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7차 교육과정
  • 초등학교 사회 6-1(7차)
  • 1. 우리 민족과 국가의 성립
  • (3) 유교를 정치의 근본으로 삼은 조선
  • [2] 문화의 발달과 백성들의 생활 모습
  • ● 조선 초기의 문화와 과학 기술의 발달이 백성들의 생활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자.

● 조선 초기의 문화와 과학 기술의 발달이 백성들의 생활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자.

세종 대왕은 한글을 만들어 우리 민족 문화가 크게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세종 대왕의 여러 가지 업적은, 조선 초기의 개혁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백성들의 생활이 안정되고 왕권이 크게 강화되었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었다.

세종 대왕은 정치⋅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 집현전의 기능을 강화하였으며, 집현전에 학자들을 모아 학문과 우리글을 연구하도록 하였다. 세종 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은 오랜 연구 끝에 마침내 ‘훈민정음’을 만들었는데, 훈민정음은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확대보기
훈민정음(위 : 해례본, 아래 : 언해본)
훈민정음(위 : 해례본, 아래 : 언해본)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집현전 학자들의 모습
집현전 학자들의 모습
팝업창 닫기

훈민정음은 우리말을 소리나는 대로 쓸 수 있고, 뜻을 알아야만 쓸 수 있는 한자보다 익히기가 훨씬 쉬웠다.

이처럼, 세종 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들어 우리말을 중국 문자로 표현하는 불편을 없애고 우리 문화의 자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 훈민정음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훈민정음으로 쓴 여러 종류의 책을 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훈민정음은 양반들보다는 평민과 부녀자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확대보기
세종 대왕상
세종 대왕상
팝업창 닫기

훈민정음을 만든 세종 대왕(가상 대담)

▶ 훈민정음을 만드신 까닭은 무엇입니까?

세종 대왕 : 무엇보다 우리글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한자는 익히기가 어려워서 백성들이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았지요.

▶ 훈민정음의 장점은 무엇입니까?

세종 대왕 : 한자와는 달리 모든 소리를 소리나는 대로 적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 훈민정음 사용을 반대하는 소리도 있는데, 그 까닭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세종 대왕 : 아마 중국 문화에 너무 깊이 젖어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백성들이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리 글이 필요했지요.

확대보기
팝업창 닫기

▶ 훈민정음은 당시 백성들의 생활과 우리 나라 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조사하여 보자.

확대보기
팝업창 닫기

세종 대왕은 연구를 열심히 하였으며, 집현전 학자들이 근심 없이 학문을 연구할 수 있도록 돌보아 주었습니다.

조선은 나라의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농사를 장려했다. 이러한 국가의 정책에 힘입어 농업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농업의 과학화를 이룰 수 있는 많은 과학 기구가 발명되었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농업 생산량이 늘어났고, 농민들의 살림이 전보다 넉넉해졌다.

농사에 도움이 되는 책의 간행과 과학 기구의 발명은 주로 세종 대왕 때에 집현전 학자들과 장영실 같은 과학자의 힘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의 노력으로 물시계(자격루), 해시계(앙부일구), 측우기와 간의, 혼천의 같은 천체 관측 기구 및 달력이 만들어졌고, 이것들은 백성들의 일상 생활과 농사일에 큰 도움을 주었다.

한편, 우리 풍토에 맞는 농사법을 연구한 책인 ‘농사직설’이 보급되어 지역에 적합한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었다.

확대보기
[물시계(자격루)]
[물시계(자격루)]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해시계(앙부일구)]
[해시계(앙부일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측우기]
[측우기]
팝업창 닫기

▶ 농민들의 생활 모습을 바꾼 ‘농사직설’의 내용을 바탕으로, 농민들이 1년 동안 농사짓는 모습을 살펴보자.

  음력    
  1월 농기구를 정리하고 소를 길러 거름을 만들어, 밤이면 새끼를 꼰다.
  2월 물길을 정리하고 밭을 간다.
3월 도랑을 막아 물을 대고, 모판을 만들어 날마다 살펴본다.  
  4월 목화를 많이 심고 수수, 녹두, 참깨도 심으며, 퇴비로 쓸 풀도 벤다.  
5월 문 앞의 터를 닦고 낫을 손질한다. 보리를 추수하고 나면 집안이 풍성하다.  
  6월 밀과 콩, 그리고 팥과 조, 수수도 가꾼다.  
7월 김매기에 열중하고, 퇴비로 쓸 풀을 많이 베어 쌓아 놓는다.  
  8월 온갖 곡식의 이삭이 나온다. 마당 안팎을 닦아 놓고 목화도 한 아름 딴다.  
  9월 추수가 급하다. 벼 타작이 끝난 후에는 틈을 내어 콩밭도 돌본다.  
  10월 무, 배추를 뽑아서 김장을 준비한다.  
  11월 벼의 일부를 볍씨로 남긴다. 땅값과 품삯도 갚아야 한다.  
  12월 떡쌀은 몇 말이요, 술쌀은 몇 말인지. 건강에 유의하라.  
확대보기
농사직설
농사직설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