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4차 교육과정
  • 초등학교 사회 6-2(4차)
  • 3. 근대화의 싹
  • (1) 새로운 문화
  • [3] 실학 운동

[3] 실학 운동

일부 학자들은 지금까지의 유학이 너무나 실제 생활과 동떨어져 있음을 깨닫고, 서양의 지식을 받아들여 과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사회를 더 편리하고 잘 살게 만들기 위하여 토지 제도와 세금 제도를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또 경제 생활을 위하여 농업 이외에 공업과 상업을 발달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한편, 중국식의 학문만이 아니라, 우리 나라에 대한 역사, 지리, 한글 등을 더 많이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학문은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이 바로 실학 운동이다.

이수광은 지봉유설이라는 백과사전식의 책을 썼는데, 이 속에는 천문, 지리, 정치, 문학, 자연 과학 등에 대한 온갖 지식이 담겨 있으며, 이로써 지금까지 몰랐던 새 지식이 늘어나게 되었다.

확대보기
지봉유설
지봉유설
팝업창 닫기

그러나, 실학 운동이 크게 일어난 것은 이익에 의해서였는데, 이 때에는 나라에서도 학문 활동을 크게 장려하여 문예 활동이 크게 일어나고 있었다.

이익은 어려서부터 재주가 비범하여 한 번 읽은 것은 잊지 않았다. 아침, 저녁으로 어머니에게 인사드리는 외에는 방 안에 단정히 앉아 하루 종일 책을 읽었고, 평생 벼슬도 하지 않았다.

성호사설에서 이익은 나라가 가난하게 된 원인은 노비 제도, 과거 제도, 양반 제도 등이 잘못된 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 고리대 활동과 농민의 게으름도 큰 잘못이라고 지적하였다.

확대보기
성호사설
성호사설
팝업창 닫기

이익은 천문, 지리, 과학, 사회, 유학, 역사, 문학 등 다방면에 걸쳐 조예가 깊었고, 또 서양의 과학 기술에도 관심이 많았다.

뿐만 아니라, 그는 많은 제자를 길러냈는 데, 18세기에는 그 제자들의 활동으로 실학 운동의 전성기를 이루어 안정복, 정약용과 같은 훌륭한 학자들이 나타났다.

안정복은 우리 나라 역사책을 엮어서 자주 정신을 가지게 하였고, 정약용은 유학 이외에도 농업, 상공업, 의학, 토목, 건축 등의 학문에 두루 통하는 대학자였다.

확대보기
정약용의 거중기
정약용의 거중기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