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4차 교육과정
  • 초등학교 사회 5-2(4차)
  • 1. 사회 생활의 변화
  • (2) 생활의 지혜
  • [1] 장작과 등잔불

[1] 장작과 등잔불

불은 우리의 생활과 깊은 관계가 있는 중요한 것이다. 불이 있기 때문에 따뜻하고 밝게 지낼 수 있으며, 음식을 맛있게 익혀 먹을 수 있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불씨를 매우 귀하게 여겼다. 특히, 불을 많이 다루는 여자에게는 불씨를 잘 간수하도록 가르쳤으며, 불씨를 꺼뜨리면 주의력이 없고 게으른 사람 취급을 하였다. 요즈음에도 이사할 때에 불을 먼저 옮기는 풍습이 남아 있다.

추위를 이기기 위하여 사람들은 불을 피운다. 우리 조상들은 방 안을 따뜻하게 하기 위하여 온돌을 만들어 냈다. 부엌에서 피운 불길은 온돌을 지나 굴뚝으로 나가는 동안 방안을 덥게 한다. 한편, 부엌에서는 그 불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든다.

확대보기
아궁이
아궁이
팝업창 닫기

산에 나무가 많았던 옛날에는 장작이 좋은 땔감이었으며, 그 밖에도 볏짚, 보릿짚을 써서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신라의 귀족들은 연기가 나고 그을음이 난다 하여 땔감으로 장작을 쓰지 않고 숯을 만들어 썼다고 한다.

화롯불도 방 안의 공기를 덥게 해 준다. 한옥은 외풍이 세므로, 그것을 막기 위하여 우리 조상들은 화로를 즐겨 사용하였다.

확대보기
화로
화로
팝업창 닫기

옛날 어린이들은 화롯가에 앉아 밤을 구워 먹으면서 할아버지, 할머니의 옛날 이야기를 듣고 자랐다. 그리고, 아낙네들은 화로에 조그마한 뚝배기를 올려 놓고 된장찌개를 끓이면서 일터에 나간 지아비를 기다리기도 하였다.

불은 열을 내어 따뜻하게 해 줄 뿐 아니라, 빛을 내어 어둠을 밝혀 주기도 한다. 우리 조상들은 밤에 등잔을 켜 어둠을 밝혔는데, 등잔에는 쇠기름과 들기름을 많이 썼다. 궁중에서는 밀로 만든 황촉불을 켰다. 또, 석유가 들어오면서 호롱불을 켜기도 하였다. 그 후 전깃불을 켜게 되면서 환한 세상이 되었다.

확대보기
옛날의 조명 기구
옛날의 조명 기구
팝업창 닫기

석탄과 석유가 땔감으로 쓰이면서 땔감은 크게 변하고, 생활은 많이 편리해졌다. 오늘날 우리는 연탄을 땔감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연탄은 인체에 해로운 가스 때문에 조심스럽기는 하나, 산의 나무를 아끼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연구

우리 생활에 불이 없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불의 발달을 다음 문제별로 알아보고, 그림으로 나타내 보자.

○ 음식을 만드는 불은 어떻게 발달하였을까?

○ 어둠을 밝히는 불은 어떻게 발달하였을까?

○ 공장에서 쓰이는 불은 어떻게 발달하였을까?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