을 믿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는 하루바삐 미신에서 벗어나 건전한 신앙 생활을 하여, 밝고 희망에 찬 사회를 이룩하여야 하겠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