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6차 교육과정
  • 초등학교 사회 6-1(6차)
  • 3. 국권 회복을 위한 노력
  • (3) 민족의 실력 양성과 문화 수호 운동
  • [2] 우리 물건 쓰기 운동

[2] 우리 물건 쓰기 운동

나라의 주권을 빼앗긴 후, 우리 겨레는 일본의 경제적 침략에 대하여 어 떻게 대항하였는지 알아보고, 오늘날 우리의 경제 활동 모습과 비교해 보자.

다음 글은 우리 나라가 일본에 주권을 빼앗긴 후, 우리 민족의 경제적 자립을 이루기 위해 벌인 조선 물건 쓰기 운동의 회장 조만식 선생과 기자가 나눈 이야기의 일부이다.

영수네 반에서는 그 내용을 간단한 역할극으로 꾸며 보았다.

기자 : ○○ 일보 기자입니다. 이번에 조선 물건 쓰기 장려회를 만들게 된 까닭에 대하여 한 말씀 해 주십시오.

조만식 회장 : 우리 민족이 살 길은 우리 민족이 운영하는 회사를 키우고, 우리 조선 사람이 만든 물건을 애용하는 데 있습니다. 즉, 우리 조선 사람에게 필요한 물건은 우리 조선 사람의 힘으로 만들어 써야 합니다. 이와 같은 노력 없이 어찌 조선 사람의 생활을 유지하고 조선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겠습니까?

기자 : 옳으신 말씀입니다. 그런 뜻을 살리기 위해서 앞으로 어떤 일을 하실 계획입니까?

조만식 회장 : 첫째, 조선 사람이 하는 산업을 장려하여 민족 기업을 일으키고자 합니다. 둘째, 조선 사람이 만든 물건을 많이 사서 쓰도록 하는 데 힘쓰겠습니다. 그래야만 조선 사람의 기업이 커 나갈 수 있습니다. 셋째, 조선 사람의 생활이 경제적으로 더 나아지도록 지도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돌아다니며 강연회를 열 계획입니다.

기자 : 감사합니다. 우리 신문에서도 이 사업을 열심히 후원하겠습니다.

3⋅1 운동 이후, 민족 지도자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도 일본의 경제적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우리 민족의 기업을 키우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러한 경제적 자립 운동은 ‘내 살림 내 것으로’라는 구호를 내세우고 평양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퍼졌다.

조선 물건 쓰기 운동은 국산품을 애용하고, 근검 절약을 실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특히, 우리 민족이 만든 물건을 애용하도록 권장하였는데, 그 예로 남자와 여자의 의복을 두루마기와 치마로 정하고, 일본인이 만든 양복은 입지 않기로 하였다.

♣조선 물건 쓰기 운동과 오늘날 우리 농산물 먹기 운동을 비교하는 토론회를 열어 보자.

확대보기
조선 물건 쓰기 운동(물산 장려 운동)에 관한 기사와 해설
조선 물건 쓰기 운동(물산 장려 운동)에 관한 기사와 해설
팝업창 닫기

이렇게 하여 조선 물건 쓰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퍼져 나가자, 일본은 이 운동을 독립 운동의 한 가지로 보고 강연회 허가를 내주지 않거나 강연하는 사람들을 붙잡아 가고, 강연을 듣는 사람을 강제로 해산시키는 등 드러내 놓고 탄압하였다. 그러다가 마지막에는 이 운동을 강제로 금지시켰다.

일본의 경제적 침략에 대항하는 운동은 농촌과 공장에서도 일어났다.

일본은 땅을 조사한다는 핑계로 우리 농민에게서 많은 농토를 빼앗았다. 그 결과, 우리 농민들은 땅을 잃고 불리한 조건으로 농사를 짓게 되었고, 많은 빚에 시달리게 되었다.

농민들 중에는 견디다 못하여 살 길을 찾아 만주나 연해주 등으로 떠나는 사람이 많이 생겨났다. 한편, 우리 농민들은 우리 농토를 차지하고 있는 일본인과 일본에 협조하는 한국 사람들에 대하여 항거하는 운동을 벌였다.

확대보기
살 길을 찾아 고향을 떠나는 농민들
살 길을 찾아 고향을 떠나는 농민들
팝업창 닫기

또, 일본인이 운영하는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임금을 올리고 근로 조건을 개선해 달라고 요구하는 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